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국가의 탄생 - 베트남 전쟁부터 아프가니스탄 전쟁까지, 고삐 풀린 미국의 전쟁사
레이첼 매도 지음, 박중서 옮김 / 갈라파고스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미국의 정치 평론가인 레이첼 매도(Rachel Maddow)가 쓴 전쟁 국가의 탄생(Drift The Unmooring Of American Military Power)’을 읽었다. “베트남 전쟁부터 아프가니스탄 전쟁까지, 고삐 풀린 미국의 전쟁사라고 책에 붙은 부제목은 필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했고, 결과적으로 책을 읽도록 만들었다.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의 주된 내용은 제국주의 국가 미국이 현대적인 전쟁 국가로 가는 과정을 다뤘다.

 

책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승승장구하던 미국에게 쓰라린 패배를 안겨주었던 베트남 전쟁부터 시작하여 로널드 레이건의 집권과 미국의 반공화, 그레나다 침공, 이란 콘트라 스캔들, 걸프전쟁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오바마 정부의 빈 라덴 암살까지를 다뤘다. 미국 건국 이래 최초로 패배한 전쟁인 베트남 전쟁은 미국이 일으킨 침략 전쟁이었다. 1964년 통킹만 사건을 조작한 미국은 1965383500명의 해병대를 다낭에 상륙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대규모의 미군 병력을 남베트남을 돕기 위해 보냈고, 그 규모는 1968년이 되면 대략 549천 명이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은 구정 공세를 시점으로 대규모의 반전 운동에 시달렸고, 그동안 실행해오던 징병제에 문제가 생겼으며, 결국 1973년 베트남에서 철수하게 된다. 1968년부터 1972년 까지 베트남 주둔 미군 사령관을 지낸 크레이튼 에이브람스(M1 에이브람스 탱크의 그 에이브람스다.)는 닉슨 정부의 베트남화 정책에 따라 대규모의 병력을 철수시켰는데, 불과 4년 만에 대규모의 병력을 베트남에서 철수시키는 데 성공했다. 어쨌든 베트남 전쟁은 미군의 잔혹성과 미국 민중의 반전 운동에 휩싸여 1975년 호치민의 후계자들의 승리로 끝이 났다.

 

1975년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패배한 이후 미국은 자존심에 큰 타격을 입었고, 소위 패배주의가 만연했다. 그러던 중 1980년대 헐리우드 배우 출신인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등장했는데, 그가 대통령으로 집권하면서부터 미국은 다시 철저한 반공주의와 군사주의의 길로 들어섰다. 1975년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군은 주로 군의 복지와 혜택을 강조하며 홍보를 했던 것에 비해 레이건 정부에서의 군은 애국심과 남성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레이건 정부는 냉전이라는 진영적 대립을 이용하여 미국을 국가주의와 반공으로 무장시킬 수 있었다. 물론 베트남 전쟁에서 징병제의 폐해가 굉장히 심각했기에, 모병제를 통하여 군사력을 증강했다. 레이건 정부는 미국을 군사주의화 하기 위해 소련에 대한 악마화를 악의적으로 실행하고, 소련의 군사력을 필요 이상으로 과장하여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심을 심어놓았는데, 이는 미국이 군사주의 국가로 탄생하고 현대화하는 데 있어 굉장히 효과적이었다. 마치 대한민국 정부가 북한과의 대립이 있을 때, 한국의 부르주아 지배계급과 친일 제국주의 세력들이 북에 대한 악마화와 군사적인 공포심을 심어놓음으로써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려는 수법과 매우 유사하다. 레이건 정부 시기 소련에 대한 악마화는 대중매체에서도 드러났다. 1983년에 개봉한 반소 반공 영화 레드 던(Red Dawn)이나 톰 크루즈가 주연으로 출연하여 미국 전투기를 몰며 소련의 미그기를 멋있게 격추하는 영화 탑건(Top Gun)이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레이건 정부는 남미에 친미 괴뢰 정권을 세우고, 군사적인 개입을 하는 데 있어서 매우 적극적이었다. 특히나 1983년의 그레나다 침공이 그러했다. 그레나다 침공에 대한 미국의 표면적인 명분은 그레나다에 있는 자국민들을 보호 및 구출이라는 것이었다. 당시 로널드 레이건은 레닌주의를 왜곡하여 레닌주의가 전 세계의 평화와 민주주의를 위협한다.”라는 황당무계한 논리를 내세웠다. 반공주의자 로널드 레이건은 레닌주의를 왜곡함으로써 남미에 친미국가를 세우는 논리로 합리화시켰다. 198312월 미군이 그레나다 전역을 장악함으로써 승리로 끝이 나자 로널드 레이건 정부는 이에 매우 기뻐했고, 승리를 자축했다. 하지만 이들은 이란-콘트라 스캔들을 겪으며 지지율을 잃었다.

