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 수사국 엘러리 퀸 컬렉션 Ellery Queen Collection
엘러리 퀸 지음, 배지은 옮김 / 검은숲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Queen's Bureau of Investigation, 1954

  작가 - 엘러리 퀸




  ‘엘러리 퀸’의 소설은 내 기준으로는 장편도 재미있지만, 단편이 더 기발하고 재기 넘치는 것 같다. 그래서 예전에 ‘시그마북스’에서 나왔던 퀸의 단편집 두 권을 겉표지가 너덜너덜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읽었다. 이번에 ‘검은 숲’에서 새롭게 엘러리 퀸 시리즈를 내놓는데, 그 단편집도 새로 나오길 간절하게 바라고 있었다. 그런데 우왕! 처음으로 나오는 엘러리 퀸의 단편집이 나왔다! 바로 이 책 ‘퀸 수사국’이다. 처음에는 제목을 보고 ‘뭐지?’라고 의아했다. 아버지 퀸 경감이 수사국을 맡게 되었나? 그러면 아버지가 담당한 사건이 주로 나오나? 그런 의문은 목차를 보면서 곧 풀렸다. 아, 이래서…….


  퀸은 명탐정이자 유명한 추리소설 작가이다. 그가 주로 담당하는 건 살인사건이지만, 간혹 다른 종류의 사건을 맡기도 한다. 이 책은 그가 맡았던 다른 분야, 예를 들면 협박, 담합, 사기, 마약, 유괴 등등의 사건들을 담고 있다.


  짧은 이야기들이지만 처음에는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하는 궁금함을 한가득 던져준다. 그러다 퀸의 해결을 보면 ‘헐!’하면서 ‘대박! 이런 거였어?’라는 감탄과 기발함으로 깜짝 놀란다. 이런 과정을 여러 번 거치다보면, 자연스레 ‘더 주세요!’를 외치게 된다. 주스나 과자도 아닌데 말이다. 그래서 다른 이야기를 더 읽고 싶다는 갈증을 느끼는 모양이다. 아무리 읽어도 배가 부르지 않으니까. 잠깐! 책은 뇌의 양식이라고 하니 머리가 차지 않는다고 해야 하나? 하지만 그러면 내 머리가 비었다는 말이 되니까 으음……. 하여간 결론은 다른 단편도 빨리 읽고 싶다는 말이다.


  『불가능 범죄 부서: 세 과부』는 예전에 어느 잡지에선가 읽었는데, 삽화가 무시무시했던 기억이 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새엄마와 전처의 자식들은 절대로 화해할 수 없는 사이인가보다.


  『노상강도 부서: 라이츠빌의 강도』와 『다잉메시지 부서: GI 이야기』의 배경은 그 유명한 라이츠빌 마을이다. 잊을만하면 나오는 그 동네가 반갑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엘러리에게는 어떤 의미일지 의문이 들기도 했다. 그 마을은 엘러리가 갈 때마다 사건이 일어나는 것인지, 아니면 엘러리가 타이밍을 못 맞추는 건지 궁금하다. 악연이라고 해야 할지 필연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다.


  제일 기발했던 사건은 『유괴 부서: 아이가 사라졌다!』였다. 그게 그렇게 연결되다니 참……. 범인이 똑똑한 것인지 아니면 사람들이 멍청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아니, 어쩌면 범인이 그 사람일거라고 생각해볼 엄두도 내지 못했던 걸지도 모르겠다. 그러고 보면 선입견이 얼마나 무서운 지 알 수 있다. 대상에 대한 선입견이나 편견을 버려야하는데, 그게 잘 되지 않으니 문제다.


  아쉬운 점은 『협박 부서: 돈이 말한다』에서 사건 해결의 힌트가 어휘에 관련된 것이라는 부분이다. 퀸이 사건의 개요를 설명하는 곳에서 영국과 미국에서 쓰는 어휘가 다르다고 얘기를 해도, 그 전에 용의자들이 내뱉은 대사는 그냥 한글만 적혀있었기에 금방 와 닿지 않았다. 하지만 그 찰나의 순간에 그걸 포착한 엘러리의 능력에 감탄하며 고개를 끄덕였다.


  엘러리 퀸의 소설에서 일본의 식민 지배와 한국 전쟁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이 나오는 구절을 접하면서 기분이 묘했다. ‘아, 엘러리가 그렇게 오래 전의 사람이구나.’라는 생각과 ‘한국 전쟁이 일어난 지 그렇게 오래된 게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이 교차했다. 세월은 진짜 빨리 지나가고, 기억은 배로 더 빨리 사라지는 것 같다. 아, 더 이상 까먹기 전에 다른 단편집도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 그래미 노미니즈
키스 어번 (Keith Urban) 외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올해도 내가 아는 노래가 많았기에 고른 앨범이다.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노래를 알아가는 재미도 있지만, 이왕이면 아는 노래의 분포가 더 많은 게 좋다.

