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오스카 와일드 펭귄클래식 7
오스카 와일드 지음, 김진석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젠틀맨 리그라는 영화를 통해 도리언 그레이를 알게되었다.. 뱀파이어, 투명인간, 지킬박사, 톰소여, 네모선장, 그리고 도리언까지!! 각기 다른 명작의 주인공이 한 영화에 등장했고 그 중 처음 만난 도리언 그레이의 존재는 새롭기까지 했다.. 

아름다운 미모를 영원히 갖는대신 초상화 속의 자신이 나이를 먹게된 도리언..솔직히 영화 속의 도리언은 이 책 속의 영원히 소년같은 모습의 도리언과는 달랐다. 멋있고, 초상화 속의 그림과는 달리 젊긴 하지만 소년이라기 보단 아무리 봐도 서른초반정도의 모습이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자신의 나이를 대신 먹어가고, 도리언이 나쁜 짓을 할 때마다 추악한 얼굴로 변하던 초상화를 가끔씩 바라보며, 아무도 들어오지 않는 방에 보라빛인가 빨간빛의 덮개를 씌어놓던 책속의 도리언과는 달리 영화속의 도리언은 절대 자신의 초상화를 보지 않고, 덮개를 열지조차 않았으며, 초상화를 보더라도 변하지 않던 책속의 도리언과는 달리 영화속의 도리언은 결국 자신의 초상화를 보곤 자신이 살아온 세월을 그대로 얻게되어 먼지로 변하게 되었다. 

이러한 차이점을 보면 불사신에 초상화를 보지 않던 영화 속 도리언과는 달리 늙지는 않지만 초상화를 보며 베인에 의해 죽을 뻔한 위기에 두려워하던 책 속의 도리언이 조금더 사람다웠다. 자신이 나쁜 짓을 할 때마다 조금씩 겉모습이 변하는 것에 두려워하면서도, 자신의 외모에 모든 것을 걸고 계속해서 나쁜 짓을 하는 도리언 그레이와 조그만 실수를 깨우치지 않고 붙잡힐까 걱정하면서도 계속해서 나쁜 짓을 저지르는 사람들은 너무나도 닮아있으니 말이다.  

그리고 악마에게 영혼을 파는 모습조차도 지극히 현실다웠다. 만화 심슨에서 보면, 호머심슨이 도넛하나때문에 악마에게 영혼을 파는 장면처럼 도리언 그레이가 자신의 영혼을 팔 때에는 한 밤에 악마가 직접 등장하여 계약을 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도리언 그레이가 영혼을 파는 장면은 밋밋하기 그지없고, 누구나가 한 번쯤은 했을 말이기도 했다. 한낮에 자신의 친구들과 있으며 진담으로 자신이 초상화처럼 늙지않으면 좋겠다고, 그렇게만 된다면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도 좋다는 언급에 의해 어느새 악마에게 영혼을 팔게되다니..  

도리언이  헨리경을 만나 조금씩 겉모습만을 중시하는,,그런 사람으로 변하는 것이 느껴졌지만 완성되어있던 초상화는 아무 변화가 없고,, 그렇다고 영혼을 파는 장면도 없다고 생각했는데!!! 너무나도 짧게 지나갔던 언급이 영혼을 파는 장면이었다니!! 그리고 도리언의 첫사랑 시빌 베인이 자살을 하면서 도리언의 초상화는 조금씩조금씩 변하게 되는 것도, 나이를 들어 변화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저지른 흉악한 일로 인해 조금씩 조금씩 인상이 변하는 것이었다.. 

조금씩 타락한 일을 저지르다 사교계에서도 점차 거부당하고, 점잖은 여성이나 남성들이 그를 거부하기 시작했으며 그에 따라 초상화 속의 얼굴도 점점 흉악하게 변했고. 결국 자신의 초상화를 그려 자신을 고통에 빠트렸다고 생각하여 바질 홀워드까지 죽이게 된 도리언이었다..  

그 후에도 악한 짓을 하며 평소의 삶을 유지하던 도리언이 자신의 초상화를 찢으려다 자신이 죽게됨으로써 이야기는 끝이났다..정말이지 내가 영화속에서 보았던 결말이 아니었다!!나는 영화만을 보고 자신의 초상화를 보면죽는 도리언의 모습만을 생각했는데.. 책 속의 도리언은 틈틈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며 괴로워하고 약간의 선행이 조금은 초상화를 변화시키지않았을지 궁금해하며 혼자서 초상화를 확인하니.. 내 생각대로 초상화를 보는 순간 초상화의 나이와 모습이 본인이 갖게되게되었다면..도리언은 시빌의 죽음이후에 그런 짓을 저지르지 않았을것 같은데..  

