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이 1991년 소련이 해체된 이후 미국이 냉전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한다. 물론 소련의 해체를 생각해 보았을 때, 이는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냉전에서 승리했다.”라는 식의 논리는 사회주의는 실패했고 자본주의가 승리했다.”다는 미국 우익 중심적인 시각에 매몰되기 쉬운 듯하다. 공산주의 이론의 아버지인 칼 마르크스(Karl Marx)는 당시 산업혁명을 통해 확산된 자본주의에 대해 아주 강도 높은 비판을 했었다.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은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과도 연결이 된다.

 

당시 마르크스가 했던 주장을 쉽게 말하자면 바로 이렇다. 소수 자본가들의 이익을 위해 작동하는 것이 자본주의인데, 자본주의는 기본적으로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존재한다. 무산자 계급인 프롤레타리아트들을 착취하고 학대해서라도 자본주의는 이윤이라는 가치를 만들고자 하는데, 여기서 이른바 과잉 생산이라는 현상이 나타난다. 쉽게 말하면 예를 들어 신발이나 양말이 100개만 필요한데 200개 그리고 300개가 생산되어 남아도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잉여생산을 팔아 치우기 위해서 19세기 당시 필요했던 것이 바로 제국주의 팽창을 통한 식민지였고,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은 이런 자본주의를 토대로 제국주의 팽창에 나섰다. 물론 여기에는 제국주의 국가들끼리의 세력다툼도 있었고, 미국 또한 뒤늦게나마 이 대열에 합류했었다.

 

19세기 말기 미국 또한 식민주의적인 제국주의 국가로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제국주의 국가들은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면서 영향력을 상실한 구제국주의 국가로 전락했고, 이 과정에서 미국이 신제국주의로 급부상했다. 신제국주의 국가인 미국은 소련과의 경쟁을 핑계로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자신들의 제국주의적 이익과 야욕아 아주 충실했다. 그리스, 한반도, 베트남, 그 외의 여러 중남미 국가들에서 이런 미국의 제국주의적 행보는 아주 극명하게 드러났었다. 따지고 보면, 냉전은 제국주의 대 사회주의의 대결이었으며, 그런 구도에서 냉전기 여러 분쟁들을 충분히 해석할 수 있다.

 

다시 이야기를 원점으로 돌려 얘기하자면, 마르크스가 지적한 제국주의는 현재 미국이 유지하고 있으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시작된 미국의 신제국주의는 1991년 냉전이 종결된 이후에도 시퍼렇게 살아있다. 오늘은 21세기 미국의 신제국주의의 사례들을 얘기해볼까 한다.

 

21세기는 20019.11 테러와 함께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미국의 신제국주의는 1999년 유고슬라비아 내전 중 하나인 코소보 내전에 개입하여 대량 살상을 벌이며 20세기를 종결시켰지만, 21세기가 시작되기 무섭게 20019월 아프가니스탄을 침략하면서 지금까지도 그 전쟁을 치르고 있다. 또한 2003년에는 후세인 정부가 신무기가 있다는 거짓말을 빌미로 이라크 전쟁을 일으켰으며, 이라크인 60만을 대량 학살했다. 당연히 이라크에는 신무기는 없었으며, 이라크 침공의 진짜 목적은 중동의 석유를 독점하겠다는 제국주의적인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실제로 이라크 전쟁을 일으킨 딕 체니(Dick Cheney)는 자신이 CEO로 있는 헬리버튼 회사를 통해 막대한 자본을 벌어들였다.

 

한반도 문제에서도 미국은 제국주의적인 위선을 보였었다. 북한이 핵무장을 한 이유에는 결정적으로 미국의 군사적 위협이 있었으며,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트럼프가 북미회담을 하기 전까지 적어도 21세기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조지 부시나 버락 오바마 등은 북한의 지도자와 진지하게 대화를 하려는 노력조차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군사적 도발만 앞세웠다. 특히 이런 군사적 도발은 민주당 정권이었던 오바마 정부에서 더 강력하게 표출됐다. 물론 도널드 트럼프 또한 화염과 분노라는 도발적인 언행을 하긴 했으나, 이유가 어찌됐건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두 번씩이나 만나 최소한 대화하는 노력이라도 보였었다. 트럼프 이전까지의 미국 대통령들은 대화보다는 진지하게 대립과 압도적인 군사적 도발만을 추구했었다. 그리고 이러한 대결적 구도는 엄밀히 따지자면 친미제국주의자인 이승만부터 내려오는 대결주의적인 한반도관에 입각한 성질의 것이었다.

