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이어트의 뇌과학 - 요요 없이 평생 유지하는 뇌과학 기반 다이어트 혁명 ㅣ 쓸모 많은 뇌과학 12
카트리나 우벨 지음, 장혜인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6월
평점 :
서평] 다이어트의 뇌과학/요요 없이 평생 유지하는 뇌과학 기반 다이어트 혁명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내 나이가 쌓여가면서 몸무게 역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다이어트 해야지 하면서, 매일 체중계에 올라가면서 한숨을 쉬지만 정작 다이어트의 정석은 모른체 그저 덜 먹고 더 움직이면 되는거 아니겠어? 하는 식의 오류투정이 다이어틀 진행한다. 다이어트를 하는데 뇌과학적인 접근으로 요요없이 평생 유지하는 다이어트 혁명이다. 이건 꼭 읽어야해 하면서 책을 펼쳐든다.
[다이어트의 뇌과학]의 저자 카트리나 우벨은 전문의로 수년동안 저자역시 과체중으로 고통받으며 다이어트를 반복했고, 자신의 몸과 뇌를 실험대상으로 삼아 의지력이 아닌 뇌과학으로 작동하는 감량 솔루션을 고안해 내고, 의사 1,000명의 다이어트를 성공시킨 의사로 공인 체중감량 코치다. 저자는 도서에서 뇌과학적인 접근으로 다이어트를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
도서는 단순히 살을 뺄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하지 않는다. 식욕에 대한 우리의 감정을 진지하게 살피게 하고, 그 감정이 우리의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핵심을 짚어준다. 우리는 매번 다이어트에 도전하지만 매번 실패를 맛본다. 그러나 저자는 내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뇌의 인식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우리의 감정은 우리가 먹는 음식과 긴밀하게연결되어 있다. 즉 배가 고파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기분전환이나 다른 감정을 달래기 위한 행위라는 것이다. 우리가 음식을 먹는 행위자체는 종종 음식을 섭취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 아니라 우리의 감정에서 충동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려고 한다는 마음이 강해서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또 도서에서 우리가 다이어트를 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감정으로 다이어트를 접근하지 말고 긍정적인 측면으로 다이어트를 관찰하게 한다. 체중계에 올라서 보이는 숫자를 보고 다이어트에 스트레스를 받기 보다는 이제 시작했다는 감정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다이어트의 뇌과학]에서 말하는 칼로리 계산을 한다거나 운동과 식이요법에 있어서도 뇌의 습관화가 필요하고 잘 안되었을 경우라도 비난하지 않고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시적인 감량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평생 유지가능한 지속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다이어트의 뇌과학]를 읽다보면 어떻게 하는 것이 체중감량에 효과적인 가에 대한 방법보다는 내 감정이 다이어트라는 것에 휘둘리지 말고 내 삶은 내가 주도한다는 감정을 우선시 하게 만든다. 내몸이 말하는 진짜 신호에 귀기울이는 것. 그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뇌과학적인 훈련 프로그램과 함께 다이어트 일기를 쓰는 방법, 감정자유기법, 90초 감정흐름 관찰 등 실천가능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한다. 도서는 다이어트라는 개념을 다른 시선에서 바라보게 하고, 먹고 마시는 행위가 근본적으로 우리 감정에 어떻게 작용하고, 어떤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게 한다. 새로운 관점에서 다이어트라는 것을 바라보게 하는 신선한 시간이었다.
<도서내용 중>
p48. 우리가 지금까지 음식과 영양에 대해 진리처럼 믿어온 많은 것들이 사실은 근거 없는 통념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점을 받아들이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기존의 관념에서 한 걸음 물러나 새로운 시각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그때 비로소 음식과 식욕으로 부터의 진정한 자유를 경험할 수 있다.
p81. 살면서 깨달은 점은 내가 부정적인 생각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낭비한다는 것이었다. 나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데도 말이다, 그렇다고 애써 긍정적으로 생각을 바꾸려 하지는 않는다.

p97. 장기적인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자기혐오가 아닌 자기 존중이 필요하다. 현재 체중을 현실직시라는 명목으로 비난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체중계 숫자를 두려워 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변화는 가능하다, 체중은 단지 출발점이다. 진행상황을 측정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파악하는데 쓰이는 정보일 뿐이다. 많은 사람이 체중계를 적대시하지만 체중계는 당신의 적이 아니다. 차가운 금속위에 찍힌 숫자일 뿐, 그 숫자는 당신의 가치를 말하지 않는다.

p183. 운동을 선택할 때는 체중감량을 목적으로 삼지말라. 달리기 선수들은 날씬하니까 나도 달려야지 라는 식의 단순한 모방은 피하자. 관절 통증을 감수하면서. 또는 전혀 즐겁지 않은데도 운동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대신 진정한 흥미를 느끼고 실제로 할 때 기분 좋은 운동을 찾자. 테니스나 골프처럼 사람들과 어울리는 운동, 어린시절 좋아했던 소프트볼 혹은 물을 좋아한다면 수영등이 있다. 인간의 몸은 본래 움직이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내몸이 어떤 움직임을 즐기는가를 물어보자.

#다이어트의뇌과학#카트리나우벨#장혜인#현대지성#뇌과학#다이어트#북유럽#카이로스의포춘쿠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