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으로 구성으로만으로도 90년생에 대해 많은 것을 들려줄 것 같습니다.
먼저 '90년생의 정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저자는 우리로 하여금 90년생을 알아가 보도록 이끕니다.
그런데, 90년대 초반생과 후반생의 특징이 많이 다르다는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 잠시 주춤하게 됩니다. 정말 디테일하게 보아야 할 차이가 있나 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모보다 가난한 세대라는 '90년생의 일자리 유감'은 정말 현재 진행형인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서 기성세대들은 아마도 많은 고민을 하고, 사회적인 토른 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기회가 없기에, 무의미한 무민 세대가 되어버린 90년생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회사의 신입사원들을 가만히 생각해 보게 됩니다.
'온라인 친구도 친구다'라는 말을 읽으면서, 기성세대와 확실히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90년생의 살롱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부분에서 만나게 된 '소셜 살롱'이라는 개념은 무척이나 흥미롭습니다. 단순한 친목도모를 하는 모임이나 카페가 아니라, 취향 중심의 관계를 가지는 모임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취향 위주의 소셜 살롱에는 2030세대뿐만 아니라 40대 이상도 많다는 이야기는 더욱더 흥미롭습니다. 사실 저도 제 취향에 맞는 독서 샬롱에 나가고 있으니 말이죠.
그렇다면, 이러한 90년생들은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이에 대해서는 'PART 02. 90년생의 뇌구조'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이야기인 '조금 달라도 괜찮아'는 정말 90년생을 대변하는 말 같습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그들의 가치관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국민연금에 대한 이야기를 지나서 만나게 되는 레트로 문화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습니다. 90년생이 여행하는 트렌드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결과만을 중시하는 가치관이 형성된 90년생을 이해할 수 있는 부분도 나옵니다. 90대가 얼마나 공정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는지를 살펴보는 부분도 아주 잘 설명되어져 있어서 좋았습니다. 단순히 언론상에서 현재의 2030세대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공정이라는 들을 때와는 다른 느낌이 들었습니다. 90년생이 왜 공정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공감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이 책을 통해서 보고 싶었던 '90년생이 일하는 방식'을 만나게 됩니다. 새로운 신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신입사원들과 많이 일을 같이 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번 장이 가장 궁금했습니다.
'칼퇴는 계약상 보장된 권리다'라는 꼭지에서 회의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공감이 가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세대를 떠나서 충분히 공간가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수평적 사고에 익숙하다', '보상과 착취를 명확히 하라', '90년생을 붙잡지 마라' 등은 정말 늘 들어왔던 이야기인데, 이 책을 통해 더욱더 확실히 알게 되었습니다.
'정답을 구체적으로 알려줘라'는 정말 팀장급들의 분들은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꼭지입니다.
그리고, '90년생이 사는(buy) 법' 에서는 그들이 어떻게 소비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90년생이 가장 많이 보는 콘텐츠가 게임이라는 것을 보고는 우와 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기성세대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또한 브랜드보다는 인플루언서 마켓이라는 꼭지에서는 정말 소비의 새로운 형태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편리미엄, 비싸도 편리하면 산다'라는 꼭지는 1인가구가 많아지는 현상을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90년생이 픽하면 기성세대가 산다에서는 정말 공감을 하게 됩니다. 실제 저의 이야기 같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장인 '90년생에게 파는 법'은 관련 상품을 기획하고 있거나, 마케팅을 하고 계신 분들이 읽으면 유익할 부분 같습니다.
먼저, 밀레니얼 맘과 대디를 공략하라는 꼭지는 역시나 입니다. 90년생의 아이들을 알파 세대라고 하는데, 정말 놀라운 세대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세대들을 위한 90년생 엄마, 아빠들의 지갑 열리는 것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습니다. 또한 그들이 어떻게 콘텐츠 마케팅을 이용하는지, SNS를 활용하는 지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이 책은 이렇게 90년생, MZ세대들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책입니다. 하나하나의 단편이 가독성이 뛰어나며,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책을 통해 MZ 세대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대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MZ세대트렌드코드
#고광열
#밀리언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