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00만 명 1500만 명의 죽음

 

19641, 다나 댈림플(Dana Dalrymple)쏘련 연구(Soviet Studies)‘1932년에서 1934년의 쏘비에뜨 기근이란 제목의 논설을 실어 출간했다. 그는 그 당시에 550만 명이 죽었고, 스무 번이나 여러 번 개산(槪算, estimate)을 했다고 주장했다.

 

즉시 한 질문이 떠오른다: 이 교수가 사용한 개산의 출처는 어디일까?

 

라이나로 유명한 여행을 했던 토마스 워커였는데, 댈림플에 의하면 그곳에서 그는 아마도 러시아어를 말 할 수있었을 것이다.

 

다른 출처는 니콜라스 프리초드꼬(Nicolas Prychodko)로서, 그는 키예프(Kiev)에서 나찌가 통제한 문화 교육 장관을 위해 일했던 나찌의 협력자였다. 프리코드코는 나찌가 우끄라이나에서 후퇴하는 동안, 그들에 의해서 서방으로 탈출하였다. 그는 700만 명의 사망자 수치를 제공하였다.

 

다음으로 오토 쉴러(Otto Schiller)를 꼽을 수 있는데, 그는 나찌가 점령한 우끄라이나에서 농업의 재조직을 책임진 나찌 관리였다. 1943년 베를린에서 출판되어 750만 명이 죽었다고 주장하는 그의 책은 댈림플에 의해 인용되었다.

 

그 다음 출처는 나찌인 이왈드 아멘데였는데, 그는 1922년 이후 러시아에 머물지 않았다. 19347월과 8월에 뉴욕타임즈(New York Times)에 실린 두 통의 서신에서 아멘데는 750만 명의 죽음에 대해 언급했고, 그 해 7월 키예프 거리에서 인민들이 죽어가고 있다고 조작했다. 며칠 뒤에 뉴욕타임즈특파원인 헤럴드 데니(Harold Denny)는 아멘데에게 거짓말을 한다고 말했다.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고 했던 지난 7, 당신의(뉴욕타임즈역자) 특파원은 여기 키예프에 여러 날을 머물렀지만, 이 도시에도 심지어 주위의 농촌 지역에도 굶주림의 기색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몇주 뒤에 데니는 기근의 흔적은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기근에 대해 두려워하는 기색도 없었습니다. 지역의 공개시장에는 빵을 비롯해 음식이 있습니다. 농민들은 웃고 있었고, 식료품에 대한 인심이 후했습니다.’라고 보도하였다.15)

 

그리고 다음, 프레드릭 비첼(Frederick Birchall)1933년 기사에서 400만 명 이상이 죽었다고 하였다. 그 당시에 그는 베를린에 있었고, 히틀러 정권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최초의 미국인 기자였다.

 

여섯 번째부터 여덟 번째까지의 출처는 윌리엄 H 챔벌린(William h. Chamberlin)에서 두 번, 그리고 유진 라이온(Eugene Lyons)에서 한 번이었는데, 그들은 모두 반공주의 기자였다. 전쟁 이후에, 이 둘은 자유 라디오로 더 잘 알려진, “볼셰비즘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아메리칸 위원회(AMCOMLIB)”의 주요 회원이었다. AMCOMLIB의 자금은 자유를 위한 십자군에서 조달되었는데, ‘자유를 위한 십자군은 자금의 90%CIA로부터 조달받는다. 챔벌린은 처음에 400만 그리고 두 번째에서는 750만이 죽었다고 추정하였고, 두 번째 수치는 우끄라이나에 거주는 외국인들의 추정치를 기초로 한 것이었다. 라이온의 500만의 죽음 또한 소문과 풍문의 결과이며, ‘모스끄바에 있는 러시아인들과 외국인의 추정치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가장 많은 수치(1000만 명)가 상세한 설명 없이 허스트의 친나찌 출판물에서 리차트 스탈렛(Richard Stallet)에게서 나왔다. 1932년 우끄라이나 인구는 2500만 명이었다.16)

 

댈림플의 학문적작품에 있는 스무 가지의 출처 가운데, 세 개는 허스트의 친나찌 출판물들에 실린 반쏘련 기사에서 나왔고, 다섯 개는 맥카시 시대(19491953)의 극우 출판물에서 나왔다. 댈림플은 두 명의 독일 파시스트 작가, 전직 우끄라이나인 협력자, 러시아 출신 우익의 망명자, 두 명의 CIA 협력자, 그리고 히틀러를 좋아했던 기자의 말들을 이용했다. 많은 수치들은 확인되지 않은 쏘련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에게서 나온 것이었다.

