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해설서
정동호 지음 / 책세상 / 2021년 9월
평점 :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철학계의 고전이라 말할 수 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어보지 못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누구나 유명한 '신은 죽었다'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신은 죽었다'의 의미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다. 어렵지 않은 문장임에도 심오하고 난해한 문장으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제대로 이해하고 읽기는 매우 어렵다.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해설서』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난해한 의미를 풀어 설명함으로 니체의 철학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해설서이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니체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니체 전문가인 정동호 교수는 <차라투스트라>의 난해한 문장과 번역서의 짤막한 주석과 해설이 충분치 않아 오히려 독자들을 잘못된 의미로 이끌 수 있음을 우려했다. 니체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 니체의 글 하나하나를 풀어 해설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해설서』를 펴내게 되었다.
먼저 이 책은 해설서이니만큼 이 책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역시 함께 읽어야 한다. 우리가 문제집 없이 해설서만 가지고 공부할 수 없듯이 원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를 함께 읽고 비교함으로 진짜 의미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H출판사에서 출간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참고하였다.

모두 잘 알다시피,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가장 유명한 문장은 "신은 죽었다"라는 문장이다. 원문에서는 "신은 죽었다"라고만 간단히 번역되어 있는데 반해 이 해설서에서는 니체의 배경과 함께 그 기원까지 자세한 설명에 공들인다. 목사 가문의 출신의 니체, 하지만 그리스도교와 등지게 된 니체가 신의 죽음을 선언하게 된 배경으로 우리는 '신은 죽었다'라고 말한 글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정동호 교수는 어려운 말을 쉽게 풀이하는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단어 번역도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니체의 "나는 그대들에게 초인을 가르치려 한다" 에서 "초인"을 "위버맨쉬"라는 원어 그대로 옮기며 '초인'으로 해석하였을 때 생겨날 수 있는 의미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성경을 믿지만 성경 해석은 신학자 또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이슬람법 또한 온건적인 이슬람교도의 해석과 강경파인 탈레반의 해석이 다르다.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역시 마찬가지다. 정동호 교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H출판사의 글 또한 해석 또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가령 2부의 [자기 극복에 대하여] 장에서 정동호 교수는 "권력에의 의지", "지배의지" 도 힘에의 의지의 하나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H출판사의 저자의 경우'힘에의 의지'라는 뜻은 중립적인 의미이며 이 용어가 나치에 의해 정치적으로 오용되었다는 사실에 영향을 받아 오히려 니체의 의도를 왜곡한다고 반박한다. 서로 반박도 하며 보충도 함으로 조금씩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배경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죽기 전에 꼭 한 번 읽어야 할 철학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내게도 감히 꺼내 읽기 두려운 책이었다. 정동호 교수의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해설서』는 어려운 니체의 철학을 한 걸음 앞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해 주는 디딤돌 역할을 충분히 해 준다. 앞서 말했듯 이 책은 해설서이다. 그러므로 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함께 읽어야 니체를 이해할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