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 인생의 중간항로에서 만나는 융 심리학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 마흔은 쉽지 않은 나이이다.
어린 시절과 반항기로 가득했던 10대, 무엇이든 도전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 20대, 기반이 잡혀가며 아직은 즐길 수 있는 30대...
그에 비하면 마흔은 인생의 중년으로 접어드는 시기, 인생의 무게가 갑자기 무거워지는 시기다. 직장에서는 2-30대의 젊은 혈기에 밀리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심리적으로는 우울증과 부담감 스트레스 등 고독함으로 힘들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인생의 무게를 감당해 낼 수 있도록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의 저자 제임스 홀리스는 이 마흔의 위기에 대한 해결책을 [융 심리학]을 제시한다.
저자는 우리가 유년 시절부터 부모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받은 투사와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만든 페르소나(가면) 속에서 살아가지만 결국 이러한 가면 속에서 감추고 살아가는 것에도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이 위기가 닥쳐왔을 때 우리는 기존에 해 오던 방어체계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 때가 바로 중간항로(middle passage)로 들어가는 단계이자 진정한 나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저자는 대안책으로 나 자신의 모든 것을 감추지 말고 정면대응 할 것을 제시한다. 나 자신의 단점, 외로움, 그림자 이 모든 것을 감당할 사람은 결국 나 혼자이며 어느 누구도 대신 해 줄 수 없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 결국 타인의 중재 없이 자신의 의존성, 콤플렉스, 공포를 직면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가 짊어져야 할 몫을 타인 탓으로 돌리는 일을 그만두고 자신의
육체적, 감정적, 정신적 안녕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서로 도와가며 함께 살아야 한다는 것이 아닌 나 자신의 모든 것을 홀로 감당하도록 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잔인한 것처럼 들릴 지 모른다.
의지하며 살아가기도 힘든 상황인데 나의 모든 것을 타인에게 바라지 말고 나 홀로 책임을 떠맡겨야 하다니... 부부관계에서도 아내와 남편이 서로 상대방에게 의지하려 하고 바라는 게 많을 때 부부생활은 어긋나게 된다. 스스로가 자신의 삶과 발전을 책임질 때 부부관계가 오래 갈 수 있다.
주위에서 종종 "네 몸 어느 누구 하나 챙겨줄 사람 없다. 남편도 책임져주지 못하니 네 몸 네가 알아서 챙겨라. 안 그러면 너만 병난다."하며 내게 충고한다. 이러한 충고들이 어쩌면 저자가 말한 대안과 일맥상통한 것이 아닐까?
내가 피하고 싶었던 모든 그림자와 대면하고 받아들임으로 인해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제까지 미처 알지 못했던 나를 만날 수 있게 되고 진정한 나를 찾는 개성화를 이룰 수 있다.
우리의 내면아이와 대면함으로 내면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내면아이와 대면하고 내면을 충족시켜 줄 때 우리는 마흔의 우울감과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다.
저자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해결책은 온전한 나 자신을 만남으로 나 의 모든 것을 사랑할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차 성인기(12~40)까지 우리는 우리의 단점을 모두 감추고 살기 바쁘고 때와 상황에 따라 가면을 쓰기 바빴다. 나를 위한 삶이 아니라 남에게 맞추어지는 삶을 살아왔고 진정 나와 대면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았으며 우울감과 지루함은 항상 꼬리표처럼 따라왔다.
중년, 마흔은 위기 속에서 나를 온전히 바라볼 수 있는 시기이다.
나의 모든 것을 끄집어내어 나와 대화하며 나의 모든 것을 사랑하라.
그리고 과거의 나보다는 현재의 나에게 집중하며 현재를 살아가야 한다.
워킹맘으로 살다보니 처음에 힘들다는 말을 습관처럼 내뱉었다. 다른 사람들이 나의 힘듬을 알아주고 위로해주기 바랬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기대함으로 나의 좌절감과 분노는 커져갔고 어느 순간부터인가 속으로 삼키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 실망도 분노도 일지 않았다. 어쩌면 저자가 말한 대로 내 자신의 힘듬과 외로움은 나 스스로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느끼고 난 후부터 그랬던 것 같다.
어쩌면 이 책이 힘든 상황에 있는 사람들에게 더 외로움을 자극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결국 자신의 인생을 남에게 기대는 것이 아닌 나 자신이 책임져 갈 때 인생의 항로가 더욱 의미가 있어지는 것은 분명하다. 나를 바라보는 연습...우리는 너무 나에게 인색해 왔다.
나를 알지도 못한 채 시간을 보내 왔다. 이 책은 그런 우리들에게 나와의 대화를 할 것을 요구한다. 진정한 나 자신을 마주보고 사랑하라. 답은 바로 나 자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