 

가장 낮은 두 수치는, 1933년이라고 날짜가 기록된, 모스끄바에 있던 미국 기자들의 것이다. 그들은 전문성으로 잘 알려진, New York Herald Tribune의 랄프 바네즈(Ralph Barnes)New York Times의 왈터 듀란티(Walter Duranty)이다. 랄프 반네즈 100만 명, 월터 듀란티는 200만 명이 기근으로 숨졌다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3. 맥카시와 연관된 책(A book from McCarthy)


수천 명의 우끄라이나 나찌 협력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 입성에 성공했다. 맥카시 시기 동안 그들은 ‘공산주의의 야만성12)’의 희생자로서 증언하였다. 그들은 기근―대학살이라는 신화를 다시 조작하여 ≪끄레믈린의 음흉한 행위들(Black Deeds of Kremlin)≫이란 두 권으로 된 책을 만들었고, 미국에 거주하는 “러시아 공산주의 폭력의 우끄라이나 희생자 협회”와 “쏘비에뜨 체제에 의해 한때 박해당한 우끄라이나인들의 민주 협의체”에 의해, 1953년과 1955년에 출판되었다. 콘퀘스트가 소중히 여기며, 정기적으로 인용하는 이 책은 1918년에서 1920년의 수만 명의 유대인 대학살에 책임이 있는 페트리우라(Petliura)에 대한 찬양을 담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나중에 우끄라이나 반란 부대(Ukrainian Insurgent Army, UPA)가 된 나찌가 조직한 나이팅게일 대대(Nachtigall Battalion)의 파시스트 지휘관인 슈케비치(Shukhevych)에게 경의를 표한다.


≪끄레믈린의 음흉한 행위들≫은 또한 1932년과 1933년 사이의 기근―대학살을 보여주는 일련의 사진을 포함한다. 그 사진들은 모두 위조된 것들이다. 정교한 위조 사진이다. 한 사진은 ‘작은 식인종’이란 제목이 붙는다. 이 사진은 ‘자포로제(Zaporozhe)에서 온 식인종: 그의 누이를 먹다’란 원래 제목으로, 1922년 러시아 구호 국제 위원회의 ≪Information≫ 22호 공보에 실렸다. ≪끄레믈린의 음흉한 행위들≫ 155쪽에는 여러 명을 막 처형한 네 명의 군인과 한 명의 장교 사진이 있다. ‘꿀락들의 사형집행’이란 제목이 붙었다. 세부 내용: 군인들이 짜르 군복을 입고 있다! 따라서 짜르주의자의 사형 집행은 ‘스딸린의 범죄’의 증거이다.13)


이 책의 제1권의 저자 중에 한 명은 알렉산더 헤이-홀로우코(Alexander Hay-Holowko)였는데, 그는 서부 우끄라이나에 있었던 우끄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Organization of Ukrainian Nationalists)의 반데라(Bandera) ‘정부’에서 선전 장관이었다. 이러한 파시스트 도당이 잠시 (우끄라이나에—역자) 존재하는 동안, 민족주의 폭도와 우끄라이나인들의 지원 군대(Ukrainian auxiliary troops)는 리보프(Lvov) 지역의 수천 명의 유대인, 폴란드인, 그리고 볼셰비끼들을 살해했다. 지금은 벤쿠버(Vancouver)에 살고 있는 헤이-홀로우코 또한 나찌 친위대(SS)로서 복무했다.


