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내가 힘들까 - 나 자신과의 싸움에 지친 이들을 위하여
마크 R. 리어리 지음, 박진영 옮김 / 시공사 / 2021년 6월
평점 :
【 이 책은 이러한 인간의 자기고찰 능력과 자기중심성egocentrism,
자기고양성egotism이 어떻게 개인적, 사회적
문제들을 불러오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니까 평화롭고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사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운지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 (p. 10~11)
이 책에서 말하는 ‘자아’란 ‘인간(또는 몇몇 동물)이 ‘나’라는 존재에 대해 의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해주는 정신적 장치’(p.20) 이다. 저자는 우리가 자아 덕분에 우리 자신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고, 자신의 성격이나 삶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들 덕분에 우리는 엄청난
진보를 이루어 내기도 했다. 그러나 저자는 동시에 이 자아 때문에 우리는 많은 문제를 얻기도 한다고
말한다.
우리의 자아는 4만~6만년 전부터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그 당시 원시 인류의 삶에는 유리했던
자아의 역할은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부작용을 낳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해서 저자가 자아를 부정하고
버려야하는 것으로 말하는 것은 아니다.
【 자아가 ‘나쁘다’거나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아니다. 그보다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고 인간 문명의 발전을 가능하게
한 자기고찰 능력이 한편으로 다양한 고통과 이기심,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잘못된 의사결정, 자신과 타인에게 위험한 행동 등을 불러와 삶을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는 사실을 살펴보고자 한다. 】 (p. 52)
자아의 대화에 너무 깊이 빠지게 되면 현실에서 멀어지는 일이 많아진다. 우리는 다른 생각에 빠져 현실의 중요한 문제들을 놓치기도 하고, 너무
과도한 주의를 기울여서 일을 망치기도 한다. 무언가를 잘하려고 노력할수록 일이 꼬이던 경험을 해본적이
있다. 저자는 이것이 ‘좋은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의무감’ 이 커져 ‘과도하게 높아진 자기인식이 수행능력을 떨어트린’ (p. 70) 결과라고 말한다.
또한 저자는 ‘우리가 스스로를 바라보는 방식 자체에 본질적인
왜곡이 존재한다’(p.103)고 말하며 우리의 자아 필터가 우리를 약간의 나르시시스트가
되도록 만든다고 한다. 마치 전체주의 정권의 독재자를 포장하듯 장점은 크게 부풀리고 단점은 축소하여
우리 자신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가하는 자기비난조차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욕구에서 기인한다고 말한다.
【 하지만 대부분의 불필요한 자기비난은 근본적으로 자신을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바라보려는 욕구로부터 생겨난다. 나는 적어도 이것보다 더 나은 사람이어야 한다는 믿음을 굳게 가지고 있는 탓에, 자신이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행동을 하면 실망하고 마는 것이다. 즉
이미 잔뜩 부풀어 있던 자아상이 그렇지 못한 현실을 마주하고 거품을 터트리는 순간 내가 이렇게 부족한 줄 몰랐다며 자신에 대한 실망과 비난이 탄식처럼
쏟아져 나온다. 】 (p. 115)
책 속 내용에서 흥미로웠던 부분 중 하나는 자신의 이름 속 글자가
포함된 단어를 그렇지 않은 단어보다 더 좋아한다는 것과 자신과 생일이 같다는 이유로 대상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기억에 남는 내용에는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자신의 이미지에 타격을 받을 경우
더 폭력적인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부분이었다. 보통은 자존감이 낮은 사람이 그런 모습을 보일
것이라 생각하지만 반대의 연구 결과가 나와 놀라웠다. (위의 연구는 모두 자아의 부작용과 관계되어 있다.)
【 우리는 모두 자신이 세상을 정확하게 알고 있고, 정신이 제대로
박힌 사람이라면 다들 자신처럼 생각할 것이라고 믿는다.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그
사람이 착각에 빠져 있거나 무식하고 편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심리학자 구스타브 이크하이저는
이렇게 말했다. “다른 사람이 지각하는 세상이 내가 지각하는 세상과 달라서 혼란스러울 때 우리는 이
사람이 지적, 도덕적 문제로 인해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정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얼버무리고 넘어간다. 이런 식으로 세상은 정확히 내가 바라보는 대로 돌아가고 있고 내
방식이 곧 정상적인 방식이라는 믿음을 유지한다.” 】 (p. 124)
이 부분에서 요즘 뉴스에 오르내리는 혐오, 차별, 편가르기의 문제들이 떠올랐다.
【 우리가 거만한 사람들을 싫어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들이 자신을 뽐내는 과정에서 우리의 자아상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남달리 뛰어나다고 주장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들이 열등하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런 점에서 자기 고양성은 그 자체로 사람들에게 모욕감을 주기도 한다. 실제로 나보다 나은 사람 때문에 위축되는 것도 힘든데, 나보다 나을
게 없는 사람이 설치는 바람에 모욕감을 느낀다면 당연히 더더욱 짜증이 난다. 】 (p. 199)
【 자아는 우리의 가장 훌륭한 동맹이지만 동시에 가장 무서운 적인 셈이다.
사람들이 인생에서 겪는 가장 큰 고난들의 대부분은 직간접적으로 자아의 소행이다. 】 (p. 315)
저자는 자아가 우리의 삶을 망치고 있다고만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자아의 부작용을 깨달아 우리에게 닥치는 문제들의 원인을 바로 보고 그로 인해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좀 더 관대해지길, 그리고 자아가 문제를 일으키는 방식을 이해해 자아를 적절히 잘 다루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우리를 괴롭히는 자아의 재잘거림을 줄이는 방법으로 명상을
추천한다. 그리고 자아를 잘 다루기 위해서는 내가 틀릴 수 있다는 것과 자아가 정신적 관념일 뿐임을
항상 기억하고, 나에게 일어나는 부정적인 일들을 자기자비적 태도로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을 통해 나에게 ‘자아’는 어떠한 존재인지, 그리고 ‘자아’가 어떻게 내 삶을 이끌어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기회를 얻었다. 최근
내가 하고 있었던 고민들에 대한 답이 책 속에 있어서 더욱 반갑고도 감사한 마음으로 책을 읽어냈다.
‘자아’가 우리의 삶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다면, 내가 나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좀 더 객관적으로 이해해보고 싶다면 이 책을 꼭
읽어 보길 바란다.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이에게도 권하고 싶다.
이
글은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만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