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에는 모두 75권의 책을 읽었다.
그 중에서 38권은 예전에 사둔 책들을 조졌다. 그리고 보니 요즘 새책은 거의 사지 않는다. 책방과 그 중앙에 쌓인 책들을 읽어야 한다는 적잖은 부담감에 시달리고 있는 중이다.

그런다고 해서 이미 올라간 책탑이 쉬이 허물어지지는 않을 것.
지난주에는 오랜만에 만난 대학동창 녀석에 책보따리를 한아름 안겨 주었다.
나에게는 필요없는 책이지만 그 녀석에게는 필요한 책이길 바라면서. 또 조금은 아깝다고 생각하는 책들도 앵겨 주었다. 책은 그렇게 보내는 거지. 미련 없더라.
술은 진탕 얻어 마셨으니 그 정도 쯤이야. 고마워 친구야.

1. 알리바이 - 안드레 애시먼
대표작은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이라는데(이 책도 결국 읽었다) 나는 작가의 소소한 추억들이 담긴, 그의 작품 세계의 연원을 알 수 있는 이 책이 더 좋았다. 처음으로 만난 책이어서 그럴까. 그리고 보니 이 책을 다 읽기도 전에 <콜 미 유어 바이 네임>을 읽다 말다를 반복하면서 두 책을 읽은 기억이다.
종로의 헌책방에서 저렴하게 데려온 녀석이라 더 애정이 가는 지도 모르겠다. 요즘 헌책값이 헌책값이 아니더라. 아, 내친 김에 원서로 <하바드 스퀘어>도 온라인으로 주문했는데 여적도 못받고 있다. 이걸 순전히 코로나 탓으로 돌릴 수 있을까. 어째야 하나, 다시 보내 달라고 해야 하나. 이런 적이 한 번도 없어서 난감하다.

2. 더 리더 - 베른하르트 슐링크
정말 오래 전에 사둔 책이었는데 마침내 읽었다.
어쩌면 2020년은 예전에 사두었지만 미처 읽지 못했던 책들의 가치를 느끼게 되는 그런 해가 아닌가 어쩐가 싶다.
내용도 기가 막혔고, 독일의 청산되지 않은 어쩌면 영원히 청산할 수 없는 그런 아픈 상처에 대한 이야기가 먹먹하게 다가왔다. 그것 참. 영화로도 있다고 하는데, 아마 나는 영화는 찾아서 굳이 볼 필요가 있나 싶다. 소설보다 나은 영화를 아직 만나 보지 못해서 그런가 싶다.

3. 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 - 팀 오브라이언
오랫동안 내가 찾아 헤매던 책이 마침내 새로운 번역으로 재출간되었다.
그리고 보니 도서관에서 한 번 빌리긴 했지만, 몇 장 읽다 말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언젠가 칼럼에서 우리나라 전쟁문학이 실종되었다고 하던데, 팀 오브라이언 작가가 직접 체험한 비엣남 전쟁에 대한 썰은 날것 그대로의 무언가가 느껴진다. 그래서 더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팀 오브라이언 작가의 다른 책도 곧 번역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신생출판사의 순항을 기대해 본다.

(이번에 만난 책은 문동판이나, 책을 꺼내기가 귀찮아 기존의 열린책들 사진으로.)
4.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도끼 선생
문동 도끼 선생 한 달 읽기 챌린지로 마침내 완독에 성공한 책이다.
5년 전에 열린책들 버전으로 도전했다가 개박살이 났었다. 사실 지금도 다시 읽으면서 다 소화해 내지 못함을 인정한다. 하지만 이 세상의 모든 걸 내가 다 이해하면서 살 수는 없지 않은가 말이다. 그러니 안되는 것은 안되는 채로, 또 나중에 다시 만나게 될 거라는 희망으로 넘긴다.
장장 세 권에 걸친 대작을 생각(?)보다 수월하게 마치고 나니 자신감이 붙어서 도끼 선생의 또다른 걸작 <죄와 벌>도 재독에 나섰다. 1권은 문동판으로 읽었는데, 두 번째 권은 사실 돈주고 사서 보기가 좀 그래서 걍 소장하고 있던 열린책들 버전으로 읽었다. 치트키인 셈인가. 역시 고전은 다시 읽어야 하는가 보다라는 걸 절실하게 느꼈다. 그리고 내친 김에 토마스 만의 <마의 산> 등반에도 나서긴 했는데 잠시 멈추고 있는 중이다.
챌린지 완독 선물이 어제 도착했는데 보기에 좋더라. 소소한 선물들, 다만 챌린지를 너무 일찌감치 끝내는 바람에 쫌 그랬다. 싱거운 맛이랄까.

5. 화이트 타이거 - 아라빈드 아디가
무려 2008년 부커상에 빛나는 작품이다.
6월의 끝자락에 읽었는데, 곧이어 읽은 <빌랄의 거짓말>과 더불어 쌍둥이 같은 작품이라고 부르고 싶더라. 전자는 현대의 인도의 진실을 그리고 후자는 73년 전 인도와 파키스탄 분리 독립 즈음을 다루고 있다.
아라빈드 아디가의 소설은 블랙유머로 넘쳐 흐른다. 21세기에도 수천년 된 계급제도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이 지주 계급에 시달려야 한다는 엄혹한 현실에 그만 할 말을 잃어 버렸다. 아니 그 지주계급은 이제 자본가계급으로 변신했던가.
변신에 변신을 거듭하는 인간 카멜레온 같은 문제적 인간 발람 할와이의 인생유전이 기가 막히다. 국내 출판사들은 속히 아라빈드 아디가의 다른 작품을 출간할지어다.
[번외편]

1. 루이스 세풀베다의 책들
전세계를 휩쓴 코로나 사태로 소중한 작가 한 분이 우리의 곁을 떠나 별이 되셨다.
그를 추모하는 의미에서 그동안 수집한 그의 책들을 꾸역꾸역 다시 읽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라 불릴 만하다는 생각이 다시 들었다. 책들마다 분량이 적어서 재독하는데 부담이 없었다. 게다가 마지막 소설까지 출간돼서 화룡점점을 찍었다. 아디오스 미스터 세풀베다.

2. 지상의 모든 음식은 어디에서 오는가 - 게리 폴 나브한
위대한 종자학자 니콜라이 바빌로프의 생애에 대한 르포르타쥬다. 바빌로프의 후예들은 인류의 미래를 위해 나치 독일군의 치열한 레닌그라드 공격으로부터 소중한 씨앗을 지키다가 장렬하게 산화했다. 바빌로프는 스탈린에게 숙청당했다.
전 세계를 누비며 소중한 씨앗들을 수집하고 연구한 바빌로프의 행적을 쫓는 게리 폴 나브한의 여정 역시 대단했다. 이런 책들은 정말 널리 알려서 많은 이들이 읽었으면 싶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