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침내, 안녕
유월 지음 / 서사원 / 2025년 5월
평점 :
서평] 마침내, 안녕/유월/드라마제작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두께도 그렇고, 추천글들을 읽으면서 조금은 가볍게 읽기 좋은 소설일거라는 생각으로 책을 오픈했다. 그런데 주인공이 느끼는 감정들에 내가 너무 빠져버리게 된다. 이런 소설을 만나는 것은 꽤 기분 좋은 일이다.
소설 [마침내, 안녕]은 유월작가 자신을 자기자신도 어쩌지 못하는 임상심리사 라는 작가의 짧은 소개를 한다. 소설에서는 임상심리사로 일하다 언니의 사망충격으로 퇴사 후 법원에서 가사조사관으로 근무하는 주인공 도연을 중심으로 우리가족 중심에서 나와 연결된 사람들과의 관계, 그리고 종래에는 나를 살피게 되는 시선과 마주치게 된다.
가장 가까운 가족이 가장 어렵다는 생각을 해본다. 도연을 챙기고 엄마처럼 보호자 역할을 자처했던 언니가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지 않고 숨기려하고 씩씩해 보이려고 하는 그 마음. 그러나 정작 자신을 챙기지 못한 결과에 대해서. 또 그 과정에서 자신이 지키지 못했음에서 오는 절망과 죄책감으로 스스로 무너져 버린 주인공의 그 마음들이 참 안타깝다. 그 아픔속에서 주인공은 세상 여러 군상들을 만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마음을 살피게 된다. 그리고 그의 곁에 손을 내미는 사람들이 있음으로 인해 자신의 상처와 슬픔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되고, [마침내, 안녕]을 하게 된다.
최선을 다해 살아내야 한다는 아버지의 말에 매몰된 도연과 언니. 그들의 삶은 치열하게 최선을 다한 삶이었다. 가족과 주변사람들, 그리고 직업에 까지. 그런데 과연 자신에게는 최선의 시간이었나? 나 역시도 그러한 삶을 살아내고 있는데 나 자신에게 최선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마침내, 안녕]은 주인공 도연이 자신의 삶의 큰 혼돈에서 회복되어 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우리는 하루하루 살아가면서 수많은 일상들과 마주하게 된다. 어떨때는 아픔으로, 상처로, 또 어떤 때는 설렘으로. 그 과정에서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끌어 올려주는 사람도 있고, 내가 손을 내밀고 싶어지는 순간도 있다. 우리 삶이라는게 그런 사소한 것들이 모여 의미를 부여하는 것 아닌가 생각을 해본다.
소설에서 소재로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이야기도 꽤 재미있다. 그 이야기들이 소설의 재미를 더해 준다. 아이의 마음을 다독여 주고 싶어지기도 하고,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해 화가 나기도 하고, 어떤 캐릭터에서는 이런 이런 하게 된다. 그들 각자의 나름의 사정도 있고, 그 사정들을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도 있고, 이해를 하게 되기도 하고, 그렇다고 그러면 안돼지 하기도 하고.
좋아하는 책의 마지막 장을 읽었으니 나는 어쩌나 하는 배우 최강희의 글을 읽으면서 한번 기대하게 되고, 내가 읽고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나 역시 그 말에 격하게 공감하게 되는 소설. 드라마로 제작확정이 라고 하니 더 반갑게 만날 수 있을 거 같다.
<줄거리 일부>
옷가게를 운영하는 부모님과 부모님의 빈 자리를 채워가는 도연의 언니. 직장내 괴롭힘을 견디지 못하고 어느날 열심히 말고, 그냥 살아라는 유언을 남기고 자살을 하게 된다. 이후 도연은 심리치료를 받지만 좀처럼 회복이 되지 않는다. 그러다 결혼을 전제로 사귀던 남자친구 무헌으로부터 이별통보를 받고. 도연은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 가사조사관으로 취업을 하게 되고 여러사정을 가진 사람들과 만나게 되는데...
<도서내용 중>
p27. 그런데 백선생, 잘 안해도 돼요.
p53. 열심히 말고, 그냥 살아.

p79. 내 사랑은 이렇게 다 작아요. 너무 작고 단순해. 그런ㄷ 그걸로 다 이해되거든요. 엄마와 할머니는 여전히 서로를 미워하지만 나는 나와 엄마의 사랑, 나와 할머니의 사랑만 생각해요.

p119. 도연은 내팽겨쳐진 자신을 그대로 둘 수 없었다, 해진 마음을 끌어안으며 다짐했다. 누군가의말에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겠다고, 일로 만난 사람에게 마음따위 주지 않겠다고. 다른사람에게 나의 어떤 것도 맡기지 않겠다고, 쉽지 않은 사람이 되겠다고, 참지 않겠다고, 무엇보다 나 자신을 지키겠다고.
p157. 아직 꽃이 피기 전이구나, 그렇게 생각하기로 했어요. 언니가 그랬잖아요. 언젠가 때가 되면 다 핀다고.

p209. 때로는 도와주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받아주는 것도 필요해요. 그게 선의든, 뭐든. 그 안에 어떤 기대가 있건 그건 그 사람의 몫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