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타인지, 생각의 기술 - AI 시대, 직원부터 CEO까지 메타인지로 승부하라
오봉근 지음 / 원앤원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메타인지? 언젠가 한번은 들어본 것 같은 단어!
아! 맞다. <메타인지 학습법(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만든다)>라는 책에서 들었었네요.
책을 많이 읽다보면, 새로운 단어를 빨리 접하게 되면서 정말 놀라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메타인지가 그러했던 기억이 납니다.
메타인지가 그럼 무엇일까요?
"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순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인간만이 가진 메타인지의 힘이다." / 아주대학교 김경일 교수
위의 한 문장으로 메타인지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메타인지가 무엇인지, 메타인지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직관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 책이 저자는 메타인지를 메타인지적 인식, 메타인지적 컨트롤, 사회적 메타인지로 크게 나누고 있다. 그리고, 이 각 요소별로 세부 요소로 '노왓, 노하우/노와이, 노웬/노웨어, 계획, 모니터링, 평가, 의도파악, 인지흐름 센싱, 반응 예측'을 이야기합니다. 정말 메타인지를 이렇게나 분석할 수 있구나하고 놀라게 됩니다.
그리고, 이 책의 저자는 메타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핵심 질문을 정의하라"
업무를 함에 있어서 메타인지를 향상하는 방법으로 제일 먼저 등장하는 문구입니다. 저자도 핵심질문에 대한 정의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손꼽고 있습니다.
그러하니, 우리가 질문하는 일에 얼마나 서툰지를 알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핵심질문을 하는 메타인지적 사고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책의 나머지 부분은 메타인지를 사례를 들려주면서, 우리가 어떻게 메타인지에 대해 생각하고 이를 활용할 것인지를 알려줍니다.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우리의 직업 대부분이 사라질 것이라는 미래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저자는 메타인지 분야는 절대 AI가 대체할 수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하기에 조직에 메타인지 DNA를 심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글로벌 기업들의 조직적 메타인지 사례는 정말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메타인지를 활용하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 확실히 이해하도록 도움이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이 책은 메타인지가 무엇이며, 이를 업무에 활용하고, 조직적 메타인지를 어떻게 기를 지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주고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지금과 같은 위기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 개인 뿐만 아니라 조직적 메타인지를 시작하는 계기를 만들 수 있는 책으로 주변에 권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