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진 책들의 도서관
알렉산더 페히만 지음, 김라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랄프 이자우의 <비밀의 도서관>이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책들의 환상도서관을 다루고 있었고, 요슈타인 가아더의 <마법의 도서관>이 쓰여지고 있는 책들이 존재하는 도서관이라면 <사라진 책들의 도서관>은 어떤 이유로 책이름과 작가만 존재하는, 이름조차 존재하지 않는 수많은 책들이 존재하는 도서관이었다. 솔직히 사라진 책들의 도선관을 소설로만 알고 읽기시작했기에 알지도 못하는 이야기들이 가득한 도서관의 책들에 기가 꺾인것도 사실이다.
자신의 작품이라고 하기에 창피하다고 하여 쓰여진 책을 다 태우고, 보잘 것 없는 인세에 책을 쓴다는 사실에 쓰고 있던 책을 태운 경우도 있으며, 헐거운 제본과 부실한 관리로 책소개글외에는 남지않은 책, 다행히 초본은 남겨진 책, 바벨의 사라져버린 도서관 등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사라진 책들은 각각의 이유가 있지만 그래도 사람들에게 완전히 잊혀지지않은 책들이 모여있는 곳이었다.
사서라는 사람의 말로 시작하는 도서관탐험기였기에, 수많은 사람이 도서관내에서 길을 잃고 헤매고있다는 이야기를 보며 당연히 소설이라 생각했던 이 책은 정말로 사라진 책들의 사연에 대해 실린 인문학책이었다. "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방향 표지들에 따라 다양한 역사와 문학 속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와 함께 서고의 미로 속을 돌아다니다 보면 불타버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조우하게 된다. 또한 보르헤스의 바벨의 도서관, 고대 파피루스 문서에서 카프카의 미발표 원고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라는 책설명만을 보곤 작가의 상상력이 돋보이는 카프카의 미발표소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수많은 사라진 책들의 사연에 대해서만 알 수 있었고, 솔직히 매력적인 이야기라고는 생각했지만 어려운 이야기이기도 하였기에 한번의 독서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책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