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년의 질문 1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9년 6월
평점 :

300명이 넘는 생명이 죽어가는 데도 단 한 명도 구해내지 못해내는 국가를 보며 사람들은 외쳤다.
"이게 나라냐?"
조정래 작가의 소설 「천년의 질문」은 소설의 처음부터 끝까지 국가란 무엇인가, 대한민국이란 무엇인가를 묻는다.
「천년의 질문」은 현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는 실제 인물들의 모티븍 누군지를 알 수 있는 중심 인물들을 볼 수 있다. 영세한 잡지사에서 취재비를 충당하기 위해 매월 월급 0원을 찍는 심층 취재 전문 기자 장우진은 [시사인]의 주진우 기자를 연상케 하며 막대한 비자금을 지인들의 차명 계좌를 이용하여 비축하는 대기업 성화는 대한민국의 거대 재벌 "삼성"과 데칼코마니를 이룬다.
조정래 작가는 1권에서부터 국가의 무능력함을 거리낌없이 고발한다.
비자금 사건을 캐내려는 장우진 기자를 압박하기 위해 정보망을 이용하여 인맥과 재력을 총동원하여 그 일상을 흔들어내는 대기업의 횡포,
재벌과 정치계의 검은 커넥션, 선거때만 국민들에게 아부하며 표를 구걸하지만 당선과 동시에 국민을 개,돼지와 같은 우매한 족속으로 무시하는 국회의원들,
전관예우의 힘으로 온갖 비리도 눈감아 버리는 법조계 등...
이 모든 사건들은 소설 속 사건이 아닌 실제 대한민국에서 일어났던 일들임을 우리는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사건들 속에서 저자는 과연 이 일들이 일어나고 있을 당시 "국가란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라고 진지하게 묻는다.
정의를 실현하고 약한 자를 도와주어야 할 법조계가 돈과 권력에 줄서기를 하며 정의의 추를 무너뜨릴 때 과연 사법부의 기능이 완전히 무너졌을 때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대기업이 엄연히 비자금으로 조세 의무를 하지 않음에도 국가는 조세정의의 의무를 충실히 하고 있는가?
대한민국의 법을 만들어야 할 국회가 재계와 협력하여 국민들을 농락할 때 국가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대한민국은 국가의 의무를 제대로 하고 있는가를 시시때때로 묻는다.
책 한 장 한 장 읽어나갈수록 지나온 대한민국의 역사가 그려지며 읽어나가기가 쉽지 않게 한다.
읽는 이로 하여금 "내가 과연 이런 나라에 살아왔는가?"를 진지하게 탄식하게 하며 과연 국가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가를 질문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 거대한 탐욕 속에 유일한 희망을 "참여연대"와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의 존재를 통해 드러낸다.

힘이 없어 보이는 개개인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비리정치인들에 대한 낙선운동을 벌이고 사회정의를 이루어가는 참여연대와 권력 기관으로부터 소송을 당하며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무료로 변론해주는 민변의 존재 등이 이 불의의 세력을 견제함을 통해 바로 이 깨어 있는 개개인이 바로 국가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저자는 말한다.
국가가 국가의 역할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때 국민이 국가가 되어야 한다.
온 국가 기관이 거대 자본의 유혹에 무너져 내리며 없는 서민들을 조롱할 때 그 조롱당하던 개개인이 모여 조직이 되고 커져서 쌍룡이 될 만큼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바로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는 헌법의 이념을 새기고 행동에 나선 깨어있는국민의 힘이였다.
첫 권에서부터 쉬지 않고 몰아치는 거대 자본의 압력, 그리고 그 거대 자본에 의해 놀아나고 이용당하는 한 개인의 몰락 등을 통해 작가는 이 첫 권에서 거대 자본이 한 국가 안에 얼마나 막강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드러내준다.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어렴풋이 잊혀져가는 사건들을 환기시킴으로 절대 잊지 말 것을 말하고 있는 듯하다.
이제 첫 권만을 읽었을 뿐인데도 2권을 시작하기가 겁이 난다. 이게 끝이 아님을 알기에 아니 더욱 강력한 불의와 이 사회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펼쳐질 것임을 알기에 느끼는 좌절감 때문일 것이다.
처음부터 박진감있게 몰아치는 첫 권을 시작으로 과연 어떻게 진행될지에 대한 기대로 다음 권에 대한 궁금증이 더욱 커져가게 한다.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