 

베네수엘라 문제 또한 미국은 아주 제국주의적으로 대처했다. 우선 베네수엘라에 우고 차베스를 중심으로 사회주의를 세우려 하자, 미국은 석유가지고 경제적인 장난질을 일삼았으며, 베네수엘라가 사회주의를 하지 못하도록 온갖 추잡한 악행들을 저질러왔다. 심지어 2019년에는 친미주의자 후안 과이도를 내세워 쿠데타를 일으켰으며, 차베스를 이은 마두로 정권을 붕괴시키려 했었다. 실제로 미국은 이런 제국주의적인 개입을 통해 이른바 레짐 체인지를 성공시키기도 했었다. 대표적으로 2011년 리비아의 반카다피 시위가 그러했다. 사실 이 리비아 폭동은 정부군의 힘이 강했지만, 미국은 NATO라는 자신의 제국주의적 군사동맹을 끌어들여, 친서방 폭도들에게 공중지원을 해줬다. 물론 리비아 내전 개입에도 역시 석유를 포함한 미국 기업의 이권이 주된 원인이었다.

 

미국은 현재는 자본주의가 되어버린 러시아와 맞서는 것에도 각을 세우고 있다. 폴란드나 발트삼국 그리고 루마니아 등에다 자신들의 무기들을 배치하는 것은 러시아를 군사적으로 압박하기 위함이다. 또한 미국은 러시아의 심기를 건드리기 위해 반러시아 시위에 개입하기도 했으며, 그 사례가 바로 우크라이나의 유로마이단 사태다. 미국은 의도적으로 친서방 반공주의적인 세력들을 도왔으며, 여기에는 아조프 부대와 같이 대놓고 나치즘을 찬양하는 이들도 있으며, 친나치 협력자인 스테판 반데라를 영웅으로 치켜세우는 이들도 상당수 포함하고 있다. 2019년 홍콩 사태때도 미국이 조슈아 웡과 같은 친서방 인사와 일종에 커넥션을 만든 것 또한 이런 레짐 체인지나 대중정책의 일환이라 봐야한다. 물론 홍콩 시위 자체의 성격은 친서방으로만 해석하긴 힘들다 하더라도 그 세력의 주류인 조슈아 웡과 같은 이들이 지원을 받는 이유에는 미국이 자주하는 레짐 체인지의 목적이 분명히 있다.

 

최근에 쿠바에서 일어난 반정부 시위 또한 미국의 제국주의적 레짐 체인지의 일환이며, 이것은 두말 할 것도 없이 반정부 폭동일 뿐이다. 사회주의 쿠바는 체제 전복의 목적이 아닌 이상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 그 자체를 탄압하지 않는 사회다. 실제로 동성애의 권리가 인정받은 것이나, 쿠바사회에서 동물권 투쟁이 일어났다는 사실에서 사회주의 쿠바 또한 소위 다양성이 나름 보장되는 사회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 일어난 반정부 시위는 말 그대로 미국 정부와 플로리다 쪽에 거주하는 친미 반공주의적인 쿠바계 미국인들의 지원을 받아 일어났으며, 쿠바 정부의 훌륭하고 신속한 대처로 사상자 거의 없이 진압됐다. 오히려 쿠바 사회주의를 수호하려는 친정부 시위는 반정부 시위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대규모로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제국주의는 21세기에도 반복되고 있다. 내가 미국을 강력하게 비판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따라서 현재 나는 전적으로 쿠바 정부편이며, 반혁명 폭동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 생각한다. 미국의 제국주의가 무너지기를 바라며, 졸문의 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자작시) 붉은 별 쿠바

쿠바!

듣기만 해도 가슴 설레는 혁명의 땅!

미제의 60년 통치속에서 억눌리고 짓눌렸던 쿠바는

붉은 별 카스트로와 체게바라의 혁명으로 사람이 사람답게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나라가 되었네.

