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등 신문 읽기 2 : 사회 문화 - 명문대 입학을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비문학 독서 논술 ㅣ 중등 신문 읽기 2
조찬영.이지혜 지음 / 가로책길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중등신문읽기, #2사회문화, #조찬영, #가로책길, #중학생추천도서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는 중학생들에게 어렵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막상 다 읽어보니 학생들에게 중요한 내용들을
학생들 눈높이에서 잘 정리해 주셨기 때문에
꼭 필요한 책인 것 같아요.
좋은 글을 많이 읽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듯이
좋은 글을 읽는 것이 우선인데
이 책에서는 좋은 신문 기사 내용을 엄선하여 모아 주신 덕분에
수월하게 공부해 나갈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최근 이슈가 되는 좋은 글들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말하거나 쓰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 책에서는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대두되는 여러 가지 주제들을
한데 모아 주셔서 빠르게 여러 상식들을 습득할 수 있고
그것과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만들어 나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쓰는 칸들도 잘 만들어 주셨어요.
이 책 한 권만 완벽하게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연습을 해 나간다면
다른 글들을 읽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스스로 생각을 잘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아서 기대가 됩니다.
이 책의 내용이 모두 최근 가장 크게 대두되고 있는 문제들을 다루기 때문에
요즘 신문을 읽는 느낌이에요.
중학생 수준에서 꼭 필요한 주제들만 모아 놨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정말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저는 그 중에서도 디지털 격차라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최근에 디지털 교과서 로 공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것이 학습에 더 접근하기 쉽고 평등하게 교육받을 기회를 준다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디지털 격차로 인한 교육 불평등이 야기된다고 하니
읽고 생각할 점이 많더라고요.
신문 기사 뒤쪽에는 이 책을 만들어 주신 선생님이 조금 더 심화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발문을 해 주셨어요.
디지털 시대의 학습 격차 해소를 위해
민간기업의 역할이나 공동체적으로 어떤 대응을 할 수 있는지 등
미리 생각해 보면서
다른 사람의 이야기들도 관심을 갖고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며 읽었습니다.
기사 내용을 요약해 볼 수 있는 부분도 있었는데요.
요약해 주신 부분 다시 한번 읽어 보면서
자신이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고
요약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어요.
기사가 서론 본론 결론으로 어떻게 구조화되고
펼쳐 나가는지도 정리해 주셔서 도움이 되었고
한번 따라 읽거나 써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본문의 내용을
객관식으로 문제 내 주시기도 했는데요,
문제가 길지만 방금 전에 읽은 내용이 정확하게 이해되었다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정도의 문제였어요.
마지막으로 서술 문제들도 준비해 주셨는데
저는이 부분이 제일 좋았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실제로 나만의 이야기로 다시 풀어서 쓰는 거죠.
자기가 자기 생각을 정리해서 쓰려면 정말로 이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공부를 더욱 완벽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거 같아요.
그 문제에 대해서 여러 각도에서 자신의 해결점을 찾아보는 시간을 갖게 해 주신 것 같아 좋고 제목을 만들거나 여러 가지 찬성과 반대의 생각도 서술해 볼 수 있게 해 주셔서 하나의 기사를 가지고 여러 방면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이 저절로 길러지네요.
이 외에도 옴니버스 소비, 페이스테크, 아보카 트렌드, 젠더 평균, 데이터 프라이버시, 청소년의 팬픽 등
중학생들에게 관심 있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나
중학생들이 꼭 알아야 하는 주요 내용들을 실어 주셨기 때문에
이 책 한 권을 읽고 사회 관련 18개 문제,
문화 관련 18개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학생들이 신문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확장해 나가며 정리하여




국어 실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이 책을 중학생들에게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