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811 | 812 | 813 | 8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틀려도 괜찮아 토토의 그림책
마키타 신지 지음, 하세가와 토모코 그림, 유문조 옮김 / 토토북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주 월요일 집 근처의 초등학교에 삼당봉사를 간다. 담임선생님이 상담 의뢰한 아이들과 만나 이야기를 들어준다. 대부분 소극적인 성격으로 발표력이나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다. 특히 발표하지 않는 아이들이 많이 온다. “왜 발표하지 않니?” 라고 물어보면 답이 틀릴까 봐 못하는 것보다 쑥스러워서 못한다고 했다. 물론 답이 틀렸을 때 애들이 웃으면 쑥스럽다는 뜻도 포함된다. 이런 아이들에게 읽어주거나 스스로 읽게 하면 좋은 책이 바로 “틀려도 괜찮아”다. 새 학년이나 새 학기에 다시 읽는다면 발표할 수 있는 용기도 갖고 새롭게 다짐할 수 있는 책이다.


겉표지의 그림은 정말 감동적이다. 바로 우리가 바라는 선생님 상... 두 팔 벌려 아이들을 품어 안은 인자한 선생님, 게다가 다정한 미소까지 짓고 있으니, 이런 선생님과 만나는 아이들은 행운이다. 오밀조밀 선생님 품에 안긴 아이들의 행복한 표정이 우리 아이들 교실 풍경이기를 희망하며 먼저 그림을 살펴보자.


첫 장, 발표하려는 아이들이 다섯 손가락을 힘 있게 펼치고 오른손을 들었다. 요즘 우리 초등학교에선 손드는 것도 손가락 표시에 따라 뜻이 다르다. 검지 손 하나를 들면 보충, 검지, 중지 둘을 세우면 동의, 주먹 쥔 것은 의견에 반대하는 표시다. 물론 우린 왼손으로 표시한다. 이 그림책은 일본 작가와 일본 화가가 그린 그림이라 우리교실 풍경과는 조금 다르다. 이렇게 따뜻한 책을 우리 작가가 쓰고 그렸으면 좋았을 텐데 아쉬움이 생기는 부분이 또 있다. 20쪽에 말의 화살을 쏘아대는 그림, 일본의 사무라이 복장인지 궁사의 복장인지 모르지만, 우리 화가라면 이런 옷은 그리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도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재미있는 발견을 할 수 있다. 모두 오른손을 든 첫 장의 그림에 두개의 왼손이 보인다. 그리고 23, 24쪽의 그림에 바로 그 왼손의 주인공인지 둘이만 왼손을 들었다. 화가의 섬세함에 감탄하며 나의 눈썰미에 혼자 뿌듯하다~ ㅋㅋ (요즘 아이들 표현대로 한다면 ‘자뻑-자기 스스로 뻑 간다는 뜻’이다.) 그림책을 보는 묘미가 바로 이런 데에도 있다.


우리학교는 토요일마다 2학년 교실에서 엄마들이 동화를 읽어준다. 10월 21일에 나는 ‘틀려도 괜찮아’를 읽어 주었다. 혼자 목소리를 바꿔가며 우리 교실 분위기에 맞게 나름대로 온갖 연출을 했더니, 아이들 반응이 기대 이상이었다. 그리고 학교 도서실에 책이 있다고 소개하니, 녀석들은 우르르 도서실로 몰려갔다. “한 아이에게 좋은 책이 된다는 것은 그 아이에게 무엇인가 좋은 변화가 일어날 때이다.”라는 릴리언 스미스의 말이 실감나는 현장이다.


