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Green Berets (그린 베레)(지역코드1)(한글무자막)(DVD)
Warner Home Video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현충일인 어제(2019년 6월 7일 기준) 집에서 학교 과제를 하던 중 이 영화가 생각이 나서 저녁때 감상했었다. 이 영화를 처음 알았을때 부터 미국의 프로파간다인 것을 알았지만, 영화를 끝까지 다 보고나니 왜 이 영화가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난 이후 묻혔고, 과거 1970,80년대 한국에서는 명절 특집으로 텔레비젼에서 틀어줬는지 바로 알게 됐다.

영화가 시사하는 점은 매우 심플하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은 정의로운 존재고, 남베트남 괴뢰정권에 맞서 정글에서 투쟁했던 베트콩은 매우 악한 존재라는 것이다. 작중에서 보면 이 영화가 가지고 있는 베트콩의 시선은 빨갱이라는 관점을 넘어 심히 오리엔탈리즘적이다. 작중에선 그린베레 기지를 점령한 베트콩들이 깃발을 올리며 환호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베트콩들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입을 치며 내는 특유의 소리(와와와와와와!!)를 외친다. 또한 베트콩의 그린베레 기지 점령 장면에선 중국풍 스러운 사운드가 흘러나온다.

베트콩에 대한 악마화된 묘사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그린 베레 기지에서 미군과 같이 지내는 베트남 아이는 가톨릭 선교사 집안이라는 이유 때문에 베트콩들에 의해 가족이 몰살 당했다는 설정과 작중에서 미군을 돕는 남베트남의 미인도 ˝가족이 공산 베트콩에 의해 잃은 집안˝으로 나온다. 즉 이러한 설정을 통해 미제국주의의 침략전쟁과 남베트남군을 옹호하는 것이다.

작중에선 존 웨인의 그린 베레 부대는 중부고원 지대 지역 원주민인 몬타냐드족을 전적으로 돕는데, 그린 베레와 그들을 증오한 베트콩이 미군에게 도움 받는 몬타냐드족 기지를 습격하여 남녀노소 할 거 없이 주민들을 학살한 현장을 목격하며 ˝베트콩이란 이런 집단이야˝라고 한다. 베트콩에 대한 악마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그 마을을 습격한 베트공들은 부녀자를 강간 및 폭행했고, 미군에 협력하는 마을 주민들을 학살하였으며, 미군이 치료해준 어린 아이까지 총으로 쏴 죽였다.

또한 영화 초반에는 그린베레가 베트남으로 가기전 시민들과 기자들을 모아놓고, 그린베레에 대해 얘기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장면에서 그린베레 부대원들은 공산권 총기를 보여주며, ˝베트콩들이 이런 무기를 사용하며 베트남의 자유를 탄압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이와같은 일련의 장면들을 보았을때, 이 영화는
오리엔탈리즘과 서구 우월주의 그리고 반공주의에 입각하여 만든 영화다. 미국의 제국주의적인 사상이 다 들어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화는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했음에도, 북미 지역에 있는 침엽수림이 적잖게 나오는 고증오류까지 범했다. 전반적으로 보았을때 1968년에 나온 이 영화는 시대역행 적이었다.

1968년엔 구정 공세로 말미암아 미제국주의의 거짓말이 들통나며 베트남 전 반전운동이 일어나고, 타이거 포스와 같은 미군의 잔혹성이 미국내에 알려지게 되는 시점이다. 그런 시점에서 이런 반공영화가 미국에서 개봉한 것이었다. 거기다 영화에서나온 정의의 그린베레는 베트남 전쟁에서 피닉스 작전이라 하여 최소 2만 명을 무차별 학살한 군대다. 즉 영화와는 달리 베트남 전쟁에서의 학살 주체는 독립과 통일을 위해 싸우던 베트콩이 아니라 미제국 군대였다.

정말이지 미제국주의의 오만과 제국주의 사상이 들어간 영화를 보느라 깊은 빡침을 견디면서 봤다. 반공 틀딱들이 가지고 있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시각이 어떤건지 궁금하다면 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몽양 여운형

해방 이후 미군정청에서 했던 ‘앞으로 조선을 이끌어 나갈 지도자가 누구인가‘ 라는 재목을 달고, 조사를 했던 적이 있다. 그때 여론조사에서 단연 1위를 기록했던 인물이 있다. 그가 바로 몽양 여운형이다.

