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여! 동성 커플들에게도 우리와 같은 지옥을 맛보게 하소서.’ 2013년 9월7일 동성 부부인 김조광수·김승환씨가 결혼식을 올리자 ‘한국기혼자협회’ 에서 재치있는 문구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하지만 하늘은 이 ‘기도’에 응답하지 않았다. 이들의 혼인신고서는 수리되지 않았다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살고 싶다.’
사람들에게 결혼하려는 이유를 물었을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대답이다. 동성부부도 다르지 않다. 그런데 동성혼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사람들은 동성부부가 법적 부부에게 적용되는 혜택만을 위해 결혼을 원한다고 비난한다. 그러면서 왜 굳이 결혼하려고 하느냐며 못마땅해한다. 동성부부들은 이런 현실이 답답하다

“사람들은 동성부부한테 서로 진짜 사랑하냐, 그렇다면 얼마나 사랑하는지, 그 관계의 깊이는 얼마나 되는지를 증명하라고 해요. 그런데 우리가 왜 증명해야 하죠? 이성부부에게도 이렇게 증명을 요구하나요?”


이번 혼인평등소송이 가족의 본질과 실체를 따져 묻는 과정이 되길 바란다

자신이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방식으로 공동생활을 하기로 결정했을 때 국가가 이를 보장하고 지원하는 것이 개인의 기본권이 돼야 한다. 혼인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쟁이 어떤 ‘자격’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가 개인의 결정을 지지하고 권리를 어떤 방식으로 보장할 것인가에 주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겠다

2001년 법이 보호하는 세계 최초의 동성 부부를 탄생시킨 네덜란드를 시작으로 지난 20여년 동안 전세계 39개국이 동성혼을 법제화했다.
그러고서 ‘망한 나라’는 한 곳도 없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24-10-24 18: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역시 네델란드는 머든지 빠르군요. 우리나라도 동성결혼이 합법화되면 좋겠네요.

나와같다면 2024-10-24 19:05   좋아요 2 | URL
다양한 삶의 형태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한부모 가정. 조손 가정.. 여러 형태의 가정들이 온전하게 인정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느린 것처럼 보이지만 법은 꾸준히 세상을 바꿔왔다고 생각합니다

고양이라디오 2024-10-25 10:40   좋아요 1 | URL
맞습니다. 항상 제자리 걸음하는 거 같지만 그래도 뒤를 돌아보면 많이 걸어왔더라고요^^
 

한국에서 노벨문학상이 나오는 걸 내 눈으로 보다니 쉽게 잠들 수 없는 밤이다

한강의 책을 골라들고 서성인다

44년이 흘렀지만 노벨문학상 수상이
5.18의 피울음. 억울한 영혼에게 위로로
가 닿기를 바란다


아.. 노벨문학상 작가의 작품을 원어로 읽다니!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24-10-11 17: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원어라는 말이 잠깐 어색하게 느껴졌어요. 원어=영어 라는 프레임이 이토록 강력한 것이었네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이 프레임이 깨지는 하나의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기억되겠군요.

나와같다면 2024-10-11 22:48   좋아요 1 | URL
노벨문학상 수상작은 원서로 읽어야 제맛이죠!

프레임이 깨지는 것은 언제나 강렬해요

고양이라디오 2024-10-23 17: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인 받으셨나요? 부럽습니다ㅎㅎ

전 <작별하지 않는다> 읽고 있습니다^^

나와같다면 2024-10-24 17:43   좋아요 1 | URL
초판 한정 사인본 이였어요 📚

고통스럽지만 좋은 독서되시기를..
 

