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환기의 구조 ㅣ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권수경 옮김, 아코 준야 외 감수 / 성안당 / 2023년 8월
평점 :

저자 아코 준야는 기타사토대학 의학부 순환기내과 주임교수이다.
순환기는 우리 몸속의 체액을 순환시키는 기관들을 일컫는 말로 1분간 5리터의 혈액을 쉬지 않고 우리 몸 곳곳으로 옮기는 심장과 혈액을 전달해 주는 혈관이 있다.
심장의 펌프 기능은 판막이 정교한 움직임을 통해 수축, 전지적 제어, 혈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고 혈관은 분화 구조에 따라 몸속 말초신경까지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해 주는 기능을 한다.
태어날 때부터 계속 움직이는 순환기 계통의 장기는 여러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주요 질환 중에는 심근경색, 협심증과 같은 동맥경화성 질환에 기초하여 발병하는 질환과 심장판막증, 대동맥질환, 폐혈전색전증과 같이 직접 생명에 관여하는 질환이 포함되어 있다.
일상 속 임상에서 만날 수 있는 질병들이 순환기 계통에 포함돼 있다.
심장은 전신에 혈액을 보내 주는 펌프 기능을 한다.
신체 활동에 필요한 영양소와 산소를 운반한다.
수축과 이완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심장의 내부에는 4개의 공간이 있다.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모두 판막이 붙어 있다.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좌심실의 벽은 두껍다.
심장은 흉곽으로 둘러싸여 있다.
심장 아래에는 가로막이 인접해 있다.
심장박동을 느낄 수 있는 부위를 알 수 있다.
판막에는 근육이 없다.
판막은 심장의 혈류를 한 방향으로 진행하게 한다.
판막은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막아 준다.
심계항진의 감수성에는 개인차가 있다.
건강한 사람에게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고 생리적 변화에 따른 심계항진도 있다.
대부분 심계항진의 원인은 부정맥인 경우가 많다.
심계항진은 부정맥이 원인인 경우가 많고 중증인 경우도 있다.
생리적 변화에 따른 심계항진은 스트레스, 격한 운동 후, 흥분했을 때, 잠을 못 잤을 때, 긴장했을 때, 발열, 카페인 섭취, 음주 등이다.
심장으로 인한 심계항진은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 심방세동, 심장판막증, 고혈압, 심장비대, 심부전, 심근병증, 심근염 등이다.
기타는 삽상선항진증, 약물 부작용, 빈혈, 저혈압, 크롬친화성세포증, 자율신경실조증, 알레르기, 덤핑증후군이다.
ct는 x선을 이용해 인체 내부의 단면을 선명한 영상으로 기록한다.
단순 촬영과 조영 촬영으로 나뉜다.
촬영하기 전 금속류는 모두 제거한다.
컴퓨터 단층 촬영의 약어로 x선을 사용해 신체 주변을 360도 투영해 신체 단면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조영 검사란 조영제를 정맥에 주사해 촬영하는 방법을 말하며 혈관이나 병변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다.

ct검사를 할 때 걸리는 시간은 촬영 부위나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20~30분 정도가 소요된다.
촬영을 할 때는 안경, 귀걸이, 목걸이, 시계와 같은 금속류, 휴대폰을 반입할 수 없으며 임산부는 촬영이 금지돼 있다.
ct검사는 침대에 누워 실시하는데 이때 몸을 움직이면 영상이 흔들려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촬영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ct의 장기들이 겹쳐 있어도 신체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검사 시간도 짧다.
피사체 주변을 360도로 돌면서 x선을 조사한 후 검출기로 신체를 투과한 x선의 양을 검출한다.
그다음 컴퓨터를 이용해 영상으로 송출한다.
mri는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켜 몸속 수소 원자를 영상화하는 검사법을 말한다.
방사능에 노출되지 않고도 몸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체내에 존재하는 금속 종류에 따라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mri는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켜 몸속에 어떤 주파수를 조사한 후 체내에 풍부한 수소 원자핵을 영상화하는 검사법이다.
몸에 걸친 금속들을 제거해야 하고 이미 몸속에 삽입된 심장 인공심박동기, 금속제 인공판막, 의안, 인공고막 등은 mri검사 시 생명에 지장이 생길 수 있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보통 검사 시간은 30~40분 정도가 소요되며 검사 중에는 mri장치 속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 있는 것 자체가 불편한 사람은 불안감이 커질 수 있고 심한 경우 패닉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조영할 때는 큰 소리가 나기 때문에 귀마개나 비자성 핸드폰을 착용할 수 있다.
몸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쿠션이나 베게를 사용해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mri는 자기장을 발산하면 수소 원자핵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데 전파를 쏘면 수소 원자핵 방향으로 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파를 끊으면 수소 원자핵이 원래대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흐르는 자기장의 속도 차이로 종양성 질환이나 디스크와 같은 질환을 조사할 수 있다.
mri검사 시 주의사항은 검사실에 반입할 수 없는 품목이 있다.
손목시계, 열쇠, 벨트, 스마트폰, 라이타, 안경, 보청기, 젤 네일, 지갑, 콘택트렌즈, 틀니, 자기 카드, 액세서리류, 마스카라, 아이섀도, 파스
검사를 받을 수 없는 사람은 금속 재질로 된 인공판막을 이식받은 사람, 체내에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한 사람, 인공고막, 의안, 벗기 어려운 의치를 사용하는 사람, 신경 자극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치근에는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해도 mri를 찍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검사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몸에 타투가 있는 사람, 폐소 공포증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
임산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사람, 수술로 금속제로 된 이식형 클립이나 다른 금속 재질이 체내에 삽입돼 있는 경우이다.
부정맥은 정상적인 동리듬에 지장이 생긴 상태이다.
박동이 규칙적이지 못해 심정지에 이르기도 한다.
주요 부정맥으로 빈맥성 부정맥과 서맥성 부정맥이 있다.
심장에 대해서 다양한 병명이 많다는 걸 알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