 

  가수들 이름을 쭉 훑어보면, 눈에 익은 이름을 발견할 수 있다. ‘Taylor Swift’는 거의 고정인 것 같다. ‘Ed Sheeran’과 ‘Meghan Trainor’ 그리고 ‘Maroon 5’까지 포진해있다.

 

  또한 작년에 아주 크게 히트를 친 노래들도 역시 들어있다. 가수 이름은 낯설지만, 종종 들었던 곡들이다. ‘Can't Feel My Face’는 후렴 부분만 먼저 들었었는데, ‘와- 괜찮다.’라는 느낌을 받았던 곡이다. ‘Thinking Out Loud’라든지 ‘Hold Back The River’도 잔잔하면서 느낌이 좋은 노래들이었고.

 

  컨트리 음악 쪽은 별로 들어보지도 않았고, 아는 사람이라고 해봤자 ‘Carrie Underwood’밖에 없다. 그렇기에 그래미 노미니스 앨범에는 왜 이렇게 컨트리 음악이 많은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내 취향에 맞춰서 앨범을 내는 게 아니라 미국 사람들 입맛에 맞춰 내는 걸 테니 그러려니 한다.

 

  그런데 ‘Taylor Swift’와 ‘Ed Sheeran’ 그리고 ‘Meghan Trainor’의 노래는 작년이 아닌, 재작년에 나온 게 아니었나? 노래는 다르지만 앨범은 같은 데, 작년에도 후보에 오르고 올해도 또? 싱글 앨범으로 따진 걸까? 잘 모르겠다.

 

  아, 그리고 몰랐던 노래 중에서 괜찮은 곡을 하나 찾았다. ‘Little Big Town’이라는 그룹의 ‘Girl Crush’다. 보컬을 맡은 사람의 목소리가 맑으면서 멜로디가 좋았다.

 

  내년에도 내가 아는 노래가 많이 들어있으면 좋겠다. 컨트리 음악은 좀 줄어들고……. 하지만 그렇게 될 리가 없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울어진 저택의 범죄 미타라이 기요시 시리즈
시마다 소지 지음, 한희선 옮김 / 시공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원제 - 斜め屋敷の犯罪, 1982

  작가 - 시마다 소지

 

 

 

 

  '유빙관'이라는 서양식 저택이 있었다. 전 세계의 인형과 가면을 모으는 은둔 재벌 '고자부로'의 집으로, 기울어진 저택과 옆에 서 있는 둥근 탑이 인상적인 건물이었다. 그는 연말을 맞아 거래처 사장과 중역 부부, 친인척 등을 불러 크리스마스 파티를 열기로 한다. 그런데 그날 밤, 손님 중의 한 명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경찰을 불렀지만, 그것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다음 날 또 다시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완벽한 밀실 상태에서 발견된 기괴한 모양의 시체에 모두들 경악하고, 그 어떤 실마리도 없는 상황에 경찰도 어찌할 바를 몰라 한다. 결국 '미타라이'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는데…….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어딘지 모르게 개운치 않았다. 이야기의 배경 설정이나 분위기, 흐름은 좋았다. 그런데 밝혀진 트릭은 아무리 봐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아무리 사전 준비를 철저히 했다고 해도 변수는 존재하기 마련이다. 왜냐하면 범인이 죽이려는 건 고정되어있는 물체가 아니라, 움직이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연습을 철저히 하고 대비를 해놓았다고 해도, 소설에서 사용된 트릭이 100% 성공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다. 음, 내가 공학이나 건축 쪽에는 문외한이라 그런 걸까? 평면도를 입체적으로 상상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일지도? CCTV로 피해자가 뭘 하고 있는지 보고 있는 게 아니라면, 완전 운에 맡기는 범행 수법 같았다.

 

  초반의 분위기라든지 사람들 사이의 관계 같은 것은 참 좋았고 이야기의 흐름도 마음에 들었는데, 범인의 트릭이 밝혀지는 순간에 김이 팍 새는 느낌이었다. 책에 수록된 평면도를 봐도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았다. 이게 어떻게 가능해? 이동이 가능하다고 해도 어떻게 정확하게 목표물을 죽일 수 있어? 목표물이 가만히 있을 거라는 보장도 없는데! 움직이면 완전 꽝이잖아!

