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B급 좌파 김규항은 오늘날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기준은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냐 아니냐에 있다고 했다. 그렇다고 '나쁜 사마리아인'의 저자 장하준을 진보라고 색깔 지울 수는 없겠지만 '신 자유주의'만을 놓고 봤을 때 그는 위대한 진보의 리더가 되거나 적어도 학술적, 정신적 스승이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신 자유주의의 핵심은 이렇다. 각자 잘하는 것만 하고 살자는 것. 예를 들어 커피콩 재배가 왕성한 이디오피아나 케냐는 앞으로도 쭉 커피콩 수출에만 힘 쓰고 자동차, 컴퓨터 등이 주 수출품인 미국은 앞으로도 계속 이런 물건들만 팔자는 것이다. 거기다 이런 수출품이 더 많이 팔릴 수 있도록 각 국가의 관세 완화 혹은 무관세 제도를 추가한다.  

이렇게 되면 자본의 중복 투자로 인해 생기는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디오피아나 케냐는 이미 미국이 잘 만들고있는 자동차, 컴퓨터 생산을 위해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감행할 필요가 없고 미국 또한 애꿎은 땅을 갈아 커피 농지로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전 세계가 효율적인 경제 시스템 아래 하나가 되는 것. 신자유주의는 이처럼 매력적이고 논리적으로 결함이 없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가득차 있다. 그런데 왜 난다하는 경제학자 장하준은 신자유주의를 비판하는 것일까?

신자유주의에 더러운 음모가 숨겨져 있다는 것은 오늘날의 선진국들이 자국 경제 발전을 위해 강력한 보호무역을 펼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신자유주의의 광신도 미국은 개발도상국 시절 지배국인 영국과 유럽 열강들의 우수한 제품들로부터 자국의 공산품을 보호하기 위해 무지막지한 관세 제도를 비교적 최근까지 유지해 왔다.  

자유주의의 발상지인 영국은 어떨까? 영국은 낙후되 있던 면직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외국의 기술자들과 기계를 불법으로 빼돌리고 상표권을 침해하기도 했으며- 오늘날 신자유주의자들이 거품을 물고 떠들어대는 특허권 침해에 해당한다 - 면직물 산업의 선진국에게 양모 수출을 금지하기도 했다.  

이런 강력한 국가 개입으로 인해 영국은 면직물 산업을 넘어 다양한 산업을 높은 수준으로 키워낼 수 있었으며 이것이 태양이 지지 않는 나라 대영제국의 기반이 될 수 있었다. 더이상 자기 나라에 대항할 수 있는 나라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영국은 어떤 선택을 했겠는가? 바로 전 세계적인 자유주의 무역이었다.

자유주의 무역은 후진국들에게 부가가치가 낮은 원재료(양모, 곡물, 각종 자원 등) 생산에 집중하게 만듦으로써 그들이 중공업, 기계 분야 등 기술집약, 고부가가치 산업 발전에 기울이려는 노력을 원천적으로 봉쇄한다.  

또 낮은 관세 제도는 후진국들에게 이중의 십자가를 지운다. 후진국일수록 세금을 거둬들이는 시스템이 취약하기 마련이다. 이런 국가들이 그나마 안정적으로 수입을 거둘 수 있는 분야가 바로 관세인데 자유주의 무역은 이 관세를 심각하게 낮추거나 심지어 무관세를 유지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후진국들의 정부는 극심한 재정 적자에 시달리고 결국에는 IMF, 세계은행 같은 세계 경제를 이끄는 사악한 악마들에게 국가의 영혼을 저당잡히게 된다. - WTO, 세계은행, IMF는 사악한 삼총사로 불린다 -

IMF는 공짜로 돈을 빌려주지 않는다. 막대한 이자를 받아 챙길 뿐만 아니라 원조국의 경제 정책을 직접 계획한다. IMF는 그 동안 원조국이 진행해오던 모든 경제 정책을 뿌리까지 뽑아내고 그 위에 자유주의의 씨앗을 심는다.  

