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 - 인간의 본능을 사로잡는 세계관―캐릭터―플롯의 원칙
전혜정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이야기’는 이제 소설가나 영화 시나리오 작가만의 것이 아니다. 요즘 우리는 누구나 이야기꾼이다.
자신이 겪은 일이나 감정, 전하고 싶은 생각이나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아 매일같이 무언가를 써 내려간다.
하지만 수많은 이야기 중에 정말 오래 기억되는 건 아주 적다.
전혜정의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는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이야기를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했을 것이다.
“도대체 좋은 이야기란 무엇일까?”
“왜 어떤 이야기는 기억에 오래 남고, 어떤 이야기는 금방 잊히는 걸까?”
이 책은 그런 질문에 철학적이면서도 실질적인 통찰을 준다.
저자는 인간이 왜 이야기를 만들고, 왜 그런 이야기 구조에 끌리는지부터 차근차근 짚어간다.
1부는 ‘호모 픽투스(Homo Fictus)’ ― 곧 ‘이야기하는 인간’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왜 이야기 속으로 빠져드는 걸까?
왜 옛날부터 지금까지 비슷한 이야기 구조가 반복되는 걸까?
그건 인간이 세상에 나름의 질서를 찾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복잡하고 답답한 현실을 이해하고 싶을 때, 우리는 ‘이야기’를 통해 그 의미를 붙잡으려 한다.
그래서 이야기 안에는 "이래야 해", "그게 맞지" 같은 말이 자연스럽게 들어간다.
이런 흐름은 『오이디푸스』나 『심청전』, 『아서왕 이야기』처럼 고전 이야기 속에도 나타난다.
이야기는 단순한 재미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세상을 해석하는 방식이며, 우리가 믿고 싶은 세계의 모습이다.
하지만 지금의 콘텐츠 환경은 이 본능을 잘 이용하기보다는,
그저 소비하기 쉬운 이야기만을 빠르게 쏟아내고 있다.
웹소설이나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를 보면, 클릭 수나 수익이 이야기의 기준이 된다.
속도감, 자극적인 전개, 결말의 반전이 필수가 되었고
작가의 생각이나 진심은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저자는 묻는다.
“지금은 반응이 없더라도, 10년 뒤에도 살아남을 이야기를 쓰고 있는가?”
그리고 제안한다.
'많이 읽히는 글'이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는 글'을 써보자고.
독자가 단 한 명이어도 좋다. 그 한 사람의 마음에 가 닿을 진심을 담아보자고 말한다.
2부에서는 좋은 이야기의 구조를 깊이 있게 분석한다.
저자가 말하는 핵심은 단 하나.
모든 이야기는 ‘결핍’에서 시작된다는 점이다.
주인공이 원하는 것을 가지지 못한 상태에서 출발해,
그 결핍을 채워나가는 여정이 바로 이야기의 뼈대가 된다는 것이다.
그 여정 속에서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요소는 세 가지다.
첫째, 공감.
주인공의 감정과 상황에 마음이 닿아야 이야기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둘째, 맥락.
인물의 배경, 상황, 시간 흐름 등 맥락이 풍부할수록 이야기의 감정선은 깊어진다.
셋째, 변주.
익숙한 이야기 흐름을 살짝 비틀어주는 의외의 전개.
이 작은 반전이 이야기를 특별하게 만든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루면, 이야기는 단순한 전달이 아니라
하나의 ‘의식’처럼 독자의 마음속에 오래 남는다.
마치 이야기를 다 읽고 나면, 세상이 조금 다르게 보이는 것처럼.
3부는 이야기의 설계 방식에 대한 실제적인 원칙을 다룬다.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본능을 자극하는 플롯 설계’가 핵심이다.
요즘 사람들은 집중력이 짧다.
몇 초, 몇 문장 안에 마음을 사로잡지 못하면 이야기는 버려진다.
그래서 긴장감, 갈등, 변화를 빠르게 느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감정의 흐름을 움직일 수 있는 장면과 리듬, 구조의 예시를 풍부하게 소개한다.
하지만 여기서 저자는 다시 질문을 던진다.
“무엇을 위해 당신은 이야기를 만들고 있는가?”
반드시 감동적일 필요는 없다.
때로는 보기 불편하고, 결론이 없고, 불완전한 이야기야말로
진짜 삶을 떠올리게 하고, 더 깊은 울림을 줄 수 있다.
저자는 이를 “창문에 균열을 내는 이야기”라고 표현한다.
모두가 믿는 ‘정의가 승리하고, 착한 사람이 복을 받는 세계’에서 벗어나
세상의 모순과 부조리를 직면하게 하는 이야기.
그런 이야기는 독자의 세계관에 조용한 균열을 만든다.
그리고 그 틈 사이로 ‘진짜 삶의 얼굴’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 책이 전하려는 핵심은 간단하다.
이야기란 단지 쓰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일이다.
무엇을 쓸 것인지보다
어떤 세상을 보고 싶은지,
무엇을 믿고 싶은지를 먼저 물어야 한다.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는
글쓰기를 배우는 책이 아니라, 삶을 바라보는 태도를 바꾸는 책이다.
글을 쓰는 사람에게도, 좋은 이야기를 찾고 싶은 사람에게도,
그리고 자신의 인생을 하나의 이야기로 이해하고 싶은 모든 이에게
이 책은 단단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우리는 결국 모두 이야기 속에 살아간다.
누군가는 주인공이고, 누군가는 조연이며,때로는 아무 역할 없는 배경일 수도 있다.
살아남는 이야기는 결국, 진심을 담아 세상의 균열을 마주한 사람이 쓰는 것이라고.
그 마지막 문장은 오랫동안 가슴에 남는다.
ㅡ
'웅진지식하우스'를 통해 도서 협찬을 받아서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성자]
인스타 #하놀 @hagonolza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gonolza84
한 사회가 공유하는 신화를 보면, 그 사회가 중시하는 신념과 도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교, 선화, 전래동화, 속설, 속담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허구의 신화는 한 사회에 부족한 질서를 인위적으로 부여해 당위성을 채워줍니다. 신화가 세계관을 지탱하는 셈이죠. - P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