미제의 피그스만 침공과 케네디의 카리브해 위기 협박속에도 단결하여 인민을 수호해온 쿠바는

단결한 인민들의 피와 땀으로 사회주의를 수호하며,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했도다.

미제의 탄압과 억압에도 빈라덴의 테러속에서 부상당한 미국 인민을 인도주의 정신으로 무상치료해준 사회주의 붉은 별 쿠바!

미제 식민지배 60년
미제 탄압 60년

강력한 코끼리의 공격에도 굴하지 않은 쿠바는 지금도 붉은 별이 되어 사회주의를 수호하고, 반동의 공격에도 붉은 별을 수호하리.

영원한 승리의 그날을 위하여 붉은 별 쿠바는 앞으로 전진! 또 전진!🇨🇺🇨🇺🇨🇺

김남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1947719일 혜화동 로터리(현재 4호선인 혜화역에 있는 그 로터리다.)에서 한 인물이 괴한의 총탄에 암살당했다. 그는 한평생을 조선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했고, 해방 이후 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던 인물이었으며, 19193.1운동의 불씨를 제공한 인물이었다. 그가 바로 몽양 여운형(夢陽 呂運亨, Lyuh Woon Hyung)이다.

 

여운형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그는 독립운동사에 있어서 큰 인물로 애국계몽운동부터 중국 유학, 신한청년당 당수, 3.1운동의 불씨제공, 고려 공산당 활동 및 중국 혁명 참여, 조선중앙일보 사장 그리고 조선건국동맹과 조선건국준비위원회까지 상당히 돋보이는 이력을 가진 매력적인 인물이다.

 

1922년에는 소련의 수도 모스크바에 가서 레닌을 만나기도 했으며, 손문과 장제스 그리고 마오쩌둥과도 친분이 있었으며, 베트남의 독립운동가였던 호치민하고도 만났었다. 또한 해방 이후에는 여러 미군정 인사들이나 소련측 인사들도 그롤 높게 평가했으며, 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38선을 넘어 김일성을 포함한 북조선 인사들과도 협의하는 유연한 행동력과 친화력을 보였던 인물이다.

 

나는 무엇보다 그가 태평양 전쟁 말기 일제의 패망을 예상하고 1944년 조선건국동맹을 조직하여 일제의 패망을 대비했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재미조선사정협의회장이었던 김용중은 1946년 초 이승만이나 김구는 너무 늙고 경륜도 영도력도 없는 망명객이므로 그들보다는 자유적이고 민중의 인기가 높은 여운형이 적합한 지도자이다.”라고 얘기했는데, 당시 여운형에 대한 대중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해방 이후 남북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좌우합작 운동을 전개하다 암살당한 그는 우리 현대사의 비극으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죽음은 1948년 남북분단 정부 수립과 그 과정에서 벌어진 제주4.3학살과 여순학살 그리고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이어졌다. 서중석 교수나 정병준 교수 그리고 박태균 교수를 포함한 한국 현대사를 연구한 사학자들은 여운형의 좌우합작이 분단을 막을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였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나 또한 그런 입장에 동의하는 바이며, 따라서 그의 암살은 우리 현대사에 있어서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여운형의 암살 배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분단정부를 수립하고자 온갖 테러와 악행을 일삼던 이승만과 그 친일 친미 제국주의 세력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들에게 있어서 여운형의 존재는 아주 무서운 존재였다. 무엇보다 여운형은 친일파들이 적극적으로 친일에 나설 때, 끝까지 독립운동의 길을 걸었고, 대중적인 인기도 컸으며, 미국과 소련을 아우르는 통합력과 통일력을 소유한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떻게든 제국주의적인 분단정부를 세우기 위해선, 이승만과 친일 친미 제국주의 세력은 그를 제거하고 싶어했을 것이다.

 

오늘은 여운형 선생이 암살당한 719일이다. 아이러니 하게도 이 719일은 친미 제국주의자 이승만이 늙어서 죽은 날이기도 하며, 조선 공산당의 지도자 박헌영이 북한에서 처형당한 날이기도 하고, 버마의 독립지도자 아웅산이 암살당한 날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719일에 여운형과 이승만의 추모제가 동시에 서울지역에서 거행되는데, 일설에 따르면 이승만 지지자들이 여운형 추모제 근처에 와서 소음공해를 일으키기도 한다고 한다.

