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 - 올드 사나에서 바그다드까지 18년 5개국 6570일의 사막 일기
손원호 지음 / 부키 / 2021년 8월
평점 :

어린 시절부터 아랍은 신비의 장소였다. 사막, 낙타, 오일이 떠오르던 아랍. 하지만 이제는 독재, 내전, 알카에다 IS라는 이미지가 대표되곤 한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우리의 이미지는 언론에서 들려주는 뉴스로 상상해 왔다. 정작 우리는 아랍을 제대로 아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잘 듣지 못했다. 과연 아랍은 덥고 무섭기만 한 나라일까?
여기 18년 5개월 동안 아랍 국가에서 생활하며 아랍을 사랑하는 사람의 아랍 이야기를 들어보자.
『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는 저자 손원호씨가 이집트,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연합에서 직접 보고 겪은 진짜 아랍인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먼저 아랍의 이미지는 뭐가 떠오르는가. 광활한 사막을 건너는 도도한 낙타의 아라비아 상인이 떠오른다.
아라비아 상인처럼 낙타의 등에 물건을 주렁주렁 싣고 가는 아라비아 상인의 모습처럼 낙타는 사막에서 가장 강한 동물이다. 이 아랍 이야기에도 사막이 빠질 수 없다.

우리에게는 그저 이동수단으로 알고 있는 낙타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낙타가 본격적으로 사막에서 쓰이게 된 배경, 이동 수단 뿐만 아니라 전투에까지 사용되었던 낙타,
구약 성경과 상업, 전투, 문학 등에서까지 아랍인들과 함께 한 낙타의 역사를 통해 낙타가 주는 아랍인들의 이야기를 느끼게 해 준다.그리고 이토록 친숙했던 낙타가 문명의 발달에 그저 관광상품으로 전락하게 되는 씁쓸한 이야기는 문명의 발달이 또 하나의 자연 친구를 잃게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를 떨쳐 버릴 수 없다.
중동을 말할 때 이슬람을 빼 놓을 수 없다. 아랍인들의 정신적인 뿌리이자 내전의 주요 원인이기도 한 이슬람의 종파 다툼, 아랍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이슬람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과연 이슬람은 그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척박한 아라비아반도에 빛을 비추어 준 분이지.
내가 말하는 것은 영적 척박함이야.
그곳에서 우리를 건져 준 분이 바로 선지자 무함마드야.
아랍의 휴일이 이슬람의 역사에 따라 공휴일이 정해지니만큼 이슬람의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일. 흔히 알고 있는 라마단부터 시작해서 무슬림들의 최대 꿈인 메카 성지 순례 이야기는 빼 놓을 수 없다.

우리는 보통 엄격한 무슬림을 생각하니만큼 모든 무슬림들이 철저히 라마단을 지킬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기독교인이어도 교리를 지키는 정도가 다르니만큼 이 책에도 모든 사람들이 엄격하게 지키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자의 글을 읽으며 호주 워킹홀리데이 때 함께 일했던 무슬림 동료들이 떠올랐다.
먼 이국의 땅 호주에서도 라마단 금식월이면 어김없이 금식하는 동료들이 있는가하면 청소같은 험한 일을 하는 데 어떻게 금식할 수 있냐며 자유롭게 먹던 동료도 있었다. 그 모습을 보며 그들도 자유롭게 믿는다는 생각을 처음 하게 된 계기였다.
『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에서는 이슬람 외 타 종교가 존재할 수 없을 거라는 우리의 편견도 깨뜨린다.
아기 예수가 헤롯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에 거하던 유일한 기독교 마을 '올드 카이로' 이슬람과 함께 공존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협조하며 명맥을 유지하는 기독교인의 모습 등은 이 척박한 상황에서도 신앙을 지켜낸 그들의 믿음에 경이로움을 표하게 된다.
슬프게도 아랍은 예멘, 시리아, 이라크 등 내전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많은 국민들이 목숨을 잃고 자신들이 살고 있는 터전을 떠나 유랑 생활을 한다. 그들의 유랑은 가까운 말레이시아로부터 유럽, 또는 한국이기도 하다.
특히 저자가 사랑한 어학원이 있던 예멘의 추억은 2018년 예멘 난민 찬반 논쟁으로 인해 저자는 더욱 안타까움을 표한다.
책에는 저자의 아랍에 대한 향수와 추억이 물씬 풍겨난다. 무엇보다 저자는 경험에 그치지 않고 그 역사왕 배경 등을 설명 후 자신의 경험담을 이야기함로 독자들이 빠질 수 있는 편견을 막아준다. 아랍의 여성들이 겪는 차별, 그리고 아랍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 들을 통해 아랍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을 통해 아랍이 친근하게 느껴지도록 한다는 게 저자의 의도였다면 저자에게 성공했다고 말하고 싶다. 적어도 나에게는 아랍이 예전보다 훨씬 더 가까워진 느낌이다. 예멘 내전으로 인해 소식이 끊긴 어학원 스승과 동료들을 다시 한 번 만날 수 있기를 바라며 아랍에도 하루 빨리 평화가 찾아오길 간절히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