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카를 찾아서
미치 앨봄 지음, 박산호 옮김 / 살림 / 2021년 9월
평점 :

미치 앨봄은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로 유명한 저자이다.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은 저자 미치 앨봄이 루게릭병으로 투병하는 모리 교수님과 화요일마다 만나며 나눈 대화를 엮은 책이였다. 죽음과 고통 속에서도 삶을 즐기기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모리 교수님의 이기였다. 운명의 장난일까. 12년만에 돌아온 미치 앨봄의 신간 『치카를 찾아서』 또한 자신들이 입양한 아이티 출신의 딸 치카의 마지막까지 함께 한 이야기를 다룬다.
치카, 치카는 2010년 아이티를 황폐화시킨 대지진때 살아남은 아이였다. 그 때 라디오 진행자였던 미치 앨봄은 아이티에서 보육원을 운영하던 목사로부터 아이티의 현실을 듣게 된다. 안타까움에 아이티로 가서 돕게 되고 보육원을 운영하는 목사님의 어려운 상황을 알게 된다. 그들을 돕는다는 것.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미치 앨봄은 보육원 운영을 떠맡게 된다. 그리고 치카는 어머니를 잃고 대모의 손에 이끌려 보육원에서 만난 다섯 살 소녀였다.
『치카를 찾아서』에서 미치 앨봄은 치카에게 자신의 모든 걸 고백한다.
아이라는 존재에 대한 부담감, 아이는 언제든지 가질 수 있다고 생각했던 자신의 오만, 자신의 오만으로 사랑하는 아내 제닌을 만나 결혼했지만 끝내 가질 수 없었던 자녀에 대한 아쉬움과 아픔...
그렇게 미치 앨봄은 아이를 한사코 기피했던 자신의 젊은 시간을 아쉬워한다.
가장 이기적인 건 시간을 탐욕스럽게 쓰는 거야.
우리에게 얼마나 많은 시간이 남았는지 아는 사람은 없어.
그러니 앞으로도 자신에게 많은 시간이 남았을 거라고 짐작하는 건
자신에 대한 모욕이란다.
아이가 없는 미치 앨봄 부부에게 찾아온 아이는 뜻밖에도 아이티 출신의 치카였다.
아이티에서 뇌종양을 선고받은 치카는 전문가의 치료를 필요로 했고 미치 앨봄은 그 짐을 떠맡았다.
치카가 완치되면 다시 아이티로 돌려보낼 계획은 치카의 뇌종양이 DIPG (확산성 뇌교 신경교종)이며 이제 4개월만 남았다는 불치병 판정을 받은 후 미치 앨봄 부부는 계획을 수정한다.
이 어린 생명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고.
이 아이의 법적 보호자가 되어주겠다고.
그렇게 그들 부부는 치카를 위해 가족이 되어 준다.
치카는 미치 앨봄에게 나타나 자신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교훈에 대해 써달라고 말한다.
미치 앨봄은 아이가 없이 살아가던 시간 속에 불쑥 찾아온 치카로 인해 부모가 되어 가며 배운 교훈을 이야기한다.
보호자,
시간,
경이로움.
강한 아이
...
부모가 아니라면 느끼지 못했을 모든 것들을 치카를 통해 알게 된다.
아픈 치카를 책임지고, 자신의 시간을 포기하고, 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경이롭게 바라본다.
한 생명체를 위해 자신의 시간을 기꺼이 내어주지만 그 시간은 결코 헛되지 않는다. 더 많이 베풀고 사랑함으로 행복한 부모의 마음을 미치 앨봄은 치카로부터 배운다.
네가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소중한 것은 시간이란다. 치카.
그건 되찾을 수 없기 때문이야.
뭔가를 돌려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주는 것.
그것이 바로 사랑이지.
난 그걸 너에게서 배웠다.
미치 앨봄과 아내 제닌은 치카와 함께 한 23개월을 기꺼이 함께 하며 가족이 되어준다.
어쩌면 아이가 없어 슬픈 이 부부에게 신이 주신 잠깐의 선물이랄까.
치카가 아니였다면 알지 못했을 부모의 의미를 깨달으며 그들은 그 역할에 감사해한다. 치카가 자신들의 곁에 있다는 사실만으로 감사한다. 그래서 이 마지막까지의 여정을 미치 앨봄은 슬프지 않고 즐거웠던 추억으로 회상한다.
그리고 치카가 떠난 지금, 아이티 보육원에 있는 치카의 형제들과 다른 아이들을 안는다.
네가 안고 가는 것이 너란 사람을 나타낸단다.
우리 모두 매일 뭔가를 안고 살아간다.
그리고 너와 같이 보냈던 시간 내내 치카,
네가 그토록 단호하게 말했던 것처럼,
내가 할 일은 너를 안고 가는 것이었단다.
그것은 세상에서 가장 근사한 부담이란다.
사랑은 동사라는 말이 있다. 누군가를 위해 뭔가를 하는 것이다. 안고 가는 것이다. 부담을 스스로 지는 것이다.
아낌없이 사랑했기에 미치 앨봄은 또 다른 부담을 질 수 있었다. 그리고 치카는 아픔이 아닌 소중한 기억으로 존재할 수 있었다. 나는 어떻게 사랑하고 있는지 스스로 질문해본다. 시간은 결코 무한하지 않다. 사랑할 수 있는 시간은 지금이다. 지금 바로 우리가 사랑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