 

이제는 여운형 선생의 바람인 남북분단을 허물어 버려야할 시점이다. 앞으로 우리 사회는 여운형 선생의 바람대로 분단을 물리쳐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히틀러의 하늘의 전사들 - 제2차 세계대전 독일 공수부대 팔쉬름얘거의 신화 KODEF 안보총서 4
크리스토퍼 아일스비 지음, 이동훈 옮김 / 플래닛미디어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아돌프 히틀러에게는 전쟁 초기 전쟁터에서 맹활약을 떨쳤던 부대들이 있었다. 특히 육군의 탱크부대나 루프트바페와 같은 공군 그리고 나치 독일 전쟁범죄의 대명사인 SS등이 있었는데, 이중에는 팔쉬름 야거라 불리던 공군 소속의 공수부대 또한 존재했다. 역사상 공수부대를 만든 주체는 1930년대 소련이었지만, 공수부대를 실전에 투입한 주체는 바로 나치 독일이었다.

 

1939년 폴란드 침공 이후 나치 독일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점령한 뒤 서유럽으로 진격했는데, 이때 아르덴 숲 돌파를 포함하여 벨기에와 네덜란드 점령에 있어 팔쉬름 야거라 불리던 독일 공수부대의 활약이 컸다. 이 시기 독일의 공수작전은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공수부대의 투입이 생각보다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는데, 이는 1941년 그리스 침공에서였다. 특히 그리스령 크레타 섬 점령에서 독일은 막대한 손실을 냈고, 이는 히틀러가 더 이상 대규모의 공수작전을 하지 않게 되는 계기가 됐다.

 

소련 침공 이후 독일 공수부대는 동부전선에도 투입되었는데. 이때부터는 단순히 보병 부대로 활용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대규모의 공수작전은 없었다. 이는 미영 연합군을 상대로 했던 북아프리카 전선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1943년 연합군의 이탈리아 전선에서는 이들은 거의 2년 동안 연합국의 발목을 이탈리아에 잡아놓기도 했는데, 이 이탈리아 전선은 1945년 나치 독일이 패망할 때까지 유지됐다.

 

특히 몬테카시노 전투는 공수부대의 저항으로 서방 연합군은 극심한 사상자가 속출했었다. 그 외에도 일부 병력이 이탈리아의 독재자 무솔리니 구출이나 유고슬라비아에서의 파르티잔 지도자 티토를 생포하기 위한 작전에도 투입됐다. 그리고 이들 중에는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서부전선에도 투입됐고, 동부전선에 투입된 이들은 베를린 전투까지 참가했다. 책에 따르면 동부전선에 참전했던 일부 SS출신 공수부대원들은 소련군에게 체포되면 처형될 거라 생각하여, 일부러 영미 연합군에게 항복했다고 한다.

 

이 책은 말 그대로 나치독일 공수부대가 어떻게 전투에서 활약했는지를 다룬 책이다. 나쁘게 말하자면, 독일군 미화라고 표현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주로 계급과 병사들의 군장비 그리고 무기와 훈장 및 계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담고 있으며, 책에 나온 사진들 대부분은 그러한 설명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 가지 흥미로웠던 점은 제2차 세계대전 초기 공수부대를 전선에 활용한 주체는 독일이었지만, 이후 전쟁이 진행되면서 이 공수부대를 전략적으로 잘 활용한 주체는 미국과 영국이었다는 점이다. 이는 2001년 미국 HBO에서 만든 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Band of Brothers)’에 잘 나온다. 결국 나중에 이 부대를 활용한 이가 승리했고, 전쟁 초기에 활용했던 이는 전쟁의 패배자가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난 이후 미국과 소련 간에 냉전이 시작됐다. 냉전은 미소양국의 군사적 대립과 갈등으로 표출되었고, 많은 부분에서 양국은 경쟁했다. 현재 한국에서 가르치는 세계사 교과서나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 가르치는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냉전의 구도를 마치 자유주의 대 공산주의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설득력이 거의 없는 이야기일 뿐이며, 그것이 제국주의자들의 위선과 기만 속에서 만들어진 주장일 뿐이다. 이를 알 수 있는 역사적 팩트가 존재하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미국과 우크라이나 극우주의자들의 협력이다.

