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록 재미있는 수학이라니 -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매혹적인 숫자 이야기
리여우화 지음, 김지혜 옮김, 강미경 감수 / 미디어숲 / 2020년 7월
평점 :
사실 수학이라는 과목은 학교를 졸업하고는 쓸모가 없어 보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수학에 대한 흥미를 가진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일상 생활 속에 수학이 곳곳에 숨어 있다는 것을 안다면 조금은 흥미롭지 않을까요?
<이토록 재미있는
수학이라니>라는 책은 그런 면에서 점수를 줄만 합니다.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매혹적인 숫자 이야기’라는 부제도 눈길을 끌고 말입니다.
보통 책을 고를 때, 저자와
저자가 쓴 프롤로그를 보고 많이 고르게 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사실 제게 익숙하지는 않습니다. 저자가 쓴 프롤로그의 제목이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재미있는 수학의
세계!’ 입니다. 일단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라니 호기심이
발동하네요.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을 level 1 에서부터 5 까지 한 계단씩 올라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5장이 가장 어렵겠지.”라는 생각을 하셨다면, 정답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겠습니다. 개인의 호기심이나 수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의 차이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Level 1 에서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건, ‘메르센 소수’입니다. 아마, 수포자들은 벌써 머리 아프다고 하실 것 같습니다. 소수의 정의도 기억이 나지 않을 수도 있으니 말이죠. 저자는 메르센
소수를 찾는 것을 보석을 캐는 것과 비슷하다고 이야기합니다. 비트코인을 채굴한다고 하죠. 그리고, 소수에 대한 저자의 다음 표현은 무척이나 시적입니다.
수많은 소수와
관련된 명제들에서 말해주듯이 그것은 마치 대자연과 인류의 농담처럼 느껴진다.
수학의 보석이라고 부르는 메르센 소수에 대해 알아본 다음에, 빵 분배, 소파 옮기기 등의 문제가 나옵니다. 앗, 머리 아퍼!! 사실 수학에 대한 좀 더 깊은 사전 지식이 있어야 이 부분은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Level 2 는 완벽한
입방체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오일러 큐브라는 또 생소한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그런 다음 만나는 테셀레이션 문제는 참으로 흥미롭습니다. 이 책을
통틀어 제게는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었습니다. 무심코 길을 걸어가다가 바닥에 깔려있는 보도 블록이나 타일을
보신 적이 있나요? 다양한 모양의 도형들이 빈틈없이 채워져 있지 않나요? 좀 흥미가 생기시죠? 이렇게 평면을 빈틈없이 채우는 도형을 찾는
것이 이 테셀레이션 문제입니다.
Level 3 는 ‘골드바흐의 추측’ 이라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골드바흐의 추측: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명제가 일상생활에서 어떤 흥미로운 것을 제공하는지는 좀 생각해 봐야
했습니다.
달팽이의 집에 있는 문양, 회전계단을
보면 무슨 생각을 하시나요? 수학자라면 아마도 대수나선(로그스파이럴)을 먼저 떠 올릴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Level 3 에서 가장 흥미로웠습니다.
Level 4 에서는
수학의 위기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제 2차 수학위기’인 무한소와 관련된 것입니다. 무한소? 이건 또 뭐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연속체 가설 등의
이야기가 이어서 나오는데, 사실 너무 어려워서 이 부분은 패스했습니다.
Level 5 에서는
암호학에 빠르게 빠져들도록 이끕니다. 인터넷뱅킹에서 비밀번호, 공인인증서의
암호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말입니다. 쉽게 따라가지지는 않습니다. 아마, 이 분야에 종사하시는 분이라면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수학의 3대 상으로
‘필즈상, 울프상, 아벨상’이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부분은 수학계에 종사하지 않는 저에게는 새로웠습니다.
이 장의 마지막은 피타고라스 정리로 장식하고 있습니다. 학창시절 배운 정리라서 그냥 넘기려다가 하나의 그림을 보고는 좀 더 읽어 보았습니다. 피타고라스 정리도 결코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덮으면서, 수학에
대한 흥미가 생겼는지에 대해서는 비밀로 하고 싶습니다. 수학이라는 학문은 역시나 쉬운 학문은 아닌 듯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은 인류 발전에 기여해 온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하기에, 수학이 우리 주변에서 익숙하게
접할 수 있는 물건이나 분야에서 어떻게 쓰이는 지를 좀 더 쉽게 알려주는 책이 출간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