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프픽션
조예은 외 지음 / 고블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이너한 한국식 펄프픽션, 한국단편소설 앤솔로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낀대 패싱 - 튀고 싶지만 튀지 못하는 소심한 반항아들
윤석만.천하람 지음 / 가디언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디지털 감성 e북 카페를 통해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가디언에서 출간한 '낀대 패싱'입니다. 이 책은 60년대생이 주류를 이루는 586 세대와 80~90년대생이 주류를 이루는 MZ 세대 사이에 껴 있는 '낀대'를 주제로 윗세대에 치이고 아래 세대의 눈치를 봐야 하는 그들의 고뇌와 세대 갈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요, 586 세대의 가치관 밑에서 일을 배우면서 성장해온 그들이 새로운 MZ 세대로부터는 젊은 꼰대 취급을 받는 아이러니 속에서 두 세대와 낀대와의 차이는 무엇인지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저도 MZ 세대의 구성원으로서 낀대에 해당하는 선배 근무자와 생활하다 보면 이해가 안 되는 언행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여러모로 답답함을 느낄 때가 종종 있는데요, '낀대 패싱'에서는 왜 낀대가 '젊은 꼰대'라고 박해받는 것인지, 그들의 생각과 가치관은 586과 MZ 세대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돌아볼 수 있는 구성으로 1부에서 4부까지 낀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재밌는 내용으로 이번 대선에서 주요 정치인으로 자주 언급되는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도 1985년생으로 '낀대'에 속한다고 하네요^^




직장 생활에서 '낀대'는 중간 관리직에 속한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상사인 586세대와 후임 직원인 MZ 세대의 가교 역할을 해야 하는 중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부담이 큰 세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직생활에 있어서는 586세대와 큰 차이가 없지만, 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함께 어린 자식을 포함한 가정을 챙겨야 하는 스트레스와 부담에 시달린다는 차이가 있지요. 이는 대부분 미혼인 MZ 세대와 가치관 차이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곤 합니다. 나 자신의 워라벨을 챙기는 MZ 세대와 가정과 회사를 동시에 신경 써야 하는 '낀대'는 생각하는 방향성 자체가 다를 수밖에 없는 법이죠.


'낀대 패싱'에서는 두 세대 사이에 끼어 있는 낀대들이 정부 정책의 피해를 제일 먼저 받는 세대라고 평하기도 하는데요, 무슨 소린가 하니 정년 연장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요즘 시기에 퇴직을 해야 하는 586세대의 퇴직 연령이 연장되기 시작하면서 낀대들의 승진 시기는 늦춰지고 임금 또한 동결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공기업의 경우에는 임금 피크제 실시 등으로 출근도 거의 안 하고 일도 안 하면서 고연봉을 받는 586세대들이 늘면서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그들이 퇴직해야 신입 직원을 뽑고 낀대들도 승진 등으로 보다 나은 대우를 받을 수 있을 텐데 현실은 안 좋게 만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년 연장뿐만 아니라 정부의 국민연금 폭탄 돌리기로 인해서 가장 먼저 피해를 받는 세대 또한 낀대라고 하는데요, 연금 개혁은 신경도 쓰지 않은 채 남녀 갈등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기만 해서 출산율이 바닥을 치도록 내버려 두는 정부의 삽질 속에 낀대들이 피해를 받는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야속하기만 합니다.



이 글은 디지털 감성 e북 카페를 통해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낀대 패싱 - 튀고 싶지만 튀지 못하는 소심한 반항아들
윤석만.천하람 지음 / 가디언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86과 MZ 세대 사이, 낀대들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들이 두 세대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낀대 갈등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NS 인문학 - 알고 쓰면 더 재밌는 SNS 신조어
신동기.신서영 지음 / M31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M31에서 출간한 인문교양 도서인 'SNS 인문학'입니다. 이 책은 사회 변화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유행어들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는데요, 유행에 따라서 새롭게 생겨나고 사라지는 유행어들이 어떠한 배경에서 생겨났는지 그 유래와 의미를 살펴보면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 이 책에서는 SNS 유행어 중에서도 시간이 흘러도 살아남을만한 유행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어서 제가 학창시절에 유행했던 유행어들도 만나볼 수가 있어서 반가운 기분이 드네요^^


'SNS 인문학'의 신동기·신서영 저자는 각자 국내외 명문대학교를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거쳐 겸임교수를 지낼 정도로 다양한 지식을 쌓아왔는데요, <울림> <이 정도는 알아야 할 정치의 상식> <네 글자의 힘> <미래사회 리더의 경영 키워드> 등의 도서와 오디오북을 출간하면서 인문학 분야 작가로서 인지도를 쌓는 중이라고 하네요. 이 책의 목차를 살펴 보니 '잉여인간'부터 라떼, 흙수저, 인구론에 이르기까지 SNS에서 자주 사용하는 유행어들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독자들에게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잉여인간'은 '쓰고 난 나머지, 별로 쓸모가 없는'의 의미를 가지는 잉여와 인간이 합쳐진 용어인데요, 사회에서 도태되었거나 백수나 저소득자 등의 스스로를 쓸모없다고 느끼는 사람들을 뭉뚱그려서 지칭하는 유행어로서, 경제가 어려워지고 청년층의 취업률이 급감하기 시작한 2010년 시기에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전에는 '일을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놈팡이라는 말이 주로 사용되었다가 인터넷과 함께 SNS를 주로 사용하는 세대들이 청년층을 이루다보니 아직까지도 사용되는 유행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인문학적 관점에서는 마르크스의 '산업예비군'이라는 말과도 사회적 의미가 가깝다고 합니다. 부정적인 의미로 가득한 잉여인간이라는 용어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유행어로서 자주 사용되는 현실이 야박하게만 느껴지는 것 같네요.


'SNS 인문학'에서는 저도 자주 사용하는 유행어인 '흙수저'에 대한 이야기도 등장하는데요, 2005년 6월 12일 스탠퍼드 대학 졸업식에서 애플의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가 남긴 축사 전문을 보여주면서, 세계적인 부자로 이름을 날리던 그도 처음에는 흙수저를 넘어서 아무 것도 없이 태어난 무수저로 살아온 사실을 밝히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우리나라에서도 부모의 재산과 위광을 받고 태어난 금수저와 그렇지 못한 흙수저들 사이의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면서, 어린 아이들 사이에서도 휴거(휴먼시아+거지), 엘사(LH아파트에 사는 사람)와 같은 차별적인 유행어가 생겨나기도 하는데요, 공정과 정의와는 거리가 먼 사회가 되어가는 것 같아서 안타깝기만 합니다. 사회와 경제가 흔들릴수록 부정적인 유행어 또한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기 마련이죠.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유행어들이 넘쳐나는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하는 게 바램입니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NS 인문학 - 알고 쓰면 더 재밌는 SNS 신조어
신동기.신서영 지음 / M31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적 관점으로 살펴보는 SNS 유행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