(스테판 반데라,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민족영웅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현실은 나치에 협력하여 인종청소를 포함한 각종 전쟁범죄를 저지른 대학살자다.)

 

1941년 독일이 소련을 침공했을 당시, 예전부터 반소감정이 심했던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OUN, Organization of Ukrainian Nationalists)와 같은 극우 민족주의자 단체들이 침략자 나치를 해방군으로 받아들였다. 당시 OUN의 지도자였던 스테판 반데라(Stepan Bandera)는 나치와 협력하여 소름끼치는 대량 인종 학살들을 저질렀는데, 대표적으로 1941929일에서 30일에 수도 키예프(Kiev)외각에 있는 바비야르(Babi Yar)에서 33,721명의 유대인을 기관총으로 집단 학살한 사건이 대표적이었다. 나치의 우크라이나 점령 기간동안 대략 150만 명의 유대인이 학살당했는데, 스테판 반데라가 지휘하는 OUN 대원들은 나치의 천인공노할 정책에 적극 협력했으며, 1941년에만 최소 30만의 유대인을 대량 학살했다.

(미콜라 레베드, 우크라이나 봉기군의 지휘자로 수만에서 수십만의 유대인과 폴란드인 그리고 러시아인 등을 인종청소하고 학살한 전쟁범죄자다. 그러나 미국 CIA는 그를 후원했으며, 그 덕분에 천수를 누리며 살다 1990년대에 생을 마감했다.)

 

또 다른 조직으로는 우크라이나 봉기군(UPA, Ukrainian Insurgent Army)가 있었으며, 미콜라 레베드(Mykola Lebed)나 로만 슈케비치(Roman Shukhevych)와 같은 UPA 인사들은 볼리니야아 갈리치야 지역에서 반데라의 군대가 그랬듯이 소름끼치는 민간인 학살 및 인종청소를 자행했다. 1943년 볼리니아 지역에서는 최소 35,000명에서 7만 명 혹은 10만 명 이상의 폴란드 주민들이 이들에게 무차별 학살당했으며, 스테판 반데라 또한 이런 천인공노할 인종학살극을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벌였다.

(CIA,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CIA는 소련에 대항한다는 명분으로 서유럽에서 파시스트들과 협력했다. )

 

나치에 협력했던 이들은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쿠르스크 전투에서 소련군이 점차 반격하기 시작하자, 나치와 소련군을 동시에 대항한 전투를 벌였으며, 이런 게릴라전은 1945년까지 지속됐다. 물론 이들은 소련군의 압도적인 화력과 반파시즘 항전에 참가한 소련 인민의 의지를 꺾지 못했다. 1944년부터 1945년 상반기 까지 91,615명의 우크라이나 극우주의 군대가 소련군에게 사살됐고, 비슷한 비율의 숫자가 소련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스테판 반데라와 같은 몇몇 우크라이나 극우주의 성향의 인물들은 연합국 점령지역으로 도망쳤고, 몇몇은 서유럽이나 미국 등에 정착했다.

(냉전 당시 OUN과 CIA의 관계를 알려주는 자료, 올리버 스톤의 다큐인 우크라이나 불에 휩싸이다에서 나오는 장면이다.)

 

1945년 당시 나치 전범들을 재판하기 위한 뉘른베르크 재판이 있었는데, 반데라와 같은 우크라이나 전쟁범죄자들에 대한 심판이나 처벌은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냉전 초기 미국은 이들을 이용하고자 했다. 따라서 미국 CIAOUNUPA 지도자들의 미국 이주를 후원했었으며, 이들을 소련 전복을 위한 전복부대나 첩보부대로 활용할 계획을 세웠었다. 한마디로 미국은 소련에 맞서기 위한다는 명분으로 이 전쟁범죄자들을 이용했다. 심지어 볼리니아와 동부 갈리시아에서의 폴란드인 학살에 막중한 책임이 있는 미콜라 레베드(Mykola Lebed)1990년대까지 뉴욕시 퀸즈에 살았었다. 미국의 지원 아래 이런 전범들은 잘먹고 잘살았었다는 얘기다.

