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 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ㅣ 행복사회 시리즈
오연호 지음 / 오마이북 / 2014년 9월
평점 :
책 제목을 본 순간, 단순한 에세이집으로 생각하고 가볍게 읽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러나, 책의 서문을 읽는 순간, 나의 판단이 틀렸다는 생각을 하였다. 덴마크를 직접 발로 뛰어다니며, 작고 척박한 나라 덴마크가 어떻게 해서 가장 행복한 나라가 된 비밀을 풀기위해서 무척이나 노력한 흔적이 보였다. 쉽지만 쉽게 읽을 수 없는 책이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돈 많은 선진국이기에 할 수 있는 일들이라며, 선진국의 사례를 비판적으로만 보았던 시선을 교정하게 되었다. 그래, 우리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책에서 말하는 행복한 덴마크의 비밀을 우리의 현실과 대비시켜 살펴보자.
1. 자식은 부모의 ‘아바타’가 아니다!!
학교 교사로 있으면서, 일명 ‘문제아’를 많이 보았다. 때로는 바르게 인도하고 싶어서 매를 든적도 있었다. 문제학생 때문에 힘들어하는 학부모의 모습을 보며, 타이르기도하고, 혼을 내기도 했다. 그때, 학생이 말했다. “난, 반드시 퇴학당할거에요. 난 실업계 학교에 가서 기술을 배우고 싶어요. 그런데 부모는 허락하지 않아요.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길은 이거밖에 없어요.”라는 절규를 들었을 때, 나는 순간 얼어붙었다. 부모는 자식을 자신의 아바타로 생각하고 있었다. 자신이 이루지 못한 한을 풀어주기를 바랬다. 그리고 실업계를 다녀, 자신의 체면을 손상시키는 일을 자신의 ‘아바타’는 하지 말아주길 강요했다. 그리고 자식을 망치고 있었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수많은 폭력을 교직생활을 하면서 보았다. 그리고 학부모에게 학생편에서 진로를 결정해달라고 말해보지만, 대부분 이를 무시한다. 그리고 부모의 마음을 모른다고 나를 원망하기도 한다. 반면, 덴마크에서는 부모는 자식이 원하는 일을 하도록 기다려준다. 그리고 그렇게 선택한 직업은 통해서 많은 덴마크인은 행복을 찾는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할때 너무도 행복하다는 평범한 진리를 덴마크는 실천에 옮기고 있었다. 우리의 부모들은 자식을 망치고 나서야 진정한 자식사랑이 무엇인지를 깨닫는 경우가 많다. 그들이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자식은 부모의 ‘아바타’가 아님을 부모가 깨달을 때만이 진정한 사랑을 자녀에게 줄 수 있다.
2. 낙인찍지 말자!
교육학에도 낙인이론이 있다. 문제아로 찍힌 학생은 스스로를 문제아로 생각하기에 영원한 문제아가 된다는 이론이다. 이러한 일은 우리 교육현실에서도 그대로 이뤄지고 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 항상 잘하는 학생으로, 못하는 학생은 못하는 학생으로 낙인이 찍힌다. 그리고 사회에서도 일명 ‘사’자가 들어가는 직업을 가진자를 성공한사람으로 보고, 잠시 쉬는 자를 루저로 낙인을 찍는다. 그리고 그 낙인은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타인에 의해서 찍히는 낙인도 있지만, 이러한 낙인을 스스로가 자신에게 찍는 경우도 많다. 치열하게 살아가지만, 사회에서 루저가 되지 안을까 항상걱 정하며 불안해하는 모습이 우리의 모습이다.