책의 후원자로 언급된 이들 중에는 아나토레 비로체르끼스키(Anatole Bilotserkiwsky)가 있는데, 그의 별명은 안톤 슈파크(Anton Shpak)로, 빌라 체르끄바(Bila Tserkva)에 있는 나찌 경찰의 관리로 근무한 적이 있다. 목격자들과 문서에 따르면 슈파크/비로체르끼스키와 그리고 다른 이들이, 주로 유대인 시민들 2000명의 사형집행에 참여했었다.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 히틀러와 연관된 책(A book from Hitler)


1935년, 이왈드 아멘데(Ewald Ammende) 박사가 ≪압제 러시아의 기근 (Muss Russland hungern?)≫ (1936년 영문판 제목: ≪러시아에서 인간의 삶≫) 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이 책의 근거 자료는 독일 나찌 출판물, 이탈리아 파시스트 출판물, 우끄라이나 망명집단 출판물, 그리고 ‘여행가들’과 ‘전문가들’에게서 나온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용하지는 않았다. 그는 ‘러시아의 실체를 보여주는 가장 핵심적인 사진들’을 썼다고 주장했다.9) 또한 디트로프(Ditloff) 박사가 가지고 있는 사진도 실었는데, 그는 1933년 8월까지 북 코카서스에서 독일 정부의 농업 허가권의 감독관― Drusag ― 이었다. 디트로프는 1933년 여름에 그 사진들을 찍었고 ‘이 사진들이 기근 지역의 상황을 입증한다’고 주장했다.10)


디트로프가 당시 나찌 정부의 관리라면, 어떻게 코카서스에서 우끄라이나로 자유롭게 다니며 사진을 찾아낼 수 있었을까? 디트로프의 사진들 중에서, ‘개구리 같은 자세의’ 아이 사진을 포함해서, 7장의 사진 또한 워커에 의해서 출판되었다. 또 다른 사진은 두 명의 해골 같은 소년들 사진이었으며, 그것은 1933년 우끄라이나의 기근을 상징한다. “러시아”라는 제목을 가진, 피터 유스띠노프(Peter Ustinov)의 텔레비전 연속물에서 똑같은 사진이 방영되었다: 이 사진의 출처는 1922년 러시아 기근에 대한 기록영화였다! 아멘데가 제시한 사진 중 또 다른 것이 나찌 당 기관지인 ≪민족의 관찰자(Volkischer Beobachter)≫지에 실렸는데, 1933년 8월 18일이라고 날짜가 기록되어 있다. 이 사진 또한 1922년의 책자에서 발췌한 사진으로 밝혀졌다.


아멘데는 1913년 볼가(Volga)지역에서 일했다. 1917년에서 1918년의 내전 동안 그는 에스토니아(Estonia)와 라트비아(Latvia)의 친독일 반혁명 정부 편이었다. 그리고 그는 1918년 3월, 독일 군대에 의해 우끄라이나에 설립된 스코로파드스키(Skoropadsky) 정부와의 연락관으로 일했다. 그는 1921년부터 1922년의 러시아 기근 동안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에 참여했다고 주장하는데, 그래서 그 기간의 사진들에 정통하다. 여러 해 동안 아멘데는 나찌당과 친밀한, 쏘련에서 망명한 집단을 포함하는, 소위 유럽 민족 회의(European Nationalities Congress)의 총 서기장이었다. 1933년 말에 아멘데는, 러시아 기근 지역에 대한 “제종파 공동의 국제적 구호 위원회”의 명예 서기장으로 임명되었으며, 그 단체는 비엔나의 친-파시스트 인사인 인니체르 추기경(Cardinal Innitzer)이 이끌었다. 따라서 아멘데는 나찌의 반쏘비에뜨운동과 밀접히 관련되었다.


레이건(Reagan)이 1980년대 초에 반공성전을 시작했을 때, 하버드 대학의 교수인 제임스 메이스(James E. Mace)는 아멘데의 책을 ≪러시아에서 인간의 삶≫이란 제목으로 재편집하여 재출간 할 적절한 때라고 생각했다. 그때가 1984년이었다. 그래서 워커의 우끄라이나에 대한 허위 보도를 포함하여, 모든 나찌의 거짓말과 위조된 사진 상의 증거가 하버드의 명성과 결합하여 ‘학문적 지위’를 부여받았다.