우선 자본시장을 완전히 개방하여 외국의 투기 자본들이 우량 기업들을 마음껏 사냥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그런다음 유치 산업 장려를 위해 제공하던 각종 국가 보조금 지원 제도를 폐지한다. 이로써 아직 새싹도 틔워보지 못한 고부가가치 산업들은 완전히 궤멸되고 선진국이 원하는 제품만을 생산해야만 하는 산업 구조가 강제된다. 그 다음이 공기업 죽이기다.  

IMF와 미디어는 변화와 개혁을 저해하는 주범으로 공기업을 지목한다. 따라서 공기업의 개혁을 위해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바로 시장에 내놓는 것이다. 이로써 국가의 기간망을(전기, 통신, 수도 등) 경영해 오던 공기업들이 외국 자본의 손아귀에 넘어간다. 여기까지 가면 IMF와 신자유주의는 더이상 경제 주권에만 관련된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국민들의 생존권마저 위협할 수 있는 절박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나는 국방부 선정 불온도서라는 것을 처음 봤을 때 깜짝 놀랐다.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아직도 이 땅에 있을 줄은 몰랐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쁜 사마리아인'을 보고 나서 생각이 바꼈다. 그들은 매우 정확하고 분별있는 판단을 했던 것이다. 그들이 거의 똑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장하준의 저서 '사다리 걷어차기'를 불온 도서 목록에 올리지 않은 것을 봤을 땐 감탄할 정도였다.

'나쁜 사마리아인'은 '사다리 걷어차기'의 후속편 격이다. 전작이 각종 통계와 역사 자료로 무장한 논문에 가깝다면 후속편은 소파에 편안히 앉아 TV대신 볼 수 있는 산문에 가깝다. 내용이 같더라도 재미가 있는 쪽이 더 위험한 법이다.  

국방부는 '나쁜 사마리아인'이 가진 '읽는 맛'과 내용에서 반정부 감정의 강력한 파급력을 봤던 것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양서의 기준에 부합한다. 좋은 책이란 자고로 재미, 의미(메세지), 정보가 삼위 일체를 이루는 책이기 때문이다.

아직도 이 책을 보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정말 강추다. 아니 강추란 말로는 부족하다. 지극히 평범한 경제학에 문외한인 내가 이런 평가를 내릴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 책은 10점 만점에 100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고전예술 편 (반양장) - 미학의 눈으로 보는 고전예술의 세계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단숨에 읽어 치웠다. 일전에 진중권을 지식을 대중화하는데 있어 독보적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말한 적이 있었는데 여기 그의 진가를 드러내는 또 하나의 책을 소개한다. 바로 서양미술사.  

진중권 책의 특징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정리
요약
간지나는 글발

사실 그렇다. 꼭 알아야 한다는 학문일수록 그리고 기초가 되는 분야일수록 그렇게 재미없을 수 없다. 뿌리부터 튼실히 키워야 결국 훌륭한 사람이 된다는 걸 알고 있지만 정작 새벽부터 줄 서서 등록하게 만드는 건 시험에 나오는 것만 콕콕 집어 강의한다는 족집게 과외다.  

물론 진중권을 대중의 입맛에 영합하는 저급한 학원 강사로 치부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하기엔
그의 주제와 그것을 다루는 방식이 결코 가볍지 않기 때문이다.

진중권의 주제는 크게 미학과 현대 문화 비평 그리고 정치다. 정치는 100분 토론에서 많이 보여주고 문화는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그때 그때 쓰는 편이다. 미학은 그의 특기다. 권수가 가장 많고 내용도 제일 무겁다. 따라서 그의 장점이 가장 두드러지는 분야이기도 하다.  

특히 그의 미학은 언제나 미학'사'를 포함한다. 역사는 다양하기 때문에 정리가 필요하고 방대하기 때문에 요약을 해야하며 따분하기 때문에 간지나게 써야한다.

서양미술사 1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으로 보면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해서 중세, 르네상스, 마니에리스모를 지나 바로크, 로코코까지 거기서 한 발 더 뻗어 현대 미술에까지 깃발을 꼽는다.  