영화로 처음만난 도리언의 이야기와는 다른 듯 같은 이야기였지만, 생각만큼 매우 재미있게 읽지못했다. 너무나도 자극적인 이야기에 물들어있다보니 이 정도의 이야기에 스릴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어서 그렇겠지만 뭐니뭐니해도 행복한 왕자의 따스한 이야기의 오스카 와일드가 이런 작품도 쓰다니!!라는 생각이 들게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던 팥쥐전
조선희 지음, 아이완 그림 / 노블마인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전래동화를 바탕으로 현실 속 이야기를 그려낸, 조금은 무섭고 조금은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고 명탐정이 태어났다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13
우타노 쇼고 지음, 현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나 처음 읽게되는 작가의 책들은 기대가 된다. 보통은 내가 알고 있는 작가들의 베스트셀러나 그들의 신간을 읽는게 독서습관이지만, 가끔은 인터넷서점에서 메인에 띄워주는 책이나 베스트셀러에 속한 책을 읽다보니 새로운 작가들을 끊임없이 만나게 된다. 이 책의 띠지에 씌여진 것처럼 벌써 오래전에 <벚꽃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라는 책으로 한국에 소개된 우타노 쇼고라는 작가지만, 나는 <그리고 명탐정이 태어났다>라는 이 책을 통해 처음 만나게 되다보니 이 작가 스타일의 이야기에 한눈에 반해버리고야 말았다. 어쩌면 이 책이 우타노 쇼고작가의 졸작일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난 이 책에 매우 만족했다. 

처음 이 책을 받았을 때만 해도 한 편의 이야기에서 정말 명탐정이 태어나고, 그 명탐정이 조금 의뭉스러운데가 있지 않았을까 싶었는데, 이 책은 서로 다른 3가지 이야기로 이루어져있었다. 첫번째 이야기는 표제작인 <그리고 명탐정이 태어났다>로 범인이 한 눈에 누구인지 드러나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자체도 평범했다. 하지만, 명탐정이라 불리워지는 가게우라가 자신의 명성보단 돈을 집착하는 모습이 범인이 누구인지를 밝혀 더이상 살인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하는 다른 탐정들과는 달라서 마음에 들었다. 명탐정 코난에 나오는 모리 코고로의 경우에도 자신이 사건을 해결해나감에 따라 의뢰인이 늘어난다는 생각에 기뻐하지만, 그래도 결국엔 경찰이 그에게 요청하지 않아도 진실을 밝히려고 한다는 점에서 가게우라와는 인간성의 차원이 다르고, 애거서 크리스티여사의 에르퀼 푸아로의 경우에는 완전 반대로 돈보다는 자신의 회색세포를 사용하여 문제를 푸는 것에 만족하는 등 그 외에 내가 읽은 숫한 추리소설에서의 탐정과는 다른 가게우라의 모습에 뻔한 이야기가 조금은 색다르게 느껴졌다. 

그리고 두번째 이야기인 <생존자,1명>의 경우, 범죄를 지른 일당들이 무인도에 들어가고 다른 누구도 없는 상황에서 한명씩 사라지거나 죽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가 연상되기도 하지만 마지막 한 명이 죽은 다음에야 트릭이 풀리는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와는 달리 트릭이랄 것도 딱히 없고, 서로를 의심하는 과정에서 결국 사실이 밝혀지는 점에서 차이가 났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생존자,1명>은 악인의 처벌이 아닌 인간의 추악함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자신을 위해 다른 사람의 생명을 양심에 거리낌없이 빼앗는 사람의 모습에 소름이 끼친달까? 

한 편의 이야기를 읽고, 두번째 이야기를 읽고나니 점점 마지막 이야기가 궁금해졌었다. 마지막 이야기는 <관이라는 이름의 낙원에서>라는 제목부터 마음에 들었던 이야기였다. "관"이라는 집의 형태가 낯익지 않다보니 처음엔 무덤 속의 "관"이 연상도 되었지만, 애거서 크리스티의 이야기에서 목사관이 여러번 나와서인지 금새 집이라는 걸 깨달았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도 추리동호회를 하며 "관"에 꿈을 품었고, 멋진 관을 만들어 친구들을 초대하여 추리놀이를 할 뿐이었다. 소년탐정 김전일에서 "밀랍인형 살인사건"에서 관인가 궁전인가에 친구들을 초대하여 끔찍하게 살인하던 것과는 달리 그저 놀이에 불과하였고, 친구들 역시 뭔가 허전하다는 느낌이 들정도 였던 일이었다. 꿈을 이루기위해 그저 소소한 놀이를 한 것이 전부이진 않았지만, 그래도 앞의 두이야기에 비해 기운이 빠지는 이야기이기는 했다. 