몽양 여운형은 1886년 5월 25일 경기도 양평에서 태어났다. 1900년 14살이 된 몽양 여운형은 배재학당에 입학했다가 1년 뒤 민영환이 설립한 흥화학당으로 옮겼고, 흥화학당을 나온 몽양은 돈을 벌기위해 우무학당에도 들어갔으나 일본인에게 넘어가자 나왔다. 1905년 러일전쟁 이후 조선이 일본에게 먹히자, 몽양 여운형은 1906년 고향에 교회를 세우고 선교활동에 나서며 애국계몽운동에도 참가하여 집에 있는 노비문서를 불 질러 가지고 있던 노비 전부를 해방시켰다.

그러던 중 동생 여운홍과 함께 도산 안창호의 연설을 듣게 된 여운형은 1910년 이후 중국으로 갔고, 1910년대 여운형은 중국 남경에 있는 금룽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1918년 여운형은 신한청년단을 결성하여 1차 대전이 끝난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대표로 보내어 강대국들에게 조선독립의 필요성을 전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3.1운동에 불씨를 제공했다.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여운형은 임시정부에서 활동했고, 그 해 11월 일본 정부의 초청으로 일본에가서 고위급 인사들에게 조선 독립을 역설했다.

1920년대 초 여운형은 고려 공산당에서 활동했고, 김구와 더불어 노병회를 조직하기도 했으며, 1922년 모스크바로가 레닌과 트로츠키를 만나 조선 독립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이후 중국에서 활동하던 여운형은 중국의 국공합작에도 힘을 썻고, 손문, 장제스, 마오쩌둥, 저우언라이하고도 교류했다.

그러던 1929년 7월 상해에서 체포된 여운형은 1930년 법정에서 3년형을 받았고, 대략 2년간 감옥생활을 했다. 1932년에 풀려난 여운형은 조선중앙일보 사장이 되었고, 조선중앙일보 사장에 있으면서 백두산 탐방, 이순신 장군 묘소 정돈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체육활동에도 많이 참가하였다. 축구, 야구, 수영 ,체조, 권투, 달리기등 싫어하는 운동 종목이 없을 만큼 여운형 선생은 운동을 좋아했다. 1936년 말아톤 선수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자, 가장 먼저 일장기를 지워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물론 그 바람에 조선중앙일보는 폐간되었지만 말이다.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몽양 여운형은 일제의 패망을 예측했고, 1941년 일본이 태평양 전쟁까지 일으키자 일제의 패망을 확신했다. 1940년 일제의 회유책을 단번에 거부했고, 일제의 온갖 위협과 회유에도 굴복하지 않았다. 2차세계대전이 끝나가던 1944년 몽양 여운형은 국내에서 건국동맹을 결성하여 일본제국주의의 패망을 미리 대비했고, 1945년 8월 일본의 엔도 류사쿠 총감으로 부터 행정권을 이양받음으로서 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 활동을 이어나갔다.

건준은 전국적으로 활동을 전개했지만 그 해 9월 미군이 상륙하면서, 강제로 해산됐다. 1945년 12월 모스크바삼상회의로 찬반탁 논쟁이 불거지자 여운형은 미소공위를 지지했고, 1945년 11월에 창설한 조선인민당은 미소공위를 위해 헌신했다. 미소공위가 결렬되고, 좌우익대립이 극심해지자 몽양 여운형은 우사 김규식과 좌우합작운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좌우합작운동은 이승만과 친일세력들로 부터 공격받았고, 1947년 3월 미군정이 좌우합작운동 지지를 철회하면서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그리고 1947년 7월 19일 혜화동 로터리에서 괴한의 테러에 휩쓸려 백주대낮에 암살당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지막 계승자 - 김정은 평전
애나 파이필드 지음, 이기동 옮김 / 프리뷰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가 누구건 간에 김정은 평전이 나오길 학수고대했다. 긍정과 부정의 시각을 초월하여 그에 대해 알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것은 어떤 미화된 이미지나 악마화된 이미지가 아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umpstart: Kindergarten (Unbound)
Knowledge Adventure / Random House Trade / 199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98년 버전 했지, 95년 버전은 안했습니다. 다만 이 알라딘 사이트엔 상품이 이것 뿐이라 이걸로 올립니다.)

필자가 5~10살 까지 아주 재밌게 했던 게임이 있었다. 그 게임의 이름은 바로 미국의 점프스타트에서 만든 ‘kindergarten 98‘이다. 정확히 언제였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지만 필자가 이 게임을 처음 해본건 아마 1999년에서 2000년 사이일 것이다.

필자의 친척얘기를 하자면 당시 필자의 작은 아버지는 미국에서 대략 2~3년 정도 살았었고, 1990년대 후반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는데, 한국으로 돌아오면서 이 게임을 같이 가지고 돌아왔다. 그랬기에 필자는 이 게임을 사촌동생네 집에 놀러가면 할 수 있었던 게임이었다.