여기서 모든 장은 각 시대의 양식들이 갖는 색, 선, 구성의 특징을 설명한다. 진중권에 따르면 '체계론'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공시적인 접근이다. 한편 고대 미술에서  현대 미술까지의 선형적, 시간적 구분은 필연적으로 양식의 변천 과정을 다루게 된다. '학설사'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통시적 접근이다. 

이로써 그가 주장하는 헤겔의 방법, '논리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의 통일이 이 한 권의 책에서 이뤄진다.

따라서 우리는 미술에 대한 중요한 두 가지를 배울 수 있다.  

첫째는 그림 자체를 어떻게 보고 읽어야 하는가 이다. 각 시대의 화가들이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선과 색과 구성으로 드러났는가. 이를 통해 우리는 중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그림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둘째는 그럼 이 그림들이 도대체 왜 시대마다 다르게 표현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것은 미술 재료나 기술의 차이에서 오기도 하고 시대 정신, 지각방식의 변화가 반영되기도 한다. 심지어 특정 시대에는 비평이 만들어내는 문화 코드가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술과 기술-사회-문화가 관계 맺는 방식을 알게 되며 비로소 미술'사'의 흐름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진중권의 책은 언제나 꽉 차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손에 쥔 것만으로도 모범생이 될 수 있다는 전교 1등의 전설적 노트 필기를 쥔것 같달까? 그럼에도 따분하거나 어렵지 않다는 건 누누이 강조하듯 진중권 최고의 능력인 듯 하다.  

그래서 그의 저작은 잘 만든 대중 문화의 키워드인 '웰메이드'를 연상시킨다. 대중들이 진중권에 열광하는 이유도 어쩌면 품격 높은 대중문화에 대한 찬사가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중톈 미학강의
이중텐 지음, 곽수경 옮김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가지 고백하자. 내가 어느 순간부터 '~합니다', '~였습니다' 등의 구어체로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모두 이중톈 때문이다. 나는 이 사람의 책들을 읽으면서 내가 글보다 '말'에 능한 사람일 수도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깨달았고 리뷰를 쓰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렸던 이유도 말이 아니라 글을 쓰려고 했기 때문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문체를 바꿔 보았다. 그러고 나자 나는 글을 쓴다는 중압감에서 벗어나 가벼운 스토리텔러가 될 수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중톈은 나에게 중요한 깨달음을 안겨준 위대한 스승이었다.
그러나 내가 얻은 것은 작법에 대한 것만이 아니었다. 미학강의. 이중톈 저작의 최고봉이라 부를 수 있는 이 책을 접한 뒤로 난 미학을 향해 한발짝 더 나아갈 수 있었다.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가 앨리스를 이상한 나라로 인도한 '백토끼' 같았다면 미학강의는 파랑새. 그 어떤 미학서도 따라올 수 없는 절대적 황홀함의 임팩트가 바로 그 이 한 권의 책에 있었다.

이중톈은 중국 CCTV의 백가강단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삼국지를 강의한 후로 슈퍼 스타가 된 교수님이시다. 그래서 그런지 강의란 이름으로 많은 책을 출간하는데 이 강의들은 모두 구어체로 씌여져 있다. 미학강의도 마찬가지다. 

사실 미학강의를 최고로 치는데는 미학에 대한 통찰, 그 깊이에 대한 탄성에 있기도 하지만, 이같은 구어체 설명을 통해 어떤 어려운 개념이라도 마법처럼 풀려버리고 마는 설명의 묘를 경험 할 수 있다는데 더 큰 이유가 있다.

어디어디 유명한 출신의 선생이라던가 학자라던가 하는 사람들을 보면 자기 조차 무슨 말인지 모를 정도의 현학적인 글과 강의를 해대는 사람들이 있다. 어쩌면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학문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기 때문에 그저 자기가 보고 들은 어려운 강의와 책들을 되풀이 하고 있는건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중톈은 다르다. 이토록 쉽고 깊이 있는 미학 입문서를 나는 여지껏 읽어 본 적이 없다.