 

미국이 다시 초강대국이라는 사실을 세계에 입증한 것은 1990년에 일어난 걸프 전쟁이었다. 걸프 전쟁에서 미국은 200명의 전사자로 대략 수만 명의 이라크군을 사살하고, 수십만의 이라크군대를 붕괴시켰다. 거기다 소련이 붕괴하면서 미국은 명실상부 세계 최강의 군사 강국이 되었다. 징병제가 사라진 지 20년이 지난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모두 지원자로 이루어진 군대는 더 안정적이고, 더 전문적이고, 더 유능한 집단이 되었다. 미국 정부는 1990년대 대규모 민간 업체를 키웠는데, 이들은 유고슬라비아 내전에 투입되었다. 그리고 미국은 유고슬라비아 내전에서 평화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2만 명의 미군을 발칸 반도에 주둔시켰는데, 이와 대략 비슷한 숫자의 민간 기업 직원들도 동행했다. 발칸 반도에 미군이 주둔할 당시, 미군과 민간 업체는 마피아들과 결탁하여 인신매매로 납치된 여성들을 사고파는 행위를 일삼았는데, 여기에 희생된 성노예 여성들이 얘기를 듣다 보면 정말 토가 나올 지경이다.

 

20019.11 테러를 겪은 이후 미국은 빈 라덴을 숨겨주었다는 이유를 들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고, 2003년 이라크를 침공했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전쟁을 치르면서 미국은 최신무기들을 투입하기도 했다. 미국의 최신무기인 드론이 가장 큰 효과를 본 것은 2011년 미국 정부가 진행했던 오사마 빈 라덴 암살 작전인 넵튠 스피어 작전(Operation Neptune Spear)’이다. 이 작전을 승인한 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전쟁지역이 아닌 파키스탄에서 오사마 빈 라덴을 암살하는데, 사전에 파키스탄 정부에 어떠한 얘기나 허가 없이 진행되었다. 이 때문에 파키스탄 정부의 체면을 망가뜨렸고, 파키스탄 국민들에게 치욕을 안겨주었다. 아무리 테러리스트를 사살하는 작전이었지만, 엄연히 비교전 국가에서 진행된 일이었고, 타국의 주권과 체면을 짓밟는 짓이었다.

 

이렇듯 미국은 전쟁 국가로 거듭났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시기 미국은 소련과의 군비경쟁에서 수많은 핵무기를 개발했는데, 대략 수천개의 핵무기를 소유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대략 60년간 미국은 핵무기를 개발하는데 대략 8조 달러를 지불했다. 현재 현역 상태인 핵무기 중엔 대략 50년째 현역인 핵무기들도 존재한다. 그리고 미국은 핵무기들을 옮기던 도중 수많은 사고를 일으켰는데, 대표적으로 스페인과 덴마크에서 일어났던 사건이 있다. 실제로 대규모의 폭발이 일어나진 않았지만, 약간의 폭발로 인하여 스페인의 팔로마네스 지역의 시골이 방사능에 피폭되는 사고도 있었다. 저자는 핵무기를 언급하는 파트에서 2006년 김정일의 핵 개발은 언급하는데, 당시 북의 핵 개발에 맞서 일본을 핵무장 시키자라고 워싱턴 포스트에서 주장했던 크라우트해머의 논리를 강력히 비판한다.

 

이렇듯 래이첼 매도의 전쟁 국가의 탄생은 미국이라는 제국주의 국가가 어떻게 군의 현대화를 거치며 제국주의 국가가 되는지를 잘 밝힌 책이다. 현학적이지 않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 ‘우웩’, ‘?’, ‘아니!’, ‘이런’, ‘어이쿠!’ 등이 위트 섞인 구절을 사용해가며 재밌게 진행해 나간다. 다만 부제목에 나와 있는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대해 깊게 다루지 않은 것과 북한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지 않은 것은 약간의 아쉬움이 남는다. 어쨌든 미국이 어떻게 전쟁 국가로 변모하는지를 알게 해준 좋은 책이다. 많은 사람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자누스 2020-09-25 18: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발칸 전쟁에서 벌어진 인신 매매 이야기. 내막이 몹시 궁금합니다.
책을 읽어봐야겠어요. 그린란드에 떨어진 수소 폭탄 이야기는 여기 기고문과 비교해봐야겠네요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8225

NamGiKim 2020-09-25 18:52   좋아요 1 | URL
1년 전에 읽었는데, 정확히는 기억이 안나네요. 그쪽 마피아들하고 미국측 민간기업하고의 연결고리였던걸로 생각나네요.
 