이 책을 읽은 아이라면 발표에 겁을 내거나 틀릴까봐 부끄럽지는 않을 거다. 따뜻하고 명쾌한 가르침에 꼬마독자들도 자신감을 얻을 것이다. 자~~~ 아직도 발표가 어렵거나 부끄러운 친구가 있다면 “틀려도 괜찮아”를 읽고 자신 있게 손을 들자!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초등 1학년에게 추천하는 책
    from 파피루스 2008-01-30 01:21 
    처음으로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내는 부모들은 설레임과 더불어 걱정이 많을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궁금하고 걱정되는 마음이 자칫 기쁨을 누를 수도 있다. 하지만, 지나친 걱정이나 근심을 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아이들은 씩씩하고 활기차게 학교 생활에 잘 적응할 테니까, 아이가 심리적인 불안을 갖지 않도록 한 발자국 떨어져서 조용히 지며보면 되지 않을까 싶다. 옆에서 자칭 선배 엄마들이 이런 저런 말로 부추켜도, 삼임선생님에 대한 엄마의 믿
 
 
댓글저장
 
팔만대장경 속 열두 동물 이야기 동화 보물창고 9
이금이 지음, 한수진 그림 / 보물창고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전으로 내려온 우리 이야기의 출처를 발견하는 즐거움으로, 이금이님의 '팔만대장경 속 열두 동물 이야기'를 읽었다. <본생경>의 짧은 이야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졌다는데, 할머니에게 구수한 옛날 이야기 12편을 들은 느낌이다. 어려운 한자말을 쓰지 않고 쉬운 우리말로 풀어내어 입에 착 달라붙어 읽기에도 편했다. 옛날이야기를 문어체로 풀어낸 책도 가끔은 만나는데, 이 책은 입말로 되어 이야기의 맛을 더한다. 또 동물들의 모습과 표정을 실감나게 표현한 그림도 이야기의 맛을 돋운다. 그들의 표정을 살피며 이야기를 읽으면 작가는 문장으로 우리를 끌어들이고, 화가는 그림으로 열두 동물 이야기속으로 빠져들게 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나이자랑이나 여우이야기, 이리저리 붙어다니는 박쥐같은 이야기가 불경에 있었구나 알게 되었고, 여러나라의 환경과 정서에 맞는 이야기로 탈바꿈 되었을거라 생각되었다. 코끼리가 없는 우리나라 얘기엔 두꺼비나 거북이로 나오는 것처럼 그 나라의 친숙한 동물로 바뀌었을 것이다.

나이 자랑하는 원숭이와 참새를 인정하고 자기의 삶을 편하게 받아들이는 코끼리. 입에 발린 말로 아첨하는 여우의 간교함. 앞날까지도 가늠할 수 있어야 하는 진정한 지도자임을 알게 한 거북왕. 참을 수 없는 수다로 고니의 입을 열어 떨어진 거북이. 어른의 말을 듣지 않고 호기심으로 망쳐버린 원숭이와 비둘기들. 욕심을 버리고 아름다운 삶을 찾는 푸른용과 비늘 시녀. 교만한 까마귀와 변덕스러운 사람들. 작은손으로 더 움켜잡으려는 욕심쟁이 원숭이. 죽을줄도 모르고 놀고 먹는 돼지. 효성스런 앵무새. 이리 저리 붙어다는는 박쥐같은 이리 등. 등장하는 동물을 통해 인간에게 삶의 지혜를 가르쳐준다. 또 인간이나 동물은 자신의 선택이 삶을 결정하고 그 결과까지도 책임진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아이에게 한 편씩 읽어 주어도 부답스럽지 않은 양(10분 정도)이라 잠자리에서 읽어줘도 제격이다. 어린애뿐 아니라 고학년도 엄마가 한번씩 읽어주면 아주 좋아한다. 이번 추석에 어린조카들 둘러앉히고 이야기선생님이 되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한 번에 한 편씩만 읽어주면 더 듣고 싶은 녀석들은 주변을 기웃거릴 것 같다. 등장인물의 목소리를 다르게 해서 구연하듯 읽어주면 눈높이에 맞게 재미있는 옛이야기를 맛 볼 수 있다.

읽어주고 교훈이나 지혜를 손에 딱 쥐어주지 않아도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레 인성과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책이다. 이야기 하나에도 의미를 새기고 내 삶에 적용하려면,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제대로 처신하고 있는가?" 충분히 되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811 | 812 | 813 | 8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