*이 책은 '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에서 출발하여 칸트와 헤겔의 근대미학을 반환점으로 돈 뒤 마지막으로 예술과 미학의 상관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최초의 질문에 묵직한 답을 제시한다.

마지막 장인 '미학과 미학사의 흐름'은 일종의 부록같은 성격의 챕터로 동서양 철학사의 대략적인 설명이 담겨있다. 그러나 다뤄야할 내용이 워낙 많아 간략한 설명에 그치고 만다. 미학사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읽기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 동양 미학사(중국 고전 미학사) 부분은 사상 자체의 심오함에 생소함기까지 한 내용이라 나의 경우 대부분을 건너 뛰어야 했다. 하지만 많은 분량이 아니니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앞 장의 내용들을 섭렵하는 것 만으로도 우리는 상당한 미학적 진보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안드로이드에게도 문제는 있다. 특히 일관된 User Experience 제공의 문제. 이건 정말 큰 일이다. 안드로이드는 Open Platform인 탓에 각 Vendor가 얼마든지 Cutomization이 가능하다. 이건 제조사 별로 UI가 천차만별이라는 이야기.  

물론 Google이 정해놓은 몇가지 SPEC은 있는 듯 보이지만 확실히 안드로이드폰을 볼 때 마다 어딘지 모르게 조잡함이 느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게 단순히 Look & Feel과 사용성 문제로 끝나면 다행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북미 T-Mobile에 출시된 Behold 2 User들이 삼성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벌이고 있다는 기사는 이 문제의 핵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자사의 UX identity를 강조한다며 삼성이나 LG가 만들어 놓은 Customized UI는 출시 당시의 OS 버전이 아니면 돌아가지 않는다. Behold, Optimus Q 어쩌면 갤럭시S까지 OS 버전 Upgrade는 불가할 수도 있다는 얘기. 이게 말이나 되는 것인가? OS 버전이 달라질 때 마다 UI를 새로 개발해야 한다면 대체 왜 Platform이 필요하단 말인가? 이건 안드로이드의 플랫폼으로서의 위상과 App Store 성장의 발목을 잡는 결정적 오점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잠깐, 안드로이드와 Apple 얘기에 열을 올리느라 모르고 있었겠지만 정말 불쌍한 친구 하나가 여기 와 있다. 몰랐겠지만 이 이야기를 시작할 때부터-어쩌면 그 전부터 우리와 같이 있었다. 그건 바로 Windows Mobile(WM)이다.

아이폰이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Google이 안드로이드와 Chrome 운영체제를 발표하면서 우리의 마소(MS)는 거의 왕따가 됐다. MS가 아무리 못된 놈이라지만 이 정도까지 당하는 걸 보면 측은한 마음까지 든다.  

특히 Windows Mobile 7을 발표했을 때 MS의 굴욕은 절정에 달했다. 7은 이전 버전의 WM이 보여줬던 느린 속도와 극악의 UX를 개선하기 위해 절치부심. iPhone을 뼈속까지 벤치마킹한 마이크로소프트 35년 베끼기 기술의 결정체였다.  

그들은 경쟁사의 OS 속도를 따라잡기 위해 유일한 장점이었던 Multitasking 까지 포기했다. iPhone의 Performance가 Multitasking처럼 까다롭고 중요한 몇몇 기능을 배제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건가? 그런데 몇일 뒤 발표된 iOS4에는 보란 듯이 Multitasking 기능이 추가 됐다.  

이건 단순히 몇몇 기능이 추가되고 빠지는 문제가 아니다. MS는 무엇보다 기술 혁신이 최고의 가치로 여겨지는 SW Geek들의 세계에서 완전히 패배한 것이다. 이로써 WM은 기술 선도는 커녕 그나마 유지해오던 주류 Platform으로서의 위상마저 무너져 버리게 되었다. 