그 전 해에, 미국에 있는 극우 우끄라이나 망명자들이 ≪우크라이나의 대기근: 알려지지 않은 대학살≫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더글라스 토틀은 이 책의 사진들에 1921년과 1922년 사이의 날짜가 찍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책 표지 사진은 난센 박사(F. Nansen)의 “러시아 구호를 위한 국제 위원회”의 간행물 ≪Information≫, 22호, 제네바, 1922년 4월 30일자, 6쪽에서 따온 것이었다.11)


전 세계의 신(新)나찌 수정주의는 역사를 ‘수정하여’, 무엇보다도, 공산주의자와 쏘련에 대한 파시즘의 야만적인 범죄를 정당화시켰다. 첫째, 그들은 본인들이 유대인에게 저질렀던 범죄를 부정한다. 신나찌는 수백만의 유대인들이 살해당했던 유대인 학살 수용소의 존재를 부정한다. 그런 다음 그들은 공산주의자들과 스딸린 동지가 저질렀다는 가상의 ‘대학살’을 날조한다. 이러한 거짓말로, 그들은 나찌가 쏘련에서 저질렀던 잔악무도한 범죄를 정당화한다. 이러한 반공투쟁에서의 역할로 인해, 수정주의(신나찌 ― 역자)는 레이건, 부시(Bush), 대처(Thatcher) 그리고 (CIA 같은 ― 역자) 첩보기관(company)에게서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역사학자이자 벨기에 노동당 당수였던 루도 마르텐스(Ludo Martens)가 쓴 스탈린 전기인 <스탈린 바로 보기(Another view of Stalin)>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예전에 노동사회과학연구소에서 번역한 글을 그대로 옮긴겁니다.)


1. 집산화에 대한 거짓말은 쏘련에 맞선 부르주아계급의 심리전에서 항상 강력한 무기였다.


우리는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거짓말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는데, 그것은 스딸린이 우끄라이나 인민들에게 저지른 가상의 대학살이다. 이러한 상당히 정교한 거짓말은 히틀러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1926년 그의 책 ≪나의 투쟁(Mein Kampf)≫에서 그는 우끄라이나가 독일의 ‘국민생활권(lebensraum)’에 속한다고 이미 지적하였다. 우끄라이나에서 볼셰비끼의 ‘대량 학살’에 대해, 1934년에서 1935년 동안 나찌가 벌인 모략은, 우끄라이나의 계획된 ‘해방’에 대해, 인민들의 마음을 준비시키려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 거짓말이, 그것을 만든 나찌들보다 오래 생존해서, 미국의 무기가 된 이유를 알아볼 것이다. 지금부터 ‘스딸린주의에 의한 수백만 명의 희생자’가 어떻게 날조되었는지 알아보겠다.


1935년 2월 18일, 미국의 허스트(Hearst)의 출판물은 토마스 워커(Thomas Walker)가 쓴 일련의 기사를 싣기 시작했다. (허스트는 언론계의 거물이었으며 나찌의 지지자였다.) 위대한 여행가이자 기자라는 워커는 몇 년간 쏘련을 종횡하였다고 한다. 2월 25일 ≪Chicago American≫지에는 이러한 제목(헤드라인)이 실렸다. ‘쏘련에서 기근으로 600만 명이 사망: 농민들의 수확물은 몰수, 그들과 그들의 가축들이 굶어 죽다.’ 그 면의 중간을 보면, 또 다른 제목(헤드라인)이 보인다. ‘기자는 기근을 보여주는 사진을 얻기 위해 목숨을 걸다.’ 그 면의 아래 부분에는 ‘기근 — 인간성에 대한 범죄’라고 쓰여 있었다.1)


그 당시에 루이스 피셔(Louis Fisher)는 미국 신문 ≪The Nation≫지의 모스크바 특파원으로 일하고 있었다. 완전히 무명인 동료가 낸 이러한 특종은 그에게 상당한 흥미를 자아냈다. 그는 몇 가지 조사를 했고, 그가 알아낸 것들을 신문의 독자들과 공유했다:


‘우리의 정보에 의하면, 워커 기자는 1934년 봄인 “지난 봄에 러시아에 입국했다.” 그는 기근을 봤다. 그는 그 희생자들의 사진을 찍었다. 그는 비통해 했고, 직접 기근의 참화에 대한 기사를 썼다. 이제 러시아의 기근은 “큰 화젯거리” 뉴스(``hot'' news)다. 어째서 허스트 씨는 이렇게 놀라운 기사를 10개월이나 보관한 뒤 보도했을까?...’