독일 이데올로기 2 Marx Engels 전집 3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이병창 옮김 / 먼빛으로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 도이치 이데올로기가 완역되다니

댓글(5)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9-07-03 11: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 자체도 놀라울 일이지만 제목 위에 작은 글자로 ‘전집‘이라고 써 있는 게 더 감동적이네요.....ㅠ

NamGiKim 2019-07-03 11:05   좋아요 0 | URL
저거 번역한 분은 친스탈린성향이 강한 분이긴 합니다. 노사과연쪽인 것 같던데. 뭐 사회주의자로서 스탈린에 대해 좋게 볼 수도 있다 봅니다.(저도 친스탈린 성향이 없진 않으니)

syo 2019-07-03 11:10   좋아요 0 | URL
그런 건 또 몰랐네요. 전 그런 것보다 완간이 가능할지 자체가 회의적입니다.....

NamGiKim 2019-07-03 11:11   좋아요 2 | URL
그니까 전집 말씀하시는거죠? 요즘 시대에 이런 명저를 읽는 이들이 정말 없긴 없습니다.ㅜㅡㅜ

morbid3 2024-04-11 19: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르크스 앵앨스 전집은 한국에서 출판될 가능성 제로구요. 문제는 이 독일이데올로기는 비판서라서 포이어바흐, 바우어, 슈트리너의 책을 다 완독해야 이해 가능한데 완독 다 하셨어요? 번역 하나도 안된것으로 알고있는데..
 

백선엽은 친일 친미 제국주의자다. 명장? ㅈㄹ 같은 반공정신병자들이 하는 소리지. 1930,40년대 간도특설대에서 독립군을 자진 토벌하던 새끼가 바로 백선엽임. 아무튼 반공주의에 심취한 극우 반공주의자들이 백선엽을 대한민국 군의 시작점으로 보려는 것은 지들 스스로가 무덤파는 행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세기 러시아는 농업 국가이자 후진 자본주의 국가였다. 러시아 제국은 1890년대에 이르러 세계 자본주의의 제국주의화 추세와 연관하여 큰 변화가 일면서 자본주의적 비약적인 성장을 달성했다. 그러면서 농업 국가 러시아에선 새로운 사회계급이 대두되었는데, 그게 바로 자본가와 노동자다. 당시 러시아 제국의 도시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조건과 위험하기 짝이 없는 작업환경 속에서 생계를 이어나갔다. 러시아의 노동자들은 이런 불합리한 상황에서 파업과 투쟁을 이어나갔지만, 차르 정부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당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부터 러시아에서는 차르 체제에 맞선 크고 작은 투쟁들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1905년 1월 9일 대략 20만 명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의 시위대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러시아 차르의 겨울 궁전으로 몰려들어 시위를 벌였다. 그러자 차르 정부는 총으로 무장한 근위병들과 코사크 기병대를 투입하여 시위대를 진압했고, 그 과정에서 최소 1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게 바로 ‘피의 일요일’이다. 1905년 러일전쟁이 러시아 제국의 패배로 끝나자, 노동자 파업 및 투쟁은 더 격해졌다. 그해 10월과 12월까지 대략 50일에 걸쳐 20만 노동자들을 대표하는 노동자 대표 평의회가 러시아 수도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모스크바에서는 12월 무장봉기로 경찰국가에 타격을 입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 운동은 확실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며 노동자들이 지침에 따라 세력이 약화되자 차르 정권은 이를 진압하여 수많은 노동자를 살해했다. 따라서 1905년에 일어난 노동자 봉기는 실패로 끝이 났다. 하지만 1905년 혁명은 노동자들이 봉기하여 차르 정권을 전복시키고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그러나 러시아에는 다시 한번 혁명의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데, 그것은 바로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부터였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이 터지자 유럽에서 전쟁이 일어났고,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세력과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투르크를 중심으로 한 세력이 전쟁에 참여했으며, 영국의 동맹국인 일본도 이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당시 러시아는 영국과 프랑스를 도와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됐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은 독일 제국의 허황된 꿈인 ‘슐리펜 작전’이 실패함에 따라 장기전에 돌입했고, 점차 참호를 중심으로 한 장기전이 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동부전선에서 독일 제국에 맞서 전쟁을 치렀는데, 독일과의 전투에서 많은 전사자와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 측의 경제난은 지속되는 가운데, 러시아 제국의 지주와 자본가들의 횡포와 부패가 극심해지면서, 러시아에선 혁명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게 바로 1917년에 일어난 2월 혁명이다. 1917년 2월 23일 ‘국제 여성의 날’ 시위를 시작으로 수많은 민중이 혁명에 동참했다. 물론 차르 정부가 발포를 명령했기에 그 과정에서 대다수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러나 시민들을 쏜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낀 병사들은 노동자들과 거리로 나와 총과 붉은 깃발을 들고 행진했고, 시위 시작 5일째 되던 날 니콜라이 황제는 자진사퇴 하게 되었다. 이로써 차르 체제가 무너지게 된 것이다.