한 번의 살인을 시작으로 이어지는 살인이나 밝혀지지않은 범인을 잡기 위해 여러번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에 오점이 있어 다시 추리를 하는 그런 추리소설과는 달리<그리고 명탐정이 태어났다>는  딱히 탐정이 있기보단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추리를 하고, 돈만 밝히는 탐정의 최후의 모습과 추리를 사랑했던 사람의 이야기는 우타노 쇼고라는 작가의 또 다른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만들기엔 충분했다.  

*그러고 보니 <그리고 명탐정이 태어났다>라는 제목은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라는 제목에서 따온 것 같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고 명탐정이 태어났다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13
우타노 쇼고 지음, 현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껏 내가 알던 탐정과 추리이야기와는 다른 우타노 쇼고의 이야기에 반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래 한국작가의 책을 좋아하진 않지만 공지영작가나 신경숙작가의 책에는 꾸준히 눈길이 간다. 딱히 손을 내밀어 읽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한번씩 읽게되는 책이랄까? 그래서 인터넷에서 연재중이라는 것을 뻔히 알았고, 아니 연재가 언제부터 시작되는지도 알았지만 한번도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를 읽지도 않았고,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줄거리조차 파악하지 않았었다. 그런데 동생이 이 책을 냉큼 사와버렸다. 오프라인 서점에서 책구경을 하다 <엄마를 부탁해>가 생각이 났는지 아니면 표지가 마음에 들었는지는 모르지만 책 한페이지를 채 읽지 못하고 나에게 넘겨버렸다. 그리고 나역시 첫페이지를 읽고는 겨우 1~2쪽을 넘겼을 뿐 딱히 읽을 맘이 생기지 않았다. 하지만!! 그렇게를 두어차례하고나니 이 책에 급관심이 생겨서, 아니 어젯밤 너무 심심해서인지 다시한번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가 나에게 전화를 걸어온 것은 팔 년 만이었다. 나는 단번에 그 목소리를 알아들었다. 수화기 저편에서 여보세요?하는 그의 말이 끝나자마자 나는 어디야?하고 물었다. 그가 침묵을 지켰다. 팔년. 짧은 세월이 아니다. -p.9

 
   

내가 이 책을 한두페이지밖에 읽지 못했던 이유는 프롤로그 "내.가.그.쪽.으.로.갈.까"라는 제목에 이어 처음 읽는 문장이 어디선가 읽은 듯한 느낌이었고, 또 뻔한 사랑이야기의 연장선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바로 들어서였다. 그리고 그 생각은 이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짙어졌다. 한때 호기심으로 읽었던 공지영작가의 <고등어>와 비슷한 분위기에,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영화나 그 당시의 모습을 그리던 드라마에서 얼핏 보았던 데모와 실종이야기..솔직히 딱히 매력있는 소재는 아니었다. 내가 그 시절을 겪지 않은 세대이기때문에 아련한 마음도 들지 않았고.. 

다만 곱상한 얼굴에 화상을 입은 주름가득한 손을 지녔던 미루의 신비로운 모습에 어떤 이유가 그녀를 감싸고 있으며, 그렇게 언니를 그리워하며 어떤 한남자를 찾아다니는지가 살짝 궁금하기는 했다.하지만 그 이유가 밝혀지면서 이 책의 이야기는 더욱더 어두워졌고, 그들의 사랑과 슬픔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게 되었다. 30여년전 혼란스러운 사회에서 누군가를 사랑하고, 누군가를 잃고, 그럼으로 인해 마음 속 한구석에 언제나  누구도 들어올 수 없는 방을 만들어 스스로를 외톨이로 만든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가 소설이어서 그랬을까? 아니면 그 세상속에서 미루와 단이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게 요즘 사회의 모습과 더불어 고통을 잊는 너무나도 손쉬운 방법이어서였을까? 

어찌됐든 결국 난 이 책속의 정윤과 명서, 그리고 미루와 단이를 비롯한 여러 사람을 이해할 수가 없었다. 너무나도 혼란스럽고 우울했던 시절, <제빵왕 김탁구>에서 유경이 사회운동을 하다 잡히지만 희망과 꿈이 있던 그 시절의 이야기가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에서는 희망이라는 단어는 지워진채 그려져서인지 정말 읽는내내 기운이 빠지던, 그래서 다시는 읽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 그런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