‘나는 모스끄바로부터 입수한 공식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 쏘비에뜨 당국에 조언을 구했다. 토마스 워커는 쏘련에 한 번 다녀왔다. 그는 1934년 9월 29일 런던 주재 쏘련 영사관에서 통행 비자를 받았다. 1934년 10월 12일, 그는 폴란드에서 기차를 타고 네고레로예(Negoreloye)를 통해 쏘련으로 입국하였다. (그가 말한 것처럼 1934년 봄이 아니었다.) 그는 10월 13일에 모스끄바에 있었다. 그는 13일인 토요일부터 18일인 목요일까지 모스끄바에 머물렀고, 그 다음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1934년 10월 25일에 시베리아-만주 접경지역에 도착했다.... 10월 13일부터 10월 18일의 5일이라는 시간은, 워커 기자가 직접 경험을 하고 “묘사한” 내용의 1/3을 다루기에도 물리적으로 불가능했을 것이다. 나의 추측은, 그가 모스끄바에 오래 머물면서, 그의 위조된 기사를 그럴 듯하게 하는 데 필요했던, 우끄라이나 “지방의 고유한 특성”을, 분개한 외국인들로부터 수집했다는 것이다.’


피셔에게는, 1934년 초에 우끄라이나를 방문했던 린드세이 패롯(Lindsay Perott)이라는 미국인 친구가 있었다. 그는 허스트의 출판물에 언급된 기근에 대해서 어떠한 흔적조차도 언급하지 않았다. 그와 반대로 1933년은 풍작이었다. 피셔는 이렇게 결론을 내렸다:


‘허스트 신문과 나찌가 점점 더 긴밀하게 일을 꾸미기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나는, 패럿(Mr. Parrott)이 번영하는 쏘비에뜨 우크라이나에 대한 이야기를 썼지만, 이것을 허스트 신문이 실었다는 이야기는 못 들었다. 패럿은 허스트의 모스크바 특파원이다.’2)


작은 소녀와 ‘개구리 같은 자세의’ 아이 사진 아래에, 워커3)는 이렇게 적었다.


‘소름끼치는 ― 하르호프(Kharhov)(원문대로4)) 남쪽에, 전형적인 농민의 오두막에 더러운 바닥, 짚으로 이은 지붕 그리고 가구 한 점, 벤치가 있고, 아주 야윈 소녀와 그녀의 두 살 반 된 남동생(위에 보인다)이 있다. 이 남동생은 마치 개구리처럼 마루를 기어 다녔고, 그의 가냘픈 몸은 영양 부족으로 기형으로 사람 같지 않았다.’5)


캐나다 노동조합원이자 기자인 더글라스 토틀(Douglas Tottle)은 1934년으로 (워커의 기사에서 ― 역자) 기록되어 있는 ‘개구리 같은 자세의’ 아이 사진과 동일한 사진을, 1922년에 발행되었던 그 해 기근을 다룬 기사에서 발견했다.


또 다른 워커의 사진은 제1차 세계 대전 때, 죽은 말 옆에 있는 오스트리아 기병대 군인의 사진으로 판명되었다.6)


야비한 워커: 그의 기사는 거짓이었고, 그의 사진도 거짓이었으며, 심지어 그의 이름마저 가짜였다. 그의 본명은 로버트 그린(Robert Green)이었다. 그는 8년의 금고형 중, 2년간 수감된 뒤 콜로라도(Colorado) 주립 감옥에서 탈출하였다. 그런 다음 그는 쏘련에 가서 거짓 기사를 썼다. 미국으로 돌아오자마자 그는 체포되었고, 법정에서 우끄라이나에 결코 간 적이 없다고 시인하였다.


