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계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공연히 내세우는 구실' 또는 '잘못한 일에 대하여 구차스럽게 말하는 변명'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핑계는 결국 '정당하지 못한 일을 획책하는 사람의 자기합리화' 또는 '안 좋은 결과에 대한 책임 회피'임이 분명해진다.
내가 가르치는 학생 중에 유난히 화를 잘 내는 아이가 있다.
어느 날 나는 그 학생만 따로 불러 진지하게 물었다. 그렇게 화를 잘 내는 특별한 이유가 있느냐고. 그러나 내게 돌아온 답변은 예상하지 못한 의외의 말이었다. 그 학생은 자신이 그동안 화를 자주 낸다는 것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듯했다. 나는 그때서야 비로소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 학생처럼 행동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경중의 차이는 존재하겠지만 그 학생과 비교하여 크게 낫다거나 모자르다고 말할 수 없는 처지에 있을지도 모른다.
내가 그때 학생에게 들려준 이야기는 이랬다.
"사람들은 어떤 일의 결과(주로 나쁜 결과가 해당되겠지만)에 대하여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거나 안 좋은 일인 줄 알면서 행동할 때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핑계를 대곤 하지. 우리가 핑계나 변명을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명확하단다. 왜냐하면 핑계가 습관처럼 굳어지면 어떤 일의 결과를 초래했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지. 즉, 자신이 말한 핑계가 그 일의 원인이라고 자기 자신도 굳게 믿는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야. 언제부턴가 자신의 말에 자신도 속게 된다는 뜻이지.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실패나 좌절을 겪을지라도 그 원인만 정확히 알 수 있다면 언제든 다시 일어 설 수 있지만 실패의 원인을 찾지 못하면 지난 시간과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것은 물론, 언제든 똑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된단다. 이런 의미에서, 즉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는 핑계가 나의 판단력을 흐리게 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야.
더구나 우리가 하는 핑계의 대상이 늘면 늘수록 내가 화를 내야만 하는 대상도 비례하여 늘어나는 것도 문제란다. 혹시 아빠도 운전하시면서 화를 자주 내는 편이니?"
아이는 잠시 뜸을 들이다가 그렇다고 답했다.
"사실 나도 가끔은 불같이 화를 내는 경우가 있어. 내 앞으로 갑자기 끼어든 차로 인해 큰 사고가 날 뻔한 경우가 더러 있었거든. 그런데 따지고 보면 내가 서행운전을 했었거나 방어운전을 했었더라면 그 운전자에게 잘못을 뒤집어 씌우고 화를 낼 이유는 없었던 듯해. 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경우지. 자, 그러면 보자. 만일 내가 문제의 원인을 '나의 실수'로 파악했더라면 나 자신에게도 그렇게 화를 냈었을까? 주먹질 일보직전까지 말이야. 아마 그런 일은 결코 벌어지지 않았을 거야. 이런 것처럼 책임을 다른 대상에게 돌리면 나는 그 대상에게 화가 나는 법이지. 날씨가 덥다고 화를 냈다면 그 대상은 '하느님'이 되어야 하나? 문제의 원인은 내가 체력적으로 약해서 더위를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은 아닐까?"
"일에 있어 결과가 안 좋은 이유는 대부분 그 원인이 내게 있단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자신에게는 관대한 편이니 그 원인이 내게 있다고 할지라도 그렇게 화를 내지는 않을 거야. 너가 그 동안 자주 화를 내었던 것도 사실 네가 그 원인을 잘못 파악했던 것이고, 네가 원인이라고 지목한 여러 대상들에게 한낱 분풀이를 한 것에 불과하단다. 실수나 실패를 통하여 배운다는 것은 일의 결과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에 있는 법이지. 나는 너의 능력을 믿고, 앞으로는 네가 어떤 나쁜 결과에 직면하더라도 그 원인을 정확히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아이는 요즘 화를 내지 않는다.
내 앞이라서 조심하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