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3 :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 - 불타는 사막에 피어난 꽃 ㅣ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1,2>권에 이어 실크로드 편으로 돌아왔다. 중국편 1,2권에서 실크로드 동부 구간을 다뤘다면 이번 3권은 중부 구간으로 '살아서 돌아올 수 없는' 사막 타클라마칸을 통과하는 구간이어서 이 3권의 여정이야말로 실크로드의 진수라고 할 수 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3』의 오아시스 도시는 중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아픈 역사를 지닌 곳이다. 지금은 갈 수 없는 나라 누란, 교하고성, 폐허만 남은 고창고성 그리고 제국주의에 의해 침탈되어버린 아픈 역사의 베제클리크석굴의 모습 등등 오아시스도시의 슬픈 숙명이 유홍준 교수님의 설명과 함께 이 책 속에 그려진다.
1,2차 여정으로 답사를 하며 오아시스 도시를 여행한 저자의 일정은 서역 6강에 집중되어 있다. 고창국 (투르판), 언기국(카라샤르) 구자국 (쿠차), 소륵국 (카슈가르), 우전국 (호탄), 선선국 (누란)등을 역사의 순서대로 인천 -> 우루무치 -> 쿠차-> 타클라마칸사막 -> 호탄 -> 카슈가르 -> 파미르고원-> 서안->인천 코스로 1차 답사 후 완성도를 위해 쿠차와 투르판을 2차로 답사한 후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3』의 집필을 시작하였다.
중국편 1,2권에 비해 3권의 오아시스 도시에 대한 여정이 더욱 특별하게 다가오는 건 지금 이 지역들이 신강위구르지역으로 한족이 아닌 소수 민족의 지역으로 불교,이슬람교 등 다종교의 역사의 혼합등 독특한 문화가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슬람의 침입으로 불상을 모신 석굴이 파괴되고 이슬람 사원이 건설되기도 하고 흉노와 중국의 침탈로 인해 수많은 고난을 당해야 했던 그들의 아픈 역사가 있다.
유홍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2편>의 돈황문서에서 제국주의 탐험가들의 침탈에 대해 기술한 부분이 3편에서는 더욱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1893년 스벤 헤딘의 탐험을 시작으로 오렐 스타인, 알베르토 그륀베델, 알베르트 폰 프코크 등이 제국의 후원 아래 중국을 탐험하고 유적을 도굴함으로 얼마 남지 않은 유적은 씁쓸하면서도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소장중인 '오타니 컬렉션' 벽화들 또한 일본 오타니 고즈이의 수집,약탈행위로 인했다는 사실은 참으로 아이러니라 할 수 있다.
문화 유적을 주로 답사하는 유홍준 교수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의 특징은 박학다식한 교수님의 풍성한 해설도 한 몫하지만 그보다 문화 유산에 있어 절대 어느 한 쪽을 미화하기보다 전체적인 맥락에서 문화 유산을 소개한다는 점이다. 우리 나라에 비해 대체로 화려하고 웅장한 중국의 문화 유산을 소개한 중국편 1,2권에서도 저자는 중국의 문화를 더욱 높게 평가하는 국내 사람들이 많지만 이는 중국의 특징일 뿐 한국의 경우 좁은 지형에 최적화된 한국 고유의 문화 유산이므로 결코 모자르지도 폄하해선 안 된다고 하는 저자의 이론이 3권에서도 돋보인다.
우리도 중국을 바라볼 때
중원을 중심으로 했던 왕조만 생각할 것이 아니며
서역과 막북의 유목민족들을 함부로 '호(胡)라고 부르며
오랑캐로 대할 일이 아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3』에는 여행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 간간이 나타나 있다. 저자 또래의 답사객들의 여행 코스 일정을 보며 연령에 따른 달라지는 선호하는 관광지나 문화 유적 답사, 도시 관광 그리고 자연 관광들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이점 등등은 여행에 대한 참의미를 일깨워준다.
또한 자신의 전공이 아닌 부분에 대해서는 지인의 설명으로 답사 일행의 이해를 돕고 이 유적들을 하나라도 더 잘 알게 해 주려는 저자의 세심한 배려가 돋보인다.
침입과 폐허 속에 사라져간 도시, 결국 폐허로 남겨졌지만 그 남겨진 폐허에서 상상하며 그들의 발자취를 돌아볼 수 있게 해 주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3』은 우리에게 익숙한 현장 법사와 서유기 이야기와 함께 더욱 풍성한 이야기를 만들어준다. 또한 이 답사를 위해 저자가 참고한 일본 NHK 의 다큐멘터리등 설명을 참고하여 독자들이 사라진 오아시스 도시들에 대해 더 깊이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저자의 답사 인생 중 가장 감동적인 여행이라고 자평한 실크로드 답사 이후 중국의 8대 고도 중 하나인 서안과 낙양을 여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코로나로 여행이 어려워진 지금, 아마 저자의 다음 중국 답사기는 더 긴 시간을 기울여야 할 듯 하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3편 』이 앞의 1,2편에 이어지는 본 편이니만큼 다시 1권으로 돌아가서 읽으려고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저자의 말대로 다시 한 번 읽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1-3편』은 분명 더 풍성한 이해와 더 큰 감동으로 돌아올 거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