2월 혁명 이후 러시아에는 케렌스키와 부르주아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한 임시정부가 들어섰다. 새로운 임시정부는 분명 부르주아들이 중심이 되었지만, 농촌 혁명을 부르짖던 사회혁명당 계열의 일부 인사들과 멘셰비키들이 참가했다. 그러나 새로 들어선 임시정부는 민중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지 않았다. 무엇보다 러시아 민중이 간절히 원했던 독일과의 전쟁 중단을 실행하지 않았고, 오히려 전선에서 무모한 반격을 가하는 바람에 수많은 러시아 병사들이 전투에서 죽어 나갔다. 그러는 사이 1917년 4월 3일 볼셰비키당을 이끌던 레닌이 페트로그라드(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핀란드역에 도착했다. 페트로그라드에 도착한 레닌은 전차 위에서 열 번을 토했고, 다음날인 4월 4일 볼셰비키 집회와 사회민주당 연합집회에서 〈당면 혁명에서의 프롤레타리아트의 임무〉를 발표했다. 그것이 바로 4월 테제다. 레닌의 ‘4월 테제’에서 “즉각적인 전쟁 중단,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 국제혁명조직 창설” 등을 주장했다. 돌아온 레닌은 러시아에서 혁명을 준비하던 중 레닌의 예상보다 빨리 민중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는데, 그게 바로 7월 봉기다. 그러나 그해 일어난 7월 봉기는 임시정부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당했고, 이 때문에 레닌 또한 러시아를 잠시 떠나야 했다.

당시 핀란드로 도망간 레닌은 <국가와 혁명>을 집필했는데, 그해 8월 러시아에선 반혁명의 시도가 일어났었다. 그게 바로 코르닐로프의 반란이다. 코르닐로프의 반혁명 시도가 일어나자, 레닌과 볼셰비키들은 케렌스키 정부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러시아 병사들이 코르닐로프의 반란 진압에 동참하면서 반혁명은 무마되었다.

이런 가운데 볼셰비키는 소비에트와 민중들 사이에 혁명의 기운이 치솟음을 깨닫고,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을 다시 내걸며 혁명을 준비했다. 10월 초 레닌은 핀란드 은신처에서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와 무장봉기의 준비를 직접 지휘하게 되었다. 준비를 마친 레닌과 볼셰비키들은 10월 25일 페트로그라드의 중심 지역에서 전함 오로라호의 발포와 동시에 반혁명파들을 분쇄했고, 10월 26일 겨울 궁전까지 접수하면서 수도에서의 봉기를 완료했다. 10월 26일 레닌은 즉각 ‘평화에 대한 포고’,를 시작으로 ‘토지에 관한 포고’와 그 외의 포고령을 발포했다. 이후 레닌과 볼셰비키의 사회주의 혁명은 단기간 동안 맞은 것들을 성취해냈다. 초창기 볼셰비키 러시아에선 지주의 모든 토지가 몰수되어 무상으로 농민들에게 토지를 분배했다. 노동자들에게 식량이 우선 공급되었고 8시간 노동제가 확립되었다. 지주 소유의 토지가 사라졌으며, 신분과 호칭이 완전히 폐지되고 모든 러시아 주민이 인민이 되었다. 인종차별과 같은 악법은 폐지되었고 혁명 이후로 인종차별이 웬만큼 사라졌다. 여성은 사회활동에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행사했다. 사형제가 폐지되었고 심지어 동성결혼이 합법화되었다. 또한, 여성의 보육을 담당해주기 위한 탁아소도 설치되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1918년 3월 독일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맺으면서 제1차 세계대전에서도 빠졌다. 이렇듯 레닌과 볼셰비키의 러시아 혁명은 많은 것들을 성취해냈다. 이와 같은 정책들은 러시아 10월 혁명을 통해서 성취해낸 결과물이었고, 따라서 러시아 혁명은 진보적인 가치를 전적으로 실행시킨 위대한 혁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를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 - 새 번역
알렉스 캘리니코스 지음, 이수현 옮김 / 책갈피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르크스 사상이 짐승같이 살처분 하게 만든 사상이라는 수구 반동 세력들의 궤변은 말 그대로 똘이장군식 뇌피셜일 뿐이다. 그리고 사회주의가 결과적인 평등을 바란다는 것도 마찬가지. 읽어 볼만한 책이다. 그리고 이 책을 비판하는 수꼴들에게 얘기하겠다. 니들은 지하철에 있는 노인 좌석 앉지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