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티브 잡스의 위대한 선택 - 애플은 10년 후의 미래를 생각한다
하야시 노부유키 지음, 정선우 옮김 / 아이콘북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이미 우리가 주위에서 익숙하게 듣게 되는 스마트폰이라는 용어, 그리고 그 스마트폰이라는 것에 있어서 후발 주자인 아이폰을 만들어 전 세계의 IT관련 종사자들뿐만 아니라, 대중들에게까지 새로운 무언가를 보여준 스티븐 잡스의 예기를 생각하며 이 책을 읽게 되었다.
특히나, 아이폰의 공격에 전전긍긍하던 삼성전자가 갤럭시 S라는 스마트폰으로 대반격에 나서고 있는 지금, 이 책이 세간에 출간된 것은 그 시기가 참으로 미묘하다고 할만하다. 또한 이런 책이 한국인에 의해서 씌여진 것이 아니라, 일본인에 의해서 씌여진 것이라는 점, 그리고, 이 책의 근간에 흐르고 있는 아이폰에 대한 경외감과 더불어 위기감까지 – 어떻게 보면 한국의 삼성전자나 LG전자가 아이폰이 시장에 처음 나왔을 때 가졌던 그런 감정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된다.
이 책은 스티브 잡스의 일개 개인의 예기가 아니고, 아이폰이 이 세상에 어떻게 해서 나오게 되었는지에 대한 예기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폰이 어떻게 모바일 비즈니스를 변화시켰는지를 보면서 정말 애플의 마케팅 전략에 놀람을 금할 수 밖에 없었으며, 앱스토어를 통한 콘텐츠 비즈니스와 전통적으로 이동통신사에 따라 가야 했던 휴대폰 제조사로서의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이야기도 정말 재미있었다. 창조적 파괴라는 말이 어울리는 아이폰의 등장은, 이미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던 기술의 집약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창조가 되었으며, 이에 걸맞게 단일 핸드폰 모델로 전 세계 시장의 1% 점유율을 기록했다는 예기를 읽으면서는 전율이 일었다.
<아이폰 탄생의 비밀편>에서는 그랜드 디자인이라는 커다란 틀과 마이너스 디자인이라는 새로운 용어와 관점이 재미있게 다가왔다. 우리들은 무언가를 디자인할 때 좀더 많은 기능을 더하거나, 좀더 많은 버튼 들을 추가함으로써 기능의 다양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아이폰의 디자이너들은 버튼의 단순함을 추구했으며, 이런 것들은 사용자의 편리함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조작 방법을 줄임으로써 새로운 조작 체계를 빠르게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이것이 아이폰이 전 세계에 빠르게 알려지게 된 이유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고 했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의 요구 사항은 빠르게 변화하며, 이를 충족하기 위한 디자이너들의 노력과 개발에 대한 의지도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은 이미 주지하는 사실이지만, 아이폰이라는 새로운 물결은 사람들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게, 그리고 그 제품이 가진 무한함으로의 연결이 가져다 주는 효과를, 그리고 단순한 디자인에서 오는 도저히 경쟁사가 copy하지 못하는 디자인에 대한 예기들을 이 책을 통해서 들을 수 있다.
기존의 핸드폰이 그냥 제조사에서 만든 기능에 의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면, 아이폰은 핸드폰 보유자 개개인의 새로운 핸드폰이 사용자에 의해서 재탄생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에,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이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된다.
지금 내 손안에서 들려 있는 스마트폰이 다음 세대에는 어떻게 진보할 지는 몰라도, 그 때에도 아마 새로운 시각의 창조가 이뤄지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는 것은 아마도 이 책이 가져다 주는 창조적 파괴에 대한 시각과 아이폰의 탄생에 대한 예기 때문은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