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이트 - 왜 혐오의 역사는 반복될까
최인철 외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21년 9월
평점 :
#협찬도서를 읽고 공감과 협오를 생각합니다.
집단주의
전쟁이나 감염병처럼 생존이 극단적으로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하면,강력한 리더를 추구하며 사생활을 일부 포기하면서까지 집단의 규범을 따르려고 하는 욕구들이 생긴다고 합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고 진행되면서 누구나 짐작,확인 가능한 얘기입니다.
사망률은 낮지만, 감염률이 높아서 나 혼자 조심한다고 해결되는것이 아닙니다.
국가차원에서 마스크 사용을 의무화 하면서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마스크를 사재기 하거나, 불량 마스크를 유통시키고, 부족한 마스크를 구하기위해 웃돈을 얹어서 구매하기도 합니다.주위에 마스크 착용을 안 한 사람을 본다면 불만의 표정을 지으며 눈으로 욕하는것은 저 혼자만의 일은 아닌듯 합니다.
하지만,서양에서는 코로나19가 중국,혹은 아시아에서 최초 발생했다는 생각으로, 길에서 만나는 동양인을 무차별,묻지마 폭행을 가하는 사례들은 어렵지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너희 때문에 내가 피해를 본다는 생각"때문일까요?.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사회적 시스템 구성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동양인과 서양인, 부자와 가난한자,우리와 너희, 너와 나...이렇게 극단적으로 구분하지 말고,
인류애를 갖고 하나의 생명체로 느껴보자는 말에 동감합니다.
"세계를 돌고 돌면 별처럼 많은 형제, 알고보면 우~리~들~은~~~ 지구마을 한가족"
옛날에 전국민의 로망 자연농원에서 놀이기구를 탈때 나오던 노래 입니다.
(자연농원=에버*드. 놀이기구=지구마을)
생각해보면, 운이 좋아서 대한민국에 태어나 조금은 행복하게 살고있습니다.
만약,지구 어딘가 가난한 국가에서 태어났다면?.어떻게 살고 있을까요?.
만약,대한민국에서 일제시대때 태어났다면, 어떻게 살고 있을까요?.
한번쯤은 조금만 고개를 돌리고 생각해볼 문제라고 느껴집니다.
가난한 국가에서는 코로나백신 접종률이 7%정도인데, 부스터샷을 결정하는것은 과하다고하는 WHO의 의견은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2초
141p. ~ 144p.
'위기의 순간에 상황을 판단하고 "어떻게 해야 되지?" 생각하고 마지막 행동으로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이 심리학자들의 분석에 의하면 2초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과거로부터 현재와 미래를 만들어갈 단서를 찾고자 합니다. ~~~ 심리학자들이 연구해보니 의인의 약 80~90%는 타고난다고 합니다. 나머지 10~20%는 어떤 가정에서 컸는가. 어떤 종교를 믿었는가, 어떤 교육을 받았는가에 좌우되었다고 합니다."
몇 년 전 일본에서 달려오는 기차를 보았지만, 철로에 떨어진 사람을 구하려다 세상을 떠난 그 분.
우리는 "이수현"이라는 이름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성악설을 믿고있는 저 이지만, 심리학자들의 말을 믿고싶지 않지만, 저보다 많은 공부를 했으니 믿어볼까요?. 제 인생의 나쁜경험들이 쌓여 천성적으로 착한 80~90%를 제압했나봅니다. 부모님께서는 항상 남을 도와야한다. 정의롭게 행동하거라. 절에서는 남의 생명을 소중히여겨라.남에게 피해를 주거나 내탓을 남탓으로 돌리지 말아라...라고 듣고,가르침을 받았지만... 나쁜경험앞에서는 무용지물인가 봅니다.법을 어기는 사람들이 편하게,잘 사는 모습을 많이 보아서 쫌 힘드네요...
세상에는 선한 이웃과 의로운 이웃이 있다고 합니다. 많다고 봐야겠죠?. 아직까지는 살만한 세상이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나쁜사람들에게 받은 피해가 어마무시하게 큰것도 아니니 넓은 아량으로 웃어넘기고, "나는 저러지 말아야지"다짐을 수없이 해 봅니다.
과거의 역사속에 혐오로인한 실수,잘못은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
그것들의 결말이 끔찍했던것을 잊지 말고,잘못된 공감으로인해 혐오의 세계에 빠지지 말며,
사회적 시스템 속에서 올바른 공감을 통해 혐오라는 감정을 조금씩 조금씩 줄여야 할 것입니다.
13p.
'혐오와 차별의 시대, 공감이 해법이라고들 한다. ~~~ 하지만,주의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혐오와 공감이 동일한 방향으로 달릴 때도 많기 때문이다. ~~~ 공감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갈등의 치료제였을 뿐만 아니라 증폭제이기도 했다.
#헤이트 #마로니에북스 #교양인문학 #최인철 #홍성수 #김민정 #이은주 #최호근 #이희수 #한건수 #박승찬 #전진성 #젠더감수성 #인권감수성 #평화감수성 #리뷰어스북카페 #리뷰어스클럽







‘혐오와 차별의 시대, 공감이 해법이라고들 한다. ~~~ 하지만,주의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혐오와 공감이 동일한 방향으로 달릴 때도 많기 때문이다. ~~~ 공감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갈등의 치료제였을 뿐만 아니라 증폭제이기도 했다. - P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