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방자 신데렐라
리베카 솔닛 지음, 아서 래컴 그림, 홍한별 옮김 / 반비 / 2021년 5월
평점 :

왕자님과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로 끝나는 신데렐라 이야기가 리베카 솔닛에 의해 다시 씌여졌다.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한다>의 저자 리베카 솔닛이 썼다는 이유만으로 우리는 이 전형적인 공주 이야기가 완전히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기존 동화가 왕자님에 의해 행복해지는 수동적인 역할이었다면 리베카 솔닛이 쓰는 '해방자 신데렐라'는 해방시키는 적극적인 역할로 변모한 신데렐라를 예상케 한다.
《해방자 신데렐라》의 이야기의 초반은 기존 동화와 다르지 않다.
"재"라는 뜻의 신데렐라는 새어머니와 새어머니의 친딸 펄리타와 팔로마에게 구박을 받으며 온갖 집안일을 한다. 힘든 나날 중 왕자님의 파티가 열리게 되고 신데렐라는 파란 요정의 도움으로 파티에 참석하게 된다.
여기까지는 모두가 잘 알고 있는 신데렐라 이야기다.
리베카 솔닛의 이야기는 파티가 끝난 후부터 시작된다.
신데렐라를 위해 말로 변신한 생쥐 여섯 마리, 말구종으로 변신한 도마뱀, 그리고 화려하게 변신한 신데렐라.
요정은 약속한 시간이 끝나고 돌아온 이들에게 말한다. 진짜 마법은 따로 있다고.
대모 요정은 모두가 자유롭고
가장 자기다운 모습이 될 수 있게 돕는 것이
진짜 마법이라고 했어.
기존 동화가 화려하게 변신한 신데렐라의 모습만을 부각시켰다면 리베카 솔닛의 동화는 기존의 시각을 비튼 새로운 형식을 제시한다. 이제까지 우리는 화려하게 변한 모습이 최고라고 여겨왔다. 그리고 공주는 그 모습으로 끝이 났다. 하지만 리베카 솔닛은 질문을 던진다.
언제가 가장 자유로운가?
자신이 가장 자신다울 때가 언제인가?
요정의 질문에 신데렐라와 생쥐 그리고 도마뱀들은 각자 선택을 한다. 자신이 행복한 시간들을 이야기하며 기존의 본 모습대로 돌아가거나 또는 요정이 변신시켜 준 모습대로 있기를 선택한다. 자기다운 모습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게 진짜 마법이라는 요정의 마법은 12시가 지나서도 끝나지 않았다.
사라진 유리 구두 한짝을 찾기 위해 왕자님은 구두의 주인을 찾는다. 하지만 우리는 짐작할 수 있다.
왕자님과 신데렐라가 만나서 결혼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을 것을. 초라한 자신의 모습을 보며 그동안 후퇴한 자신의 자존감을 먹고 두려워한 신데렐라에게 요정은 말해준다.
누구든 자기의 말과 행동만큼
훌륭하고 중요한 거니까.
부모, 부, 외모는 중요하지 않다. 자신의 말과 행동이 훌륭하다면 그걸로 자신은 중요한 사람이다.
신데렐라는 대모 요정의 말에 자신감을 얻고 자존감을 회복한다. 자신이 원했던 꿈을 실현시켜 나가고 왕자님이 새로운 도전을 찾아 나설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전쟁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도와주며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사람을 변신시켜 주는 마법이 없어도 자유로워질 수 있게 해 주는 해방자. 신데렐라는 '해방자'가 되어간다.
해방자란
다른 사람들이 자유로워질 길을 찾도록 돕는 사람이야.
《해방자 신데렐라》 동화 초반에 해방자는 대모 요정이었다. 요정은 마법을 써서 자신의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해 주었다. 하지만 신데렐라는 자존감을 회복한 후, 자리를 박차고 꿈을 찾아 나선다. 자신이 가장 행복한 일을 해 나간다. 그 후 신데렐라는 다른 사람들이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돕는 해방자가 된다.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알 수 있다. '해방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이 먼저 '해방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먼저 자신이 자유롭고 자신다운 모습으로 살 수 있어야 남을 도울 수 있다. 신데렐라가 원하는 자신의 모습을 알고 난 이후에야 남을 도울 수 있었듯, 우리 또한 남을 해방시켜주는 해방자가 될 수 있다.
리베카 솔닛의 《해방자 신데렐라》는 기존의 동화의 형식을 따르지만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신의 진짜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독려하며 우리 모두 마법을 부릴 수 있도록 돕는 환상적인 동화책이다.
"왕자님과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습니다"가 아닌
"자신이 원하는 모습을 찾아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로 끝나는 동화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