하지만 WM7에게도 희망은 있다. 특히 *PC-Console-Mobile Game 개발 환경을 통합하는 XNA. 현재 스마트폰 OS의 성공 여부가 App Store에 달려 있고 그 App Store를 거의 Game이 주도하는 것을 볼 때 XNA는 분명 WM7의 성공에 Key Solution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간의 역사를 돌아봤을 때 몇 개의 제품이 시장을 독점하는 현상은 결국 소비자의 권익을 해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천하의 평화를 위해 제갈량도 삼분지계를 내세웠지 않았던가? 아무쪼록 Apple, Google, MS 나아가 더 많은 플랫폼이 이 전쟁에 뛰어들어 좀 더 다이나믹하고 흥미로운 전개가 됐으면 한다.  

그래야만 소비자의 선택은 다양해지고 제품의 퀄리티는 향상되며 종국에는 진짜 '물건'들만이 살아 남아 이 세계를 진정 풍요롭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Phone4가 발표됐다. 한국엔 7월에 발매한단다. iPad 3G와 iPhone4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었는데 아무래도 iPhone4가 먼저 인 것 같다.

지금 업계는 완전히 스마트폰 열풍이다. 전형적 공기업의 대명사였던 KT는 아이폰을 타고 훨훨 날아다니더니 지금은 거의 애플과 자신들을 동일시 하는 경향까지 보이고 있다. 눈꼴 신 광경이 아닐 수 없다.  

특히 KT 사장 이석채님은 iPhone을 자기가 기획한 Device인 양 칭찬 일색이다. 마치 오래전부터 자신은 이런 일을 예상하고 있었다는 듯이, 한국의 Vendor를(특히 삼성)들에게 진지한 얼굴로 충고하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절로 웃음이 나오기도 한다. 그래도 고마워요 KT, 당신들의 절박함이 없었다면 우리나라에 iPhone은 없었을거야.

한편 삼성은 iPhone4 발표와 동일한 날짜에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갤럭시S를 출시했다. 선주문이 100만대를 넘었다는 등 말이 많지만 언론 플레이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잘 모르는 사람들이야 그렇다 쳐도 업계의 개발자들까지 '갤럭시S가 더 좋은거 아냐?'라고 묻는 걸 보면 마케팅을 잘하는 것 만큼은 정말 이 기업을 인정해 줘야 하지 않나 싶다.  

하지만 그래봤자다. 아직도 반응 속도 정도를 Unique Selling Point로 활용하는 그들의 전략을 볼 때 '우리 이정도 따라왔어요 앞으로도 열심히 해볼게요' 정도로 이해하면 충분할뿐 Paradigm을 뒤바꾸는 메가 쇼킹 Device로서의 임팩트는 부족해 보인다.

가끔 보면 이제 안드로이드가 대세라는 말도 나오곤 하는데 확실히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시장 점유율은 급성장을 보이는건 맞다. 하지만 그건 삼성이나 LG, 모토로라, 소니에릭슨 같은 주요 휴대폰 Vendor에게 안드로이드 말고는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Apple은 App Store를 Launching 하면서 통신사가 주도하던 기존의 시장에 심각한 균열을 야기했다. 그동안 초특급 '갑'을 유지해오며 불멸의 왕으로 군림하던 통신사들의 위기가 얼마나 컸던가? 그들은 전 세계적으로 전무후무한 연대를 벌이며 Anti Apple 전략을 가동했고 안드로이드는 이런 분위기의 1등 수혜자였다. 그러니 안드로이드의 시장 점유율 폭발은 당연할 수 밖에.

물론 시장 점유율이라는 건 굉장히 중요하다. 위대했던 베타맥스가 VHS에 밀린 예를 굳이 거론할 필요도 없이 말이다. 특히 Market Share 확보는 App 시장의 규모를 형성하고 수 많은 개발자들을 참여하게 만들며 당연히 High Quality App 개발로 이어지게 된다. 현재 안드로이드의 최대 약점이 App Market인 것을 고려할 때 이는 얼마나 긍정적인 현상인가.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