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 강박 - 행복 과잉 시대에서 잃어버린 진짜 삶을 찾는 법
올리버 버크먼 지음, 정지인 옮김 / 북플레저 / 2025년 7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았으나, 본 서평은 제 주관적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지은이는 현대인이 쏟아내는 끝없는 '행복 추구'에 의문을 던지며, 우리가 그동안 당연하게 받아들여 온 행복론의 틀을 정면으로 비판합니다. '수많은 행복 관련 책과 영상들이 효과가 있었다면, 왜 여전히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을까?' 이 도발적인 질문에서부터 본 책은 출발합니다.
지은이는 현대 사회가 강박적으로 집착하는 '행복'이라는 개념이 오히려 사람들을 더 불행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행복을 위한 체크리스트나 긍정적인 마인드만을 강조하는 대신, 삶의 부정적인 측면과 마주하고 그것을 껴안는 방식이 오히려 더 나은 삶을 가능하게 한다는 역설적인 통찰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지은이는 안정된 삶, 즉 재정적 여유나 감정적 평온이 반드시 행복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실증적인 근거로 드러냅니다. 오히려 재정적 풍요나 관계의 안정, 감정의 조절 욕구는 우리 삶에 더 큰 불안을 부른다는 것입니다. 그는 고통을 피하려는 태도 자체가 고통을 더욱 심화시킨다고 말하며, 진짜 행복은 '불행도 삶의 일부'라는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합니다.
본 책을 통해 지은이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행복은 어떤 정해진 목적지가 아니라, 불확실하고 불완전한 삶을 살아내는 방식 속에서 자연스럽게 피어나는 감정이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불안을 인정하고, 실수를 감내하고, 죽음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일 때 우리는 삶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으며 그 속에서 비로소 잔잔한 평온과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지은이는 목표를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삶이 행복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고 지적합니다. '에베레스트 참사'와 같은 극단적 사례를 통해 목표가 사람의 이성을 마비시키고 불행을 부르는 최면이 될 수 있다 경고합니다. 야심찬 목표가 실상은 불안을 감추기 위한 도구일 뿐이며, 이런 목표 추구가 오히려 우리를 행복에서 멀어지게 한다는 그의 주장은 지난 시간을 돌아보게 만들었습니다.
삶의 속도와 방향, 그리고 '행복'이라는 단어의 무게마저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