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숨 ㅣ 내 옆의 작은 과학 1
나카가와 히로타카 지음, 기타무라 유카 그림, 황세정 옮김 / 상상의집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숨_ 내 옆의 작은
과학1
나카가와 히로타카 글, 기타무라 유카 그림, 황세정
옮김
상상의집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덕분에 미세먼지가 '좋음'을 알리는 날임에도
마스크를 끼고 외출하는 아이들.
마음껏 '숨 쉬는'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 것임을 느끼게되는
요즘입니다.
추운 날씨로 인해 입김이 뽀얗게 보이는 겨울. 난방으로 건조해진 집
안에 틀어놓은 가습기 수증기가 마치
입과 코에서 나오는 숨 같이 느껴집니다.
멈추면 살 수 없지만 인식하지 않고 살아왔기에 그 소중함을 당연하게
생각해왔던 '숨'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시작해서 문득 문득 그 다음 생각할 질문을
맞닥들이게 하는 그림책
내 옆의 작은 과학 시리즈 첫번째 책 [숨]을
만나보았습니다.
아이랑 같이 책을 넘겨보았습니다.
작가도 이 책을 처음 쓸 때가 겨울이었을까요? 내뱉은 숨이 하얗게
보이는 것이 친근한 모습입니다.
가습기가 내뿜는 하얀 구름 옆에서 아이도 자기의 입김을 힘껏 내뿜어
봅니다.
겨울철 뽀얀 입김으로 나도, 책 속의 아이도, 지나가는 강아지도
숨쉬는 구나 하고 알게됩니다.
육지에 사는 친근한 동물도, 산에서 만나는
곤충들도
대부분의 생물은 숨을 쉽니다.
(숨을 안쉬는 생물도 있는 걸까요?)
숨을 쉬면 생생하니까 생물일까? 묻는 책 속 화자의 말에 책 속
아이가 독자에게 말을 걸어오는 것 같이 느껴지네요.
숨을 뱉고 마시고, 마시고 뱉고
일생동안 반복 되는 숨쉬기.
물 속에서는 숨 쉴 수 없는 우리라고 생각했는데, 엄마 뱃속에 있을
때는 물 속에 있으면서도 숨을 쉬지 않고도 살았었네요!
엄마 탯줄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았으니까요.
이 장면을 보니, 얼마 전 태어난 동생을 보고 자기는 태어날 때 안
울었다고 장담하면서, 왜 태어날 때 우는 거냐고 물었던 셋째가 생각나네요.
'아이가 응애 우는 건 처음으로 숨을 쉬었다는
증거란다'
책에 나오는 말과 비슷하게 이야기 해 준것 같은데, 책을 보면서
한번 더 답을 듣게 되는 시간이었지요.
울음으로 자신이 숨을 쉬는 존재가 되었다는 것을 우렁차게 알리고
태어나는 아이들.
그렇게 큰 울음인데도 아무도 그 울음을 보고 다그치지 않지요. 그
소리는 듣는 이들을 기쁘게합니다.
숨을 쉰다는 것은 살아있음을 이야기하는 것이니까요.
땅 위에도, 물 속에서도 숨을 쉬며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있습니다.
코로 숨을 쉬고, 아가미로 호흡하며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뱉는 이들도 있고,
동물과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마시고 산소를 뱉는 식물들도 있음을 함께
소개하고 있었어요.
누군가가 내뱉는 것을 누군가는 들이마시고
식물이 없다면 동물들이 마시는 산소는 어떻게 공급될까...그 문제도
살짝 언급해주고 있네요.
지구안에 사는 이들을 한데 아우르는 '숨'이라는 단어로 친근하게
다가와
과학적인 접근이기도 하면서 환경문제도 생각하게 하는
그림책
내 옆의 작은 과학 1 [숨] 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