억만 장자인 윌리엄 란돌프 허스트(Wiliiam Randolph Hearst)는 1934년 늦은 여름에 히틀러를 만나, 독일이 허스트 소유의 International News Service사(社)의 국제 뉴스를 구매하겠다는 계약을 맺었다. 당시에 나찌 출판물은 이미 ‘우끄라이나 기근’에 대한 흑색선전을 시작하고 있었다. 허스트는 그의 위대한 탐험가 워커 덕분에 재빠르게 이 기회를 포착했다.7)


기근에 대한 다른 비슷한 기사가 허스트 신문에 보도되곤 하였다. 예를 들면, 프레드 빌(Fred Beal)이 기사를 쓰기 시작했다. 노동쟁의 이후 20년 금고형을 선고받은 미국 노동자인 그는 1930년 쏘련으로 도망갔으며, 2년 동안 하르코프 트랙터 공장에서 일했다. 1933년에 그는 ≪쏘비에뜨  트랙터 공장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Foreign workers in a Soviet Tractor Plant)≫이란 제목의 소책자를 썼는데, 여기서 쏘련 인민의 노력을 우호적으로 묘사했다. 1933년 말에 그는 실직과 감옥행이 예정되어 있던 미국으로 돌아왔다. 1934년 그는 우끄라이나 기근에 대해서 쓰기 시작했고, 곧 그의 금고형은 극적으로 줄어들었다. 1935년 6월에 그가 ‘실제로 목격한 이야기’가 허스트에 의해서 출간되었을 때, 5년 동안 동일한 하르코프 공장에서 일했던 우리넥(J. Wolynec)이라는 또 다른 미국 노동자가, 빌의 책 전체에 걸쳐있는 거짓말들을 폭로했다. 비록 빌이 많은 대화를 들었다고 했지만, 우리넥은 그가 러시아어 우끄라이나어 어느 것도 구사할 줄 모른다고 지적했다. 1948년에 빌은 맥카시 위원회(McCarthy Committee) 앞에서 공산주의자들에 맞선 증인으로서 극우주의자들에게 봉사했다.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남한의 당사자들은 김일성이 소련 여단 군복을 입은 모습을 즐겨 묘사한 반면일본 상급자의 제복을 빌려 입고 찍은 남한 장교들의 사진은 조직적으로 감추었다아마도 1961년부터 1979년까지 남한의 대통령이던 박정희가 그런 군인들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일 것이다.”

 

출처김정일 코드 p.47

 

이 내용은 한국전쟁을 연구한 학자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의 저서 김정일 코트(North Korea: Another Country)에 나오는 내용이다북한의 초대 지도자 김일성(Kim Il Sung)은 한국사회에서 금기시 되는 영역이다그에 대한 평가와 해석은 “6.25전쟁을 일으킨 전범이라는 단순한 명제로 결론짓는다이 부분에서 더 나아가면 그냥 독재자라는 이미지만을 부각시킨다북한에 대한 체제의 성격과 해석은 우리 사회에서 다양할 수 있다나는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생각하며그러기 위해선 북한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는 작업도 분명 중요하다 생각한다.

(와다 하루끼의 저서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내가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분명하다이미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자료들과 해석은 대한민국 사회에 널려 있다반면북한의 체제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이나 지도자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한 자료들은 거의 없다더 정확히 말하자면국가 보안법이라는 정치적 영역을 통해 탄압받고 있다내가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북한을 찬양하고 숭배의 대상으로 보자는 것이 아니다최소한 현재 한국 사회의 주류적인 흐름 속에서 북한에 대한 다른 평가를 하나의 담론으로서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따라서 김일성에 대한 평가도 충분히 그러할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근현대사를 보면,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우리의 역사는 일제시대로 대표되는 식민지 시기이다일제 지배 35년 동안 적잖은 이들이 독립운동에 나섰고또 많은 이들이 산화했다한국 사회에서는 소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포함하는 우파 민족주의 계열의 활동을 강조한다최근 들어 임정과의 연합을 추진했던 인물 약산 김원봉을 강조하지만편협한 색깔론에 큰 희생양이 되고 있다한국 사회는 조금이라도 사회주의 계열에 있었거나 월북 이력이 있는 인물에 대해선 극도의 발작 증세를 보인다.