 

  동기적인 면은 음, 범인이 너무 착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명이나 죽인 사람이 착하다고 하면 모순적이긴 하지만, 이 책의 범인은 요령이 없었다. 완전 악당이었다면, 잠재되어있는 죄의식이 아무리 커져도 모른 척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 정도로 악당이 아니었기에 그 죄의식을 감당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살인을 저지르게 되었다고 하면, 말이 될까?

 

  '점성술 살인사건'은 그래도 그냥 그러려니 하고 읽었는데, 이번 이야기는 그러려니 하고 넘기려니 너무 찝찝했다. 다음 이야기를 계속해서 읽어볼까 말까 고민을 좀 해봐야겠다.

 



   이 감상글을 올리기 전에 미리 읽어본 애인님이 자기는 2D 건축 도면을 3D로 만드는 일을 하고 있으니, 책을 읽어보면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잘난 척을 한다. 도전 받아주겠다! 설 지나면 책 택배로 보내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즈치처럼 가라앉는 것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1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제 - 水ちの如き沈むもの, 2013

  작가 - 미쓰다 신조

 

 

 

 

 

  방랑 환상 소설가인 '도조 겐야 시리즈' 중의 네 번째 작품이다. 시리즈를 찬찬히 읽고 있는……. 음? 리뷰가 하나가 없다?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 首無の如きたたるもの, 2010'이 빠져있다. 분명히 책을 읽었는데, 어떻게 된 걸까? 그건 나중에 다시 읽어보기로 하고, 우선 지금 리뷰를 쓰는 '미즈치처럼 가라앉는 것 水ちの如き沈むもの, 2013'에만 집중해야겠다.

 

  특이하게 이 책은 두 사람의 이야기를 교차해서 담고 있다. 일본을 돌아다니며 민담이나 괴담을 수집해 추리 소설을 쓰는, 하지만 괴담을 들으러 간 마을에서 꼭 사건을 맞닥뜨리고 탐정 역할까지 하는 '도조 겐야'의 이야기가 그 하나이고, 다른 하나는 2차 대전 이후 ‘수신제’를 지내는 외가에서 살게 된 어린 소년 '쇼이치'의 이야기이다.

 

  쇼이치는 2차 대전 이후, 엄마와 두 누나와 함께 만주에서 일본으로 온 어린 소년이다. 친척이라고는 엄마의 양부밖에 없기에, 소년은 그곳으로 가게 된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마을 사람들은 그들을 냉랭하게 대하고, 엄마를 짝사랑하던 옆 마을 신관인 '세이지'만이 도움을 줄 뿐이다. 엄마가 죽자, 세 남매는 외할아버지격인 '류지'에게 맡겨진다. 그런데 물의 신을 모시는 신관이라는 할아버지 류지는 어딘지 모르게 무섭기만 하고, 큰누나 '쓰루코'는 가끔 넋이 나간 것처럼 행동한다. 작은 누나 '사요코'는 류지가 쓰루코를 어떻게 하지 않을까 경계하고, 쇼이치는 이상한 것이 자꾸만 보이자 불안해한다.

 

  도조 겐야는 편집자인 '시노'와 함께 물의 신에게 제를 지내는 전통을 가진 마을에 도착한다. 네 마을의 신관들이 돌아가며 제를 지내는 것을 취재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제를 지내던 신관이 죽은 채 발견된다. 마을은 십여 년 전에 있었던 살인 사건을 떠올리며 불안해하고, 이어 신관들이 하나둘씩 살해된다. 겐야는 그것이 마을에서 바치던 제물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데…….

 

  신관, 산 제물, 그리고 이상한 것을 보는 소년. 이런 조합이라면 등골이 오싹해지는 기괴한 이야기를 만들어내기 충분하다. 거기에 저주라든지 연쇄 살인까지 가세하면 오싹한 분위기는 배가 될 것이다. 그런 이야기가 무섭지도 않고 재미가 없으면 그게 더 이상할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그런 장점을 적절하게 잘 드러내고 있었다. 특히 어린 쇼이치가 보는 환상을 묘사한 부분은 읽는 것만으로도 내 모든 감정이 가라앉고 허우적대는 기분을 들게 한다. 또한 살짝 살짝 드러내는 제물에 대한 비밀과 의혹은 내가 알고 있는 온갖 불길한 상상을 극대화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결말은 좀 아쉬웠다. 터질듯이 팽팽하게 부풀어 올랐던 풍선이 팡 터지지 않고, 중간에 구멍이 나서 바람이 빠진 것 같았다. 점점 고조되던 분위기가 갑작스런 마무리로 좀 허무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물론 범인의 정체나 트릭은 훌륭했지만, 어딘지 모르게 찜찜했다. 처음부터 범인이 누구일지 짐작이 가는 진행이었다. 게다가 에필로그에 해당하는 종장을 읽으면서 입맛이 씁쓸했다.

