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리콘 - 시작부터 완벽에 다가서는 일
김종훈 지음 / Mid(엠아이디) / 2020년 6월
평점 :

주변 지인들중에 건축설계 일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현상공모와 시기에 따른 마감에도 불구 하고 철야는 일상이며 미래는 보이지 않는다 한다. 그래서 미래를 위해 자기만의 사무소를 설립하거나 아니면 PM관련 시험을 준비하는 이들을 많이 봤다. 왜 규모의 경제 산물, 건축물이 자신의 설계안만 당첨된다면 그에 상응하는 대가도 상당할텐데 왜 메이저회사 건축사로 소속을 둠에 불구하고 퇴직과 창업 스펙쌓기를 준비 하는 말인가..이런 우리나라 고질적인 건설관련 업종의 병폐 비효율의 해결법을 프리콘에서 찾아야 한다.
건축물을 의뢰하면 발주자나 대행사는 완벽한 완성도에 시간을 단축하길 바라고 비용적인 절감을 원하게 된다. 하지만 발주자와 시행사간의 이해관계가 안 맞을수도 있고 설계부분에서 시행사와의 불협화음이 있을수도 있다. 그래서 5단계 기획, 설계, 발주, 시공, 유지로 나뉘는 건설 프로젝트에 초기 진입이 비용절감과 건축의 토대가 되므로 기획,설계,발주 초기 중요한 3단계를 프리콘(pre-costruction)이라 총칭한다. 건축에서 설계이전과 설계단계의 행동이 프로젝트 비용에 90% 영향을 미치고 시간이 지나 시공단계로 들어가면 성공의 여부와 상관없이 진행은 계속되고 트러블 발생시 변경비용과 시간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난다. 프리콘의 중요성을 알고 시행하는게 프로젝트성공의 초석이며 성공으로 향하기 위해서는 그 외에 산재된 문제들도 인식하고 해결해야 한다. 건축물 의뢰인 발주자들과 이해관계 문제, 설계자와 시공사간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업의 부재, 건축물에 대한 규제와 제도의 미비함등이 프로젝트 성공을 방해하는 요소중에 하나 겠다. 그래서 트러블 발생시 종합적인 점검과 문제해결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각분야의 전문가로 운영되는 프로젝트팀의 프리콘 활동이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가져 올 것이다. 프리콘 활동 완성도가 성공에 미치는 점은 전략과 전략목표 프로젝트의 수행시스템 구축과 리스크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전문가들의 협업을 다른 나라 건축물의 성공사례에서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단 건축업에서만 아니라 일의 전문성과 완벽성이 추구되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프리콘이 활동이 주는 사례들과 전략, 과정들은 일의 시행착오를 줄여 성공으로 닫게 해 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