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순신의 심중일기 1 - 혁명이냐 죽음이냐 그의 진짜 속마음은?
유광남 지음 / 스타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이순신의 나라는 백성의 나라가 될 것입니다.
이순신의 나라는 강한 나라가 될 것입니다!”
“백성들이 꿈꾸는 나라가 될 것이옵니다.”
때는 조선, 일본, 중국의 삼국전쟁으로 동북아시아는 일대 격렬한 변화의 시기에 도달하게 되고 여진의 누르하치는 명나라를 붕괴시킨 후 중국 청나라를 탄생시키고 임진왜란을 일으켰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몰락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막부가 정권을 장악했는데 우리 ‘조선’은 개혁하고 변신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라의 기득권 세력들은 여전히 왕조의 대를 세습하기 여념이 없었고 그 결과 조선은 이후 여진 오랑캐가 장악한 중국 청나라에 의해 왕 ‘인조’가 삼배를 올리고 아홉 번의 머리 찧는 굴욕과 치욕의 병자호란을 맞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지우고 싶은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강한 조선, 당당한 조선, 국력이 강한 나라를 꿈꾸던 우리의 영웅 이순신의 난중일기가 아닌 심중일기는 상상과 소설의 허구를 벗어나 새로운 역사를 바로 세운다는 큰 뜻과 새해 초심의 마음으로 읽게 된 책입니다. 이순신의 심중일기는 1597년 정유년 3월30일로부터 시작됩니다.백성들이 거리로 몰려 나와 임금의 행차를 부르짖으며 가로막고 통제사 이순신을 석방하라 외치고 있습니다.
조선의 장점은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어느 누구보다도 탁월하다는 점, 임진년 초기 전쟁은 왜의 파주지세였다면 날이 갈수록 조선의 관병과 의병의 기세는 달라졌습니다. 왜에서는 전혀 생각도 못한 의외의 백성 군대 그들의 전쟁 참여는 왜군에게 예기치 못한 치명적 손상을 입혔고 임진년의 의병은 참으로 훌륭했습니다. 이순신의 선택으로 말미암아 조선은 패전을 모면했고 남해 바다를 장악하지 못한 왜는 배후의 불안감으로 주저앉고 말아 계사년의 이순신 수군 함대는 연전연승을 거듭합니다.
1권에서는 조선에 몸 바친 일본인 사야가, 조선으로 귀순한 김충선의 이야기가 흥미로웠습니다. 사람이 사나이로 태어난 것은 다행한 일이나 불행하게도 문화의 땅에 태어나지 못하고 오랑캐 나라에 태어나서 끝내 오랑캐로 죽게 된다면 어째 영웅으로 한이 되는 일이 아니랴 하고 눈물짓고 침식을 잊고 번민한 인물입니다. 우리는 싸움을 원치 않으니 투항하겠다라는 의사를 밝히고 부하 500면과 함께 조선으로 건너가 투항해 이를 선조는 기뻐하며 벼슬을 주고 전장에 활용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아, 눈물이다. 자신의 조국을 당당히 배신하고 칼과 총을 귀신처럼 다루며 포화의 전장을 누비던 전사(사야가)가 지금 눈물을 쏟아내고 있었다. 통곡이라 불러지는 울음이다. ---p.27 반역
우리 역사에서 가장 아픈 기억은 임진왜란과 한일 강제 병합을 꼽을 수 있습니다. 둘다 일본이 우리 영토를 차지하겠다고 벌인 일이며 이는 우리에게 엄청난 고통을 안겨 주었습니다. 지금도 잦은 지진과 해일 등으로 일본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니 이웃한 우리나라가 얼마나 부럽고 침략의 대상이었을지 생각 됩니다. 한국전쟁보다 더 긴 시간보다 인적, 물적 손실을 입고 수도가 함락되고 왕이 피난을 가는 민족의 자긍심에 깊은 상처를 남긴 일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이순신을 재평가 하는 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시중에 나와 있는 상당수의 책에서 오류를 바로 잡는다는 취지라고 합니다. 그의 성장배경은 결코 가난하지 ㅇ낳았다는 점, 관직 생활 중 상관들과 불편한 관계도 있었지만 스스로의 능력으로 인정받은 점 등입니다. 심중일기는 그런 이순신의 생애와 업적을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배경과 그 당시의 인물들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의미가 되는 책입니다.
명량, 한산에 이어 노량까지 이순신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가 요즘 인기리에 상영중입니다. 아직 관람은 하지 못했지만 이번 ‘노량’에는 인간 이순신의 진실한 삶을 보여주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이순신은 조선의 국왕 세종대왕과 더불어 대한민국 국민이 가장 존경하는 위인 중의 한 분입니다. <이순신의 심중일기>는 두권으로 인간 이순신은 왕의 불신에 절망하고 당쟁의 희생양으로 전락하여 죽음의 위기에 직면하는 인간으로서 고뇌하고 갈등하는 내용이 이 책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풍전등화의 조선을 구한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심중일기를 통해 복잡하고 어지러운 지금의 현실을 어떻게 지혜롭게 살아가야 할지 생각하게 하는 책으로 좋은 기회에 읽게 되었습니다. 2권으로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