그 집안엔 나보다 1살 어린 사촌동생이 있었기에 학습용으로 가져온 게임이었지만, 나와 사촌 동생은 이 게임을 아주 즐겁게 했었다. 이 게임에선 어떤 특정한 미션을 마치면 별 하나를 줬는데, 그 별 5개를 모으면 농장에서 동물의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그게 너무 좋아 필자는 그 집에 놀러갈때 마다 이 게임을 했었다.

이 게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거라 하자면 마트료시카 크기 순서대로 배열하기, 퍼즐 맞추기 그리고 정글짐 알파벳 맞추기 등등이 있었다. 이 게임을 점차 하지 않게 된 시점은 정확히는 기억이 나질 않지만 초등학교 4학년때 부터였던 것 같지만 나에게 있어 이는 정겨운 추억거리다. 지금 다시 한다면 엄청 쉬운 난이도겠지만 추억용으로 해볼만 할 듯 하다. 좀 뜬금없이 든 생각이지만 갑자기 이 게임이 하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케빈에 대하여
린 램지 감독, 틸다 스윈튼 외 출연 / 아트서비스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영화 케빈에 대하여를 보기 전 필자는 이 영화를 들어본 적이 있었다. 그저 아들이 싸이코 패스라는 얘기 외에는 딱히 듣지 못했었지만 말이다. 영화를 보고나서 정말 많은 생각이 들었고, 보는 내내 쉽게 말해 머리에 망치에 맞은 느낌이었다. 그 만큼 이 영화가 전달해주는 메시지가 매우 강력했다는 얘기다.

 

 

영화는 케빈이 대참사를 벌이기 이후와 이전 그리고 케빈의 성장과정을 보여준다. 어린시절 부터 케빈은 엄마의 신경을 건드리는 짓을 했고, 10대가 되고 난 이후에도 엄마의 신경을 의도적으로 건드리고, 여동생을 괴롭히며 지속적으로 소름끼치는 짓을 일삼는다. 하지만 엄마와의 관계와는 달리 케빈은 아버지하고는 친근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나중에는 남편과 딸이 케빈의 손에 죽게 되지만 말이다. 영화 보는 내내 든 생각이 있다. 도데체 남편이라는 사람은 무엇을 했던 것일까?

 

사실 여자가 아이를 임신하고 아이를 키울때는 남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남편이라면 와이프가 처음에 임신을 원치 않았을 때 와이프의 심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야 했지만, 작중에선 그런 모습이 나오지 않는다. 자신의 아들인 케빈과 와이프인 에바 캐처도리언이 문제가 있을 때, 와이프의 얘기를 들으려 하지 않았고, 둘 사이에 어떤 문제가 존재하는지 관심을 갖지 않았다. 심지어 딸이 케빈에 의해 눈이 다쳤을 때도 와이프가 하는 주장을 전혀 듣지 않고, 오히려 "당신 정신검사나 받아보지"라며, 이를 그저 무시한다.

 

그렇다면 주인공인 에바 캐처도리언의 잘못은 없는 것일까? 케빈이 그렇게 되기까지의 잘못에는 그녀의 잘못도 있다. 물론 처음에 임신을 원치 않았더라도 얼마든지 자식에게 모성애적 감수성을 드러낼 수 있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이것은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써 자격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물론 케빈이 주인공 만의 공간을 망친것에 대해서 그녀가 분노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아들을 밀치면서 팔을 기부스하게 만들었음에도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 없다. 심지어 초반에는 그녀가 어린 케빈에게 "너 만 태어나지 않았으면 난 행복할 것이다."라고 말하는 장면도 나온다. 그녀의 모습은 정말 자식을 키우는 엄마로써의 자격이 없다고 보여질 정도다.

 

영화상에서 보이는 케빈의 행위는 분명 잘못된 것이지만, 사실 케빈이 그렇게 된 이유에는 엄마로부터 사랑 받지 못한 애정결핍이 가장 결정적일 것이다. 거기다 여동생에겐 진심어린 사랑을 드러내니 케빈으로썬 엄마에게 관심 받고 싶었던 것이다. 필자가 보기엔 마음가짐이 되어있지 않던 에바와 에바를 차갑게 대했던 남편에게 책임이 막중하다고 본다.

 

영화를 보고 결론을 내리자면 부모가 되기 위한 좋은 교육이 필요하고, 남편또한 임신한 여성의 마음을 이해하고 경청할 줄 알아야 한다. 사실 자식이 어떤 사람으로 태어나느냐도 남편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얘기가 있듯이 이를 위한 남편의 노력도 중요하다. 따라서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케빈과 에바의 문제점을 생각해보는 것을 넘어 작중에서 보여진 남편에 대해 비판적으로 해석해야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mGiKim 2019-06-10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론 영화 보는 내내 케빈 새끼를 때려주고 싶긴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