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청년이고 싶은 마음, 그러나 현실의 모습을 인정해야
합니다.
신체는 약해지는데 청년때 하던 모두를 다 끌어안고 갈 수 는
없지요.
(아. 이 조언이 마음에 콕 박히네요. 밤을 새는 것에서 바로
표시가 나더라구요.)
어른이 청년과 똑같이 행동해서는 안된다는 거.
그러면 어른은 무엇이라 정의내릴
수 있을까요?
저자는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세대나 입장이 다른 사람에게 그 차이를 바탕으로 대하는
것.
곱씹을 수록 명쾌하다 싶습니다.
아이나 청년일 때에는 지극히 나 중심에서 해석하지만, 어른이 그런
모습을 보이면 갸우뚱하게 되지요.
나이가 이런 태도를 가지는데 도움은 되겠지만, 반드시 이런 시선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닌게 분명합니다.
어른이 되어가는 준비. 나보다 다른 이들의 성장을 보는
기쁨.
사회의 모습이 변하면서 언제 어른의 모습으로 업그레이드
되어야하는지, 청년의 과업에서 어른으로 가야 하는 시점을
어려워하는 이들도 있지만, 저자는 계속해서 어른이 되는 행복함을
이야기합니다. (물론, 청년때는 청년의 때의 과업을 누려야 하겠구요!)
어른을 보고 모방하고 따라하는 것은 비단 어린아이의 일만은
아니네요.
어른이 되기 위해서도 '어른'의 모습을 배우고 익히는것이
필요하니까요.
어른으로서 후배나 부하를 대하는 태도 - 앞에서 말한 보살핌이나
다른 이들의 성장을 돕는 기쁨 측면에서 -,
청년과 어른의 연애와 사랑, 취미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싫든 좋든, 시간은 흐르고
이모든 시간은 나의 역사가 되고, 또 사회의 역사가
됩니다.
이제 곧 마흔. 불혹이라는 나이를 앞두고
'어른'이 된다는 것을 생각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내 삶을 보게해 준
책.
이 책을 통해
30대 중 후반, 40대에 접어든 이들이 한번쯤은
'어른이 된다는 것'을 잠시 머물러 생각할 수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