(동북항일연군 깃발)

 

이는 잘못된 행보다왜냐하면 독립운동사에서 사회주의 계열은 절대로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사실 독립운동 세력들 중에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를 추구한 이들이 많았다그리고 이들 대다수가 독립운동가를 이루고 있었으며일제에 끝까지 저항한 것도 바로 이들이었다또한 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공내전에 참가하여중국 혁명을 승리로 이끌었다이런 업적을 달성한 이들이 바로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 세력이었다. 1948년에 탄생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김일성 또한 독립운동가로서일제시대에는 항일투쟁 그 이후에는 항미투쟁을 전개한 인물이었다물론 한국전쟁 자체는 그가 일으킨 것도 사실이지만3세계적 관점에서 보면항미투쟁으로 볼 수 있다이는 김일성과 그가 이룬 체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던 리영희 교수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북한에서 묘사한 항일무장투쟁 당시 김일성)

 

김일성은 젊은 시절부터 열혈 반일투사였다그는 1931년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킨 시점부터 항일무장투쟁에 가담했다중국 공산당에도 입당했으며중국 공산당과의 국제 연대를 통해 공동의 항일투쟁을 전개했다그는 수많은 전투를 치렀으며, 1930년대 초중반을 기점으로 백두산을 거점삼아 항일 무장병력을 이끌었다그가 이끌던 항일무장조직의 명칭은 구국군’, ‘왕청 유격대’, ‘동북인민혁명군’, ‘조선인민혁명군’, ‘동북항일연군등 다양하다한홍구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는 만주 동부에서 큰 명성과 높은 지위를 지닌 조선 공산주의자들의 지도자였다.

 

개인적으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는 전투가 있다그 전투는 바로 1940년의 홍기하 전투다홍기하 전투에서 김일성의 부대는 자신들을 추격해온 일본군 100~150명을 사살했고경기관총 5소총 100여 정탄알 1만여 발무전기 1대를 노획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이는 아주 큰 전과라 할 수 있다이 홍기하 전투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김일성은 독립운동 과정에서 아무것도 안했다.”는 일부 인사들의 주장이 허황된 주장이라는 것이다그 외에도 김일성이 일본군을 상대로 치른 전투는 무수히 많다이는 와다 하루끼의 저서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을 통해 알 수 있다.

(동북항일연군)

 

당시 김일성은 항일투쟁의 빛나는 붉은 별이었다북한이 자신들의 정통성을 항일무장투쟁에서 찾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충분히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만한 이력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러한 김일성의 이력은 국내 교과서에서는 절대 가르치지 않는다왜 그럴까나는 이것이 대한민국의 국가적 정통성이 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만약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이 분야에 있어서 당당하다면홍기하 전투 그 자체를 숨길 하등의 이유가 없다그러니 한국 사회에선 좋든 싫든 임시정부만 언급하는 것이다물론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폄하할 생각은 없다그러나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사에서 극히 일부분일 뿐이라는 것도 명백한 사실이다.

(해방 이후 북조선분국 지도자일 당시의 김일성)

 

앞서 보았듯이김일성의 항일투쟁은 분명 높게 평가받을 만한 부분이다물론 독립운동사를 김일성 중심으로만 서술해서도 안 될 것이다그러나 그가 항일투사로서 높이 평가받아야 하냐는 문제는 그것과는 별개의 문제다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은 1930년대 만주에서 전개된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무장투쟁과 더불어재조명 받고 높이 평가받을 만한 이력이다그리고 그들이 이후 한국전쟁에서 미국에 대항했다는 사실에서항미투쟁적 성격도 제3세계의 시각으로 볼 가치도 충분히 있다그런 시각을 하나의 담론으로 인정하는 것부터가 진정한 학문의 자유다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은 그런 의미에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마지막으로 2011년 브루스 커밍스가 인터뷰에서 주장했던 말을 인용하며 마치겠다.

 

딘 애치슨은 호치민에 대해 언급한 모든 것은 김일성한테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참고문헌

 

한국전쟁의 기원브루스 커밍스김자동(), 일월서각, 1986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와다 하루끼이종석(), 창비, 1992

 

김정일 코드브루스 커밍스남성욱석(), 따뜻한손, 2005

 

한국의 레지스탕스조한성생각정원, 2013

 

간도특설대김효순서해문집, 2014

 

와다 하루끼의 북한 현대사와다 하루끼남기정(), 창비, 2014

 

중국인 이야기 3김명호한길사, 2014

 

한국독립운동사박찬승역사비평사, 2014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브루스 커밍스조행복(), 현실문화, 20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