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리더를 따를까 - 리더와 추종자의 심리를 파헤친 책
마이클 맥코비 지음, 권오열 옮김 / 비전과리더십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왜 리더를 추종하는 지에 대해서 한번도 생각해 본적 없이, 리더가 되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하며, 리더는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다방면의 접근에 의한 책만을 읽어오진 않았던가!
이 책은 우리들이 왜 리더를 추종하며, 그러한 추종의 관계도 시대의 흐름과 필요에 따라 필요한 리더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해 예기해 주고 있다.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이 리더를 세분화하며, 또한 상황별, 시대별 그 필요성에 따라 다양하게 인용하며, 여태 우리가 알던 리더들을 이 범주에 의해 분류하여, 우리가 왜 그들을 따르게 되었는지에 대해 예기해 주고 있다.
l 전략적 비전제시형 리더는 강렬한 목적의식과 함께 비전을 전달한다.
l 실무형 리더는 조직의 체계를 세우고, 에너지를 주입함으로써 비전을 현실의 결과물로 변형시킨다.
l 네트워크형 리더는 이해와 신뢰를 촉진하여 다양한 유형의 전문가를 협력자로 탈바꿈시킨다.
감정의 전이를 통한 리더의 모습을 아버지 같은 리더와 형제 같은 리더로 분류하여 우리들에게 어떤 리더가 진정 우리들에게 필요한 리더이며, 어떻게 하여 추종자들이 이러한 리더들의 모습을 보고 따르는 지에 대해 심도 있게 써 내려간 저자 마이클 맥코비의 은유와 직설이 돋보이는 책이다.
그러면서 리더는 자신이 이끄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러하기에 리더의 성격지능을 높이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리더-추종자 관계를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독자들에게 설명함으로써 그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의 후반부에 있는 사람을 이해하려면 들을 줄 아는 마음이 필요하다라는 부분은 아마도 리더의 한 덕목으로 정말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은 아닌가 하고 다시 한 번 생각하도록 해 준다.
이 책의 주제는 현대와 같은 격동의 시대에 공동이익을 위해 정말 리더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러한 리더의 상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람들과 비교하여 독자들에게 이해를 구하고 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전략적 비전제시형 리더로, 대통령 워싱턴은 실무형 리더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 등을 비전제시형 리더로 분류한 부분은 정말 재미있는 부분이었다.
책의 중간에는 정말 시대적으로 짐 콜린스의 저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에서 언급된 조금은 물러나 않은, 수줍은 리더들에 대한 것들이 그 시대에 많은 기업들이 앞만보고 달려가다 파산하는 그런 시대적 상황이 반영된 것이라는 것을 들어서 리더의 모습, 그 시대가 원하는 리더의 모습도 사회상과는 떨어질 수 없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역설적으로 예기하고 있다.
다소 책 두께와 주제가 쉽지는 않은 책이지만, 우리가 정말 리더가 어떤 사람이며, 그러한 리더가 가야 할 길이 어떤 길이며, 또한 자신은 다양한 리더의 삶 중에서 어떤 것을 추종하고 있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그런 책이며, 또한 서양적인 관점에서 그냥 물질문명 및 상품문명의 리더가 아닌, 앞으로 다가올 세상에서의 리더에 대해 진지하게 독자들에게 질문도 던지는 그런 책으로, 기업내에서의 리더-추종자의 관계를 들여다보며, 직원들과의 관계를 생각해보고 싶은 CEO분들이나, 조직 내에서 리더의 모습을 갖추어가고 싶은 팀장급분들에게도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