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빚 걱정 없이 살고 싶다 - 죽도록 일해도 빚만 늘어가는 3040을 위한 부채 탈출 프로젝트
심효섭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자주 듣게 되는 말이 하우스푸어, 에듀푸어 등이다. 이러한 말들의 속사정을 보면 대부분이 과다한 채무로 인해서 가진 집을 팔아도 부채를 갚고 나면 남는 것이 없다나 아이들 사교육비로 지출되는 비용이 과다하다 보니 정작 부모들의 은퇴준비는 되지 못하는 것을 예기하는 것이다.

 게다가 신용카드만 있으면 쉽게 물건을 살 수 있는 사회이다 보니, 빚 권하는 사회가 되어 버려서 이미 우리들은 이런 환경에 길들여져 있지 않은가!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우리네 3040을 생각해서 나온 책이 이 책이 아닌가 한다. 정말 우리들이 짊어 지고 있는 부채라는 것에서 어떻게 하면 벗어날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해서 보게 된 책이 바로 이 책 [마흔 빚 걱정 없이 살고 싶다] 였다.

 그런데, 책의 앞부분은 온통 빚을 지게 된 사람들의 예기, 빚으로 인해서 가족까지 해체된다는 등의 예기, 카드 현금서비스를 받기 시작한 다음부터 그 금액이 늘어나서 상당한 금액이 되어 버린다는 예기 등을 들여 주고 있었다. 그래서 살짝 실망감이 들기도 했다. 부채를 없애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고 해 놓고는 부채가 늘어나는 사례들만 잔뜩 예기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책을 다 읽고 나서 생각해 보니, 저자는 먼저 독자들에게 부채의 심각성, 그리고 우리가 미처 부채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들까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서 이런 사례들을 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어떤 것들이 빚이 되는 것인가를 살펴 본 다음, 저자는 빚 갚기 모드에 올인하라는 것을 예기하는데, 이것이 이 책의 핵심이 아닌가 한다. 먼저 현금 흐름을 만들어야 한다는 부분에서는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지고, 소비 의식을 바꾸어서 이미 우리들에게 익숙해져 있는 빚지기 좋은 습관과 체질을 개선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육체적인 다이어트 만큼이나, 이 부분은 많은 의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교육비, , 신용카드, 보험 등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예기해 주는데, 내가 가진 각종 보험과 신용카드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책은 자신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지금까지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서 진 빚에 대해서 반성을 하게 되며, 앞으로는 빚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 지에 대한 생각을 하도록 이끌어 주는 책이었다고 생각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년 후 내 재산 - 부동산에 떨고 주식에 배신당 한 사람들을 위한 처방전
김유경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국이 무제한적으로 돈을 푸는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는 지금, 지난 3년간을 돌아보면 정말 시원치 않은 재테크 성적표를 받아 들고, 앞으로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을 하다 보니 만나게 된 책이 이 책 [3년 후 내 재산]이었다.

 이 책은 앞으로의 경제 상황을 3S – 장기불황(Stagnition), 저성장(Slowflation), 소득감소(Salary Cut) – 로 규정하고, 이러한 거시 환경 속에서 자신의 금융자산을 지키고, 돈이 움직이는 길목에 그물을 쳐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다.

 이 책은 총 7가지 자산에 대해서 예기를 하고 있는데, 그 면면을 살펴보면, 우선 처음으로 부동산에 대해서 예기를 하고 있는데, 이미 부동산 시장이 하락추세에 접어들었음은 인지해야 하며, 생산인구의 감소가 가져올 부동산 시장의 변화, 그리고 앞으로 부동산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어 제 2의 월급통장으로 만드는 방법을 예기하고 있다.

 이렇게 부동산을 예기한 다음, 주식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저자는 2013년의 증시를 상승 쪽에 무게를 두지만, 보수적인 운영을 할 것을 당부하면서,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를 주시하라고 한다. 주식 다음으로 채권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브라질 채권에 주목하라는 저자의 글은 일선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PB나 경제신문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내용들이라서 새롭지는 않았지만 그 나름대로의 의미는 있었다.

 채권 다음으로는 원자재, , 예적금, 보험을 예기하는데, 각각이 우리가 재테크 환경에서 한번쯤은 접해야 하는 상품들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여 들려주고 있어서 고마운 부분이었다.

