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술술 읽히는 군주론 - 新譯 君主論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세키네 미츠히로 엮음, 이지은 옮김 / 힘찬북스(HCbooks) / 2024년 8월
평점 :

우리시대 리더를 꿈꾸는 사람들의 바이블!
한 나라의 군주는 권력을 얻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아도 되며, 그 수단과 방법은 때에 따라서 비도덕적이어도 된다는 마키아 벨리의 주장이지만 단서는 있습니다. 백성들의 자유나 안전 같은 긍정적인 결과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비도덕적 수단은 일시적, 불가피 해야 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군주론의 큰 의미는 현실에 입각한 정치를 했다는 점에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꼭 필요한 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군주론이라는 다소 무거운 명제가 어지럽고 복잡한 세상을 살아가는 지금 필요한지도 모릅니다. 힘찬북스에서 출간된 『술술 읽히는 군주론; 新譯 君主論』 은 그동안 어렵다고 포기했던 많은 독자들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 시대의 ‘진짜 주인’이 누구인가를 묻는 책!
군주론은 이탈리아 외교관이자 정치철학자인 니콜로 마키아벨 리가 저술한 16세기 정치학 저술서로지난 500년 동안 꿋꿋하게 지켜온 명성에도 불구하고, 책을 쓸 당시 이탈리아의 복잡한 정세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본문 속 수많은 각주로 인해 동서양을 떠나 현대 독자들에게는 접근이 어려워 아마도 많이 읽히지 못한 책입니다. ‘군주’란 나라를 다스리는 최고 지위에 있는 사람을 가리키지만 어느 단체나 기업 등 모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정치 사상가이자 피렌체 공화국 정부의 관리로 활약한 인물입니다. 1513년경에 집필한 『군주론』은, 인간 심리를 날카롭게 해석하고, 지배자와 통치자의 행동을 설명하는 명저로 지난 500년 동안 세계인의 필독서가 되어 지금까지도 독자들이 많이 찾는 책입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이상적인 군주에 관해 논한 『군주론』을 어떻게 현재 21세기의 현실에 적용할 수 있을지 이 책을 현대 사회에 적용해 보면 ‘리더는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군주, 리더의 중요성을 우리는 몸소 체험하고 있습니다.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 사리사욕에 눈이 멀고 귀를 닫고 있다면 국민들은 어떻게 될지 이 책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단지 운이 좋은 것만으로 군주가 된 사람들은, 노력하지 않고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하더라도,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책에는 다레이오스 왕이 자기 신변의 안전과 영광을 위해 직접 군주로 모신 자들이 그 예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스의 이오니아나 헬레스폰토스의 도시국가를 맡게 된 사람들이고 병사들을 매수하여 지배자의 자리에 오른 로마 황제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자들은 지배권을 물려준 인물의 의지와 운의 덕을 입었을 뿐 하지만, 의지도 운도 매우 변덕스럽고 변하기 쉬우며, 불안정했습니다. 마키아벨리는 정치를 하는 자는 때로는 냉담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군주라면 냉혹하다는 등의 악평에 전혀 개의치 말아야 하며 잔인한 인물로 소문난 체자레 보르지아였지만 그 냉혹함이 지배 영토인 로마냐 지방의 어지러운 질서를 회복시켰습니다.

갈등이 발생할 때 갈등을 피하려고 하는 리더, 아니면 문제를 직면하고 대응하는 공격적인 리더 중 많은 사람들은 어떤 리더를 원할까요? “해야할 것을 위하여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것을 돌보지 않는 자는 자기의 생존만이 아니라 자기의 파멸을 가져온다.” 이 말은 마키아벨 리가 말하는 군주가 현실에 따라야할 필요성을 강조한 말입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라고 하면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권모술수의 원전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습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대왕이 이 책을 악덕의 책으로 비판하면서도 군주로서는 마키아벨리즘적 정책을 취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유명합니다.
마키아벨리즘은 그것으로부터 아무리 눈을 돌리고 싶어도 정치의 현실의 일면을 찌르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종교나 도덕의 세계로부터 독립한 정치의 세계를 발견한 것이 마키아벨리가 근대정치학의 기초를 정립했다고 말해지는 이유로 이 책이 가치가 있다고 독자는 생각합니다. 다른 책들에 비해 비교적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쓰여져 있어서 군주론을 처음 읽는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협찬받은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