 

  그나저나 이 시리즈는 읽을 때마다 힘들다. 내용이 어렵다거나 그런 건 아니다. 등장인물이 꽤 많은데, 거의 친척이라 이름이 비슷한 게 문제다. 거기에 중간에 그 이름이나 지명에 얽힌 한자 풀이까지 막 나오는데, 한자 울렁증이 있는 난 볼 때마다 하얀 건 종이고 검은 게 글자라는 생각만 든다. 그래서 초반에 드러난 배경 설정이라든지 주요 힌트를 제대로 읽지 않고 넘어가게 된다. 헐, 설마 그래서 결말이 허무하다는 느낌을 받은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더 씨즈 - [할인행사]
워너브라더스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원제 - Under Siege, 1992

  감독 - 앤드류 데이비스

  출연 - 스티븐 시걸, 토미 리 존스, 게리 부시, 에리카 엘레니악

 

 

 

 

  미 해군의 전함인 '미조리호'가 마지막 항해를 떠난다.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면 미사일이 제거되고 해체될 예정이다. 부함장을 비롯한 몇 명 장교들은 함장의 깜짝 생일 파티를 열기로 한다. 하지만 파티를 위해 불러온 외부 인사들은 사실 변장한 테러리스트들이었다. 그들을 이끄는 빌은 전직 CIA 요원으로 정부에서 그를 죽이려고 하자 앙심을 품고 이번 일을 벌였다. 물론 배에 실린 핵미사일을 이용해 돈벌이를 해볼 계획도 갖고 있었다. 그들은 전함을 장악하고 선원들을 인질로 잡은 뒤, 미 정부와 협상을 시도한다.

 

  그런데 그 배에는 함장의 총애를 받는 요리사 ‘라이백’이 있었다. 오직 함장만이 그의 진짜 정체를 알고 있는데, 원래는 뛰어난 요원이었지만 지금은 모든 것을 버리고 오직 요리사로 살고 있었다. 다행히도 그는 깜짝 파티 바로 직전에 부함장과의 언쟁으로 창고에 갇히는 바람에 인질로 잡히지 않았다. 이제 그는 숨겨왔던 기술을 되살려 테러리스트들과 맞서는데…….

 

  스티븐 시걸과 토미 리 존스의 대결이 볼만한 영화였다. 특히 토미 리 존스의 미친 놈 연기는 아주 뛰어나서, 진짜 정신줄을 놓은 사람 같았다.

 

  영화는 아무 생각 없이 그냥 화면을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 편한 작품이다. 테러리스트들이 장교와 선원들을 죽이는 부분에서는 화를 내고, 남은 선원들을 인질로 라이백을 끌어내려고 할 때는 ‘저질이다! 우우우!!!’하면 된다. 또한 아무 것도 모른 채 모형 케이크 안에서 튀어나와 춤을 추던 여배우의 깜찍한 외모와 멋진 몸매에 감탄을 하고, 스티븐 시갈이 하나둘씩 테러리스트들을 제거할 때는 ‘와-’하고 박수를 치다보면 영화는 끝이 난다.

 

  폐쇄된 공간에서 다수의 적과 혼자 맞서 싸우는 영화로는 ‘다이 하드 Die Hard, 1988’가 있다. 두 작품의 성격이 그런 부분에서는 비슷하지만, 느낌은 조금 다르다. ‘다이 하드’에서 주인공인 ‘맥클레인’은 진짜 피투성이가 되도록 당하는데, 이 영화의 ‘라이백’은 끝까지 피 한 방울 먼지 한 톨도 묻히기를 거부한다. 단정하게 뒤로 넘긴 머리는 어떤 헤어왁스를 사용했는지 끝까지 흐트러지지 않는다.

 

  이런 상황이니 왜 다른 사람은 다 맞는 총알을 주인공은 안 맞는지, 말도 안 되는 상황이지만 왜 주인공이 하면 다 성공하는지 물을 필요도 없다. 그냥 보고 즐기면 된다. 머리가 복잡하고 어쩐지 짜증이 많이 나는 날 보기에 최적화된 영화였다. 또한 스티븐 시걸과 토미 리 존스의 이십 년 전 아주 젊은 모습을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괜찮은 작품이었다. 너무 자주 보면 식상하지만 몇 년에 한 번씩 보면, 볼 때마다 즐겁게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주는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