 이렇듯 이 책은 7가지 재테크 자산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책 한권으로 담기에 방대한 내용을 요점만 정리하여, 앞으로 3년을 대비할 수 있는 지혜를 들려주고 있다는 데 있어서 이 책의 가치를 둘 수 있을 것 같다.

 지금 고민하지 않으면 또 3년 후 비슷한 성적표를 받아 들고 후회를 할 것 같다는 생각에 올해 초부터 여기 저기 금융회사를 다니고 있는 분들에게는 이 책이 또 하나의 PB와도 같은 역할을 하지 않을까 하여 추천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장의 챔피언 - 삼성, 아우디, 구글은 어떻게 글로벌 기업이 되었나
The Growth Agenda 지음, 김정수 옮김, 뿌브아르 경제연구소 감수 / 유아이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표지에 트로피를 들고 있는 손이 보이는데 이 손 위로 보이는 이 책의 제목 “Growth Champions: The Battle for Sustained Innovation Leadership”이 보이는데 정말 이 책이 무엇을 우리들에게 예기하고자 하는 지를 한 순간에 파악할 수 있는 제목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현재의 무한 경쟁의 글로벌 환경 속에서 진정한 성장의 챔피언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해서 그 위치에 까지 이르게 되었는지, 그러한 기업들에는 또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를 우리들에게 보여 주기 위해서 한 사람의 경영학자나 칼럼리스트가 쓴 책이 아니라, 이 책은 유명 경영대학원 교수들과 기술최고책임자, 마케팅최고책임자, 전략책임자, 그리고 정책 자문관들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이 책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많은 아이디어와 노력을 했다는 것이 또 하나의 매력이 아닌가 한다.

 지속성장을 논하는 이 책에 우리나라의 삼성전자가 들어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출간된 것이라 그런지 아우디와 더불어 제일 먼저 거론되고 있는 것도 정말 이 책을 읽을 수 밖에 없는 끌어당김이 있었다. 우선 디자인을 성장동력을 삼은 아우디와 삼성전자의 예기에서 어떻게 해서 지금의 아우디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삼성전자의 갤럭시가 왜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는 스마트폰의 위치에 올랐는지를 살펴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의 구성은 이러한 과거의 성장동력을 살펴보는데 그치지 않고, 앞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어떤 혁신이 있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는데, 이 부분은 정말 기업을 경영하거나, 현재 경영학을 공부하는 학도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삼성전자와 아우디를 거쳐서 만나세 되는 회사들로는 아마존과 구글, 레고와 애플, 네슬레와 펩시코, 레킷 벤키저와 P&G, 스타우드 호텔과 인디텍스, 타타와 바르티, 바스프와 셀, 롤스로이스와 ARM홀딩스, 나라야나 흐루다얄라와 노보 노르디스코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다양한 분야의 국가도 각기 다른 회사들을 분석해서 어떻게 성장했는지에 대한 예기와 더불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이끌고 있다.

 이렇게 성장의 챔피언들을 살핀 다음 우리들에게는 미래를 위한 교훈이라고 들려주는 이야기들은 이 부분만을 떼어 놓고도 충분히 책 한 권의 내용이 될 만한 그런 아이디어들을 던져 주고 있다. 이 책은 혁신기업을 살펴보는 것에서만 그치지 않고, 이러한 혁신을 통해 성장한 기업들이 앞으로 지속 성장 모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혁신이 또 필요할 것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져준다는 데 더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책의 마지막 장을 덮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계좌 - 돈에 관한 다섯 가지 착각
이지영 지음 / 살림Biz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이 돈을 쓰면서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흔히 공돈이라고 생각되는 보너스 등은 너무나도 쉽게 연말 여행이나 일년 내내 봐 두었던 가방이나 옷을 사는데 쓰고, 주식에서 이득을 보다가 떨어져서 본전으로 돌아오면 손실이 난 것처럼 느끼는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명쾌하게 설명해 주는 말이 없었는데, 이번에 보게 된 책 [심리계좌]는 이러한 우리들의 돈에 대한 생각을 심리계좌라는 표현으로 명쾌하게 해 주고 있었다.

