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피스 - 금지된 열다섯 ㅣ 청어람 청소년 2
이진미 지음 / 청어람주니어 / 2025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엘피스:금지된 열다섯/ 이진미 장편소설/ 청어람주니어
성장소설의 아이콘 ‘데미안’의 핵심 문장인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만 한다.”를 완벽하게 구현한 소설을 만났다. 청어람주니어 출판사에서 출간된 이진미 작가의 [엘피스:금지된 열다섯]이다. 청소년 대상으로 출간한 두 번째 이야기로, 미래 세계에서 벌어질 수 있는 소재로 우리의 뇌를 깨운다.
[엘피스:금지된 열다섯]에서는 환경호르몬, 로봇공학, 휴머노이드 등 오늘날 예측 가능한 미래가 그려진다. 우리가 한 번쯤 상상한 미래지만, 이진미 작가의 노련한 눈썰미는 빈틈을 찾아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이후 가속화되고 있는 인공지능과 로봇공학 관련 첨단 기술은 휴머노이드 개발을 실현시킨다. 이진미 작가는 ‘반려 휴머노이드’라는 화두를 꺼내 인간성, 존엄성의 의미와 규정에 관해 진지하고도 무거운 질문을 제시한다.
책 제목인 ‘금지된 열다섯’과 ‘엘피스’의 조합이 의미하는 바가 명확해지는 순간 소름이 돋았다. 엘피스의 아빠 진서우 박사와 W이 꿈꾸는 이상의 차이, 열다섯 동갑내기 엘피스와 노아가 겪는 성장통, 인간과 반려 휴머노이드의 관계를 잘 엮어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분투하고 있다.
"세상에 태어난 이상 누구나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다고 믿거든요. 그런데 많은 사람이 삶은 누리는 게
아니라 버티고 견디는 거라 여기는 것 같아요."
기술의 발달로 풍요로워진 미래 사회에서도 물질을 넘어서는 정신적인 유대와 교류에 대한 본능은 인간 사회의 특성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기술로 구현된 행복의 한계 혹은 허상 그리고 일방적인 관계 설정과 규칙이 어떤 파장을 불러올 수 있는지 보여준다. 엘피스가 금지된 열다섯이 되면서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들은 여느 또래가 보여주는 당연하고도 평범한 일상이지만, 배경이 된 미래사회에서는 벌어져서는 안되는 일이다. 사춘기와 휴머노이드 각성을 함께 겪은 엘피스가 감당해야 하는 혼란과 불안의 크기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나는 이걸 왜 궁금해하지?’로부터 시작된 질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희망’을 뜻하는 엘피스는 그 답을 찾기 위한 험난한 여정에 기꺼이 몸을 던진다. 이 조그만 아이가 보여주는 담대한 용기에 절로 가슴이 뜨거워지고, 부모로서 울컥하게 된다.
"스스로 생각해 볼 기회도 많이 주고.
휴머노이드가 아닌,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의
삶을 누릴 기회가 온다면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지에
대해서 말이야."
[엘피스:금지된 열다섯]은 기술의 개발은 편리와 혁신으로 이어지지만, 그 이면에 존재하는 불합리, 차별 등 파생되는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깨닫게 해준다. SF 장르가 지닌 무한한 상상력으로 그려지는 미래 사회는 ‘실현 가능성’을 품은 세상이기에 더 빠져들게 된다. 그렇기에 엘피스, 노아, 반디가 겪는 고통과 혼란이 더 크고 깊게 와닿았다. ‘나는 누구인가?’ 고민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깊이 고민하고 옳다고 믿는 길을 기꺼이 걸어가는 [엘피스:금지된 열다섯]은 큰 힘이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