반면, 덴마크에서는 공부를 한다고 칭찬하지 않는다. 여러 가지 능력중에서 한가지를 잘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명 ‘사’자가 들어가는 직업을 가진자라하여 특별히 부러운듯 바라보지도 않는다. 진정으로 직업에는 귀천이 없음을 그들을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스스로가 스스로를 낙인찍고 스스로 열등감에 휩싸여 살아가는 우리의 자화상과는 너무도 차이가 난다. ‘자존심’을 앞세우기 보다는 스스로의 ‘자존감’을 높이는 모습을 덴마크인에게 볼 수 있다. 그 누구도 자신과 타인에게 낙인을 찍지 말자!
3. 연대하자!
한국의 노조 가입율은 낮은 편이다. 노조에 대한 기업의 부정적인 시선과 언론의 부정적 기사 속에서 낮은 노조 가입율은 당연한 모습일지도 모른다. 강경한 노조의 모습들이 TV를 통해서 전해지고, 그러한 현상만을 보는 일반인들은 노조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도 노조 가입율은 계속 낮아지고 있다. 예외적으로 제왕적으로 군림하는 관리자가 학교에 있을 경우, 역설적으로 노조가입회원이 늘어날 뿐이다. \
반면 노조가입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덴마크의 모습을 신기하기까지하다. 세상의 모든 일은 혼자서 성취할 수 없다. 그러하기에 연대가 필요하다. 행복한 복지국가 덴마크를 만든 힘은 바로 연대의 힘에 있다. 그 연대의 힘은 노조가입률로 나타나고, 많은 협동조합으로도 나타난다. 민주국가의 주인이고 싶으면, 주인으로서의 모습을 행동으로 보여야한다. 선거일에는 반드시 투표를 해야하며, 자신의 의사를 분명히 표명하고,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노조에도 가입해야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발자국 더 나아가서, 협동조합을 만들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데 노력해야하는 것이다. 행복한 민주국가 대한민국은 그 주인인 국민이 주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일 때 만들어진다는 평범한 진리를 이 책은 말해주고 있다.
4. 항상 깨어있자!
지금의 덴마크를 만드는데, 니콜라이 그룬트비가 ‘농민학교’를 만들고, 덴마크인을 깨어있는 인간으로 만들려했고, 이를 통해서 깨어있는 덴마크를 만들었다. 그 나라의 수준은, 그 나라의 국민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다. 국민이 깨어있지 않다면, 그 나라의 수준은 낮아지는 것이 당연하다. 그 사람의 능력보다는 그 사람의 겉모습을 보고 투표를 하는 우(愚)를 범한다던지, 국민을 위해서 자신의 모든 열정을 바치는 정치인을 도둑으로 매도하고, 국민의 세금으로 특정세력의 배만 불리는 사람을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어리석은 모습을 보는 경우를 우리는 흔히 본다. 지금의 한국 사회의 위기도 바로, 국민이 깨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니콜라이 그룬트비는 나라를 깨우치기 위해서 농민을 먼저 깨우쳤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이것이다. 교육에 몸담고 있기에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혼신의 열정을 바쳐 교육해야함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미래의 주인인 청소년들을 깨어있는 존재로 키우기 위해서 지금 내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본다. 이 책속에 덴마크 교육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소개해 놓고 있다. 한꺼번에 많은 일들을 하려하지 말자. 하나씩 하나씩 실천에 옮기자. 소의 걸음으로 천리를 가듯이, 나의 길을 뚜벅뚜벅 걷다보면, 언젠가는 우리의 목표에 성큼 다가갈 것이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듯이, 덴마크가 완벽한 지상낙원은 아니다. 덴마크에도 분명히 문제점은 있다. 그러나 덴마크에는 우리가 배워야할 장점들이 너무도 많다. 경쟁을 열심히하면, 더 나은 사회가 만들어 질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불행한 삶을 살고 있다. 1등이 성적인 떨어졌다고 자살하는 경우를 신문지상에서 볼 때마다 1등조차도 행복할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 너무도 서글프다. 1등부터 꼴찌까지 모두가 행복할 수 있도록 이제 우리가 달려갈 때이다. 우리 손잡고 작지만 큰 걸음을 다같이 내듣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