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7세 조절하는 뇌 흔들리고 회복하는 뇌 - 조절 능력·정서 지능으로 키우는 ‘공부 뇌’ 발달 골든타임 육아
김붕년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23년 6월
평점 :

아이가 커갈수록 아이의 뇌에 대해 궁금해졌어요. 아이가 도대체 왜 이러는지 이해가 안될때가 많았거든요. 아이가 예쁘고 사랑스럽다가도 가끔은 얘가 왜 이러나 싶어 혼란스러울 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아이를 좀 더 이해하고 싶어서 4-7세 아이의 뇌 발달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해서 이 책을 펼쳤습니다. 먼저 서울대학교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님이 쓰신 서문을 읽어보았습니다. 서문을 읽어보니 김붕년 교수님을 찾는 대다수 부모들은 소위 '까부는' 아이들을 데리고 온다고 해요. 건강하기만 자라길 바랬던 아이가 어느 정도 컷다고 생각했을까요? 이제는 가만히 앉아 공부하기를 바라는 부모들이 많다는 것에 씁쓸해졌어요.제가 어릴 때 생각했던 미래는 더 나은 세상을 바랬고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나은 세상이 되었지만 아이들에게는 너무나 가혹한 세상인것만 같습니다.
조금만 가만히 있지 못해도 혹시 내 아이가 ADHD가 아닐까 불안해하고, 도통 학습에 관심이 없어서 불안해하는 부모들...오히려 그게 진짜 보통의 아이가 아닌지 생각해보며 김붕년 교수님이 4-7살을 왜 '공부 뇌'발달의 골든타임이라고 하는지 읽어보았어요.
아이가 공부를 잘 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가 공부를 할 수 있는 역량이 되어 있어야 하겠지요. 4-7세는 공부하는 뇌의 기초공사로서 조절 능력과 정서 지능을 키워야 한다고 말해요.
저도 아이와 가끔 다투기도 하는데 4~7세는 사춘기 예고편이라고 말합니다. 4-7세의 아이는 한계가 어디인지 몰라 좌충우돌 흔들리며 조절하는 시기라고 해요. 그래서 부모는 안전한 울타리를 두르고 뒤에서 아이를 지켜봐 주어야 하는 시기라고 해요.
가끔 저도 아이가 한계를 시험할 때마다 지치기도 해요. 저와 상의해서 룰을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룰을 바꾸고자 하고 한계를 시험하고는 합니다. 나름의 제한을 두고 그 안에서만 놀게 하는데 아이는 끊임없이 그 한계를 넘어서려고 저에게 물어봅니다.
이 책을 읽으며 하나 알게 된 게 있어요. 4-7세 아이들의 일관된 특성으로 참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평소에 아이보고 "너는 왜 이렇게 참을성이 없니? 조금만 참으면 되는데.."라는 말을 자주 했었어요. 그런데 그게 4-7세의 일관된 특성이라는 걸 이제야 알았네요. 아이의 기질인줄로만 알고 아이에게 '참을성 없는 아이'라고 낙인을 찍은 게 너무 미안했습니다.
4-7세의 경험이 무의식에 자리잡힌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이가 원하지도 않는 학습을 시키며 아이의 건강한 자의식과 사고를 형성하는 데 방해하면 안되겠지요. 부모는 뒤에서 안전한 울타리를 두르고 아이가 내뿜는 에너지를 잘 발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책은 ' 공부뇌를 키우기 위한 4-7세의 발달과업'이 주제이지만 이 책을 읽으며 아이를 더 알아가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아이의 마음은 어떤지, 아이가 무엇을 할 때 즐거운지, 아이가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지 아이의 말과 행동에 마음을 열고 더 듣고 보려고 노력해야겠습니다.
아이가 마음껏 자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지켜보고 싶네요.
내 아이 공부 잘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신가요? 4-7세 아이의 발달 과업은 무엇인지 궁금하신가요? 두뇌 최적화는 어떻게 하는지, 효율적인 뇌를 만드는 방법, 몰입하는 아이로 만들고 싶은 분, 똑똑한 뇌를 만드는 핵심은 무엇인지 이 책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우아페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