 

더욱 황당하고 어이가 없는 것은 미콜라 레베드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로마로 탈출하여 연합국과 접촉했는데, 미 육군 방첩대는 그를 뮌헨으로 빼돌렸으며, 19496월에는 CIA의 협력하에 미국으로 보내졌다는 사실이다. 나중에 법무부가 레베드를 미국서 추방하려고 했으나 후일 CIA 국장이 되는 앨런 덜레스(Allen Welsh Dulles)미콜라 레베드는 CIA에 엄청난 가치가 있는 인물이라고 하며, 핵심적인 반소작전을 돕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 세워진 스테판 반데라 동상, 스테판 반데라의 동상은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때도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보도하는 서방 언론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이들 중 일부는 냉전 초기 소련 휘하의 우크라이나에 침투하여, 작전을 개시했다. 우크라이나 지역에 남아있던 일부 잔존세력들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가며 1946년과 1947년에 여러 작전들을 게시했다. 벨라도나 작전(Operation Belladonna 1946), 스라소니 작전(Operation lynx, 1946) 그리고 삼지창 작전(Operation Trident, 1947)등이 있다. 실제로 미국 CIA는 스테판 반데라나 미콜라 레베드와 같은 인물과 협력하여 194995일 우크라이나인 스파이 선발대를 낙하산으로 소련에 침투시켰다. 그리고 이런 공작은 1954년까지 지속됐다. 물론 소련은 이런 제국주의 무리들을 신속히 처리해버렸다.

 

이처럼 미국은 나치 협력자들을 통해 소련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려는 정치공작을 했었고, 실제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냉전 당시 적국에 대한 값비싼 정보를 워싱턴에 제공한 대가로 CIA는 그 보답으로 민족주의자 퇴역군인들을 영향력 있고 권위 있는 지위에 두면서, 그들이 기존대학에서 준 학문적인 기관이나 학술적 지위를 만드는 것에 도움을 줬다. 미국은 공산주의를 막는다며 이런 전쟁범죄자들과 파시스트들을 이용하는데 거리낌이 없었다. 그리고 미국의 지원을 받은 우크라이나 피시스트들은 미국에서 호의호식하며 살기도 했다. 이런 역사적 진실은 서방 사회에서 알려지지 않았다. 반공주의 교육과 제국주의 교육이 얼마나 문제가 많은지를 보여주는 역사다.

 

미국이 이런 천인공노할 짓을 한 이유에는 동유럽에 대한 소련 지배력을 약화시키기 위함이었다. 이들은 소련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이런 악행들을 저질렀으며, 이와같은 사실에서 미국이 얼마나 제국주의적인 정책을 냉전 초기에 추구했는지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해리 트루먼이 말하는 트루먼 독트린(Truman Doctrine)의 진실 중 하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스코프스키 2022-03-16 19: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문서 잘 보았습니다. 저도 서첩반 반걸랍/스테판 반데라를 박노자 교수 문서에서 확인한 바 있었는데 문서에서 더 확실하게 보았고요 나중에 서몽 피득류랍/시몬 베틀류라에 대해서도 써 주세요... 관련 문서들의 주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필 서몽 피득류랍/시몬 베튤류라는 영문자료 뿐이네요...

박노자 교수의 문서

http://www.redian.org/archive/71712

https://blog.naver.com/bec5483?Redirect=Log&logNo=221996757798

사첩반 반걸랍/스테판 반데라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5%8C%ED%8C%90_%EB%B0%98%EB%8D%B0%EB%9D%BC

서몽 피득류랍/시몬 베틀류라

https://en.wikipedia.org/wiki/Symon_Petliura

NamGiKim 2022-03-16 19:47   좋아요 0 | URL
오마이 뉴스도 있습니다.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810842

보스코프스키 2024-09-20 20: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추가로 서몽 피득류랍/시몬 베틀류라 관련 위키백과 항목에서 한국어 항목을 확인했습니다. 이후에 추가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표기는 시몬 페틀류라로 박노자 교수와는 약간 다른 표기입니다. 주소는 제시목록과 같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AA%AC_%ED%8E%98%ED%8B%80%EB%A5%98%EB%9D%BC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