결국 나의 흑백요리사는 에드워드 리 였다

그는 서툰 한국어로 쓴 편지를 읽으면서 음식에 대한 설명을 한다

나에게는 에드워드 라는 미국 이름이 있지만 저는 한국 이름도 있어요
나에게 한국 이름은 균 입니다

특별히 떡볶이를 시키면 이렇게 항상 떡이 2개, 3개 남아요. 그래서 저는 그거가 아깝다고 생각했는데 그거 아니예요

풍족함과 사랑, 다른 사람을 위한 배려 이것이 바로 한국 음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솔직히 한국인 중에서 저 나머지 떡볶이를 표현하는 그 말에 소름 돋지 않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

백수저이며 국적이 미국인 에드워드 리는 결승에 가서 ‘이 균‘ 이라는 한국 이름을 밝히며 한국 요리를 뼛속까지 재해석한 요리를 보여준다

나에게는 당신이 우승자입니다

어느 업종이든 자신의 일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예술을 하는 것 같다
그들은 삶과 일이 분리되지 않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곡 2024-10-09 14: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방금 이 마지막회를 봤습니다 ㅋㅋㅋ 저도 에드워드 리 응원했습니다

나와같다면 2024-10-09 15:11   좋아요 2 | URL
살다가 요리 프로그램 보다가 눈물을 글썽이는 날이 다 오네요

내 마음 속의 우승자 이 균 셰프
 

영화 <공범자들>의 한 장면. 외진 시골에서 요양 중이던 그가 앉은뱅이 책상에 앉아 계속 무언가를 쓴다. ‘무엇을 쓰고 있냐’는 동료의 질문에 그는 멋쩍게 웃으며 말한다. ‘별건 아니고, 애들한테 줄거’ 라고. 두 아이에게 인생의 길잡이가 되어줄 글을 쓰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틈틈이 쓴 글을 모은 비평서가 [세상은 바꿀 수 있습니다] 다

이제 열살인 쌍둥이 아들, 현재와 경재
두 아이가 십년을 더 자라 인생에서 중요한 판단을 내려야 할 시점에 참조할 만한 경험과 판단을 유산으로 남기고 싶었다


신념을 가진 사람이 되기란 쉽지 않다. 우리 대부분은 신념과 고집 사이에서 갈등하며, 현실과 이상의 중간에서 헤매고, 당위와 타협의 선택 기로에서 길을 잃는다. 한 번 가진 신념을 지키기란 더 어렵다. 우리 주위의 숱한 이가 다른 신념을 바꾼다


보수와 진보를 가르는 기준은 의외로 간단하다고. “세상은 원래 그래”라는 말을 하게 되는 순간 보수가 되는 거라면서, 항상 우리 사는 세상이 좀 더 좋은 곳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잃지 말지 말라


이용마 기자에게 그의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을 우리에게 믿고 맡겨도 된다고 말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 생각한다


사진1 아내와 함께 자신의 납골당을 보러 갔던 이용마의 모습

사진 2 어린 상주는 아빠의 영정 사진 앞에서 슬프지 않아 보였습니다. 떠나는 아빠가 미리 평온함을 준비해 주었을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것이 알고 싶다] 에 절대 안 간다며 피하다가 마지못해 팀에 간 지 얼마 안 돼 ‘엽기토끼와 신발장-신정동 연쇄살인사건의 마지막 퍼즐’ 편을 만들어 큰 화제가 됐죠

당시 한 선배가 “원래 너 같은 애가 <그알> 잘해.”라고 했다고 하는데, 피디님은 이 말을 TV를 보는 보통 시청자들의 시선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어요

막상 해보니까 취재하고 방송을 만들어내는 데 대단한 사명감과 정의감이 필요한 건 아니더라고요. 그건 그냥 따라오는 거더라고요. 어느 사건의 피해자나 범인을 만나다 보면 당연히 분노나 공감, 슬픈 감정이 들고요. 그렇게 되면 자연히 피해자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요. 그건 당연한 감정이에요. 방송을 만들면서 따라오는 거지 내가 그런 사람이라서 했다고 생각하지는 않거든요. 실제로 부딪쳤을 때는 그런 것보다 어떤 사건이나 이슈를 보통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게 장점이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이 문제를 얘기해야지’ 하고 시작하는 것보다 잘 모르는 채로 시작해서 어느 정도 눈높이까지 가는 방식이 시청자 분들도 같이 공감하면서 따라갈 수 있게 되고요. 제가 했던 방송을 기억하시거나 공감하는 분이 많았던 데에는 그런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