 이 책은 우선 우리들이 돈에 대해서 하고 있는 착각에 대해서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그 다섯 가지 착각에는 소득 착각, 저축 착각, 소비 착각, 자산 착각, 부채 착각이 있었다. 정말 우리들이 돈을 벌면서 가지게 되는 소득 착각이라는 것에 대해서 눈을 뜰 수 있었다. 보이지 않는 소득에도 이름표를 붙여서 생각해야지만 나중에 실직을 한다던가 할 때에 대응을 할 수 있다는 것에서 공감 100%의 끄덕임을 하게 되었다. 저축착각에서는 정말 빚이 있는데도 저축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소비 착각에서는 신용카드와 세일의 맹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산 착각에 이르러서는 부동산을 마음 속 자산 뿐이라는 것을 빨리 파악해야 함을 알게 되었으며, 보험에 대한 생각도 다시 해 보게 되었다. 특히나 이 책에서 가장 공감을 가지게 된 것이 부채 착각 부분이었는데, 부동산 대출 2억은 그냥 2억이 아니라, 거치기간 동안에 갚아야 하는 이자와 그 이후에 갚아야 하는 원리금까지 같이 생각해서 그것을 부채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에서 무릎을 치게 되었다.

 이렇게 1부에서 우리들이 흔히 하는 돈데 대한 착각을 설명한 다음, 저자는 2부에 돈 걱정 없이 사는 법에 대한 예기를 하고 있다. “벌기, 쓰기, 모으기, 불리기, 심테크의 다섯 가지를 예기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쓰기에 이르러 절약한다는 것과 가계부를 쓴다는 것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새로운 가계부 작성법을 예기하고 있는데, 정말 도움이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긍정을 하게 되는 부분도 있었으며, 다소 한 쪽으로 치우친 감이 없지 않은 부분에서는 고개를 살짝 기울이게 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심리계좌라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장면으로 읽는 세계 명작선 2
알퐁스 도데 외 지음, 박정임 옮김 / 부광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어릴 때 세계문학은 아마도 세계문학전집이나 국어 교과서에서 읽은 기억이 대부분이다. 어릴 때 읽으면서, 왜 이런 소설들이 명작인지에 대해서 감성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그 소설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가 어떠하며,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하나 하나 해부하여 읽은 기억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그런지 세계 명작이라고 생각하면 교과서가 먼저 떠 오르는 듯 하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서 만나게 되는 명작들은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듯 하다. 읽은 다음 충분히 사색하면서 즐길 수 있기에, 그리고 마음으로 느끼고 그것을 음미할 수 있기에 문학의 아름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가게 되는 듯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이미 알고 있는 작가도 있지만 다소 생소한 북유럽의 작가들의 작품을 엮어서 우리들에게 알려 주고 있어서 고마운 책이었다. 알퐁스 도데와 벤저민 프랭클린을 제외하면 정말 학교 다니면서 들어보지 못한 저자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으로 읽었는데, 각 소설의 첫 머리에서 읽은 작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책을 읽는데 도움이 되기도 했다.

 9편의 작품 중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은 스페인의 소설가 비센테 블라스코 이바녜스의 [다랑어 낚시]와 노르웨이 작가인 크리스찬 엘스터의 [페르디난드 아저씨]였다. 다랑어 낚시는 아들과 함께 먼 바다로 파도를 헤치고 다랑어 낚시를 하러 가서, 아들은 파도에 잃어 버리고 다랑어 한 마리를 잡아서 돌아오는 아버지의 비통함과 더불어, 해안의 나이트클럽에서 즐기는 사람들에 대한 비판의 눈초리를 같이 느낄 수 있는데, 이 소설을 읽으면서 한국의 예전 항구도시의 풍경이 오버랩되었다.지금도 바다사나이들의 삶은 이와 비슷하지 아니할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그리고 페르디난드 아저씨에서는 우리네 가족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사유를 할 수 있었다. 언제나처럼 멀리 돈 벌러 나간 가족들이 고향으로 돌아올 때는 성공해서 부자로 돌아올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그들로 하여금 고향에 돌아오지 못하게 하고, 막상 고향에 돌아왔다가도 자신이 그동안 벌어서 모았던 전 재산을 가족들에게 주고 떠나는 페르디난드 아저씨의 뒷모습에서 우리네 가족들의 모습이 겹쳐 보였다.

 책의 모양이 앙증맞게 작아서 손에 쏙 들어오는 것이 출퇴근시 읽기에 부담이 없으며, 또한 각 예기가 그렇게 길지 않아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면 무난히 읽을 수 있는 그런 책이었다. 명작이라는 소설들을 통해서 감성을 적시는 그런 시간을 가지기에 더 없이 좋은 책으로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