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소경제 - 2050 탄소배출제로, 수소가 답이다
이민환.윤용진.이원영 지음 / 맥스미디어 / 2022년 2월
평점 :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는 다큐멘터리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정말 화석연료의 사용에 의해서 지난 100여년간 뜨거워진 지구가 한계점에 이르기 전에 어떤 조치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생각을 하다 보면 이르게 되는 것이 바로 친환경 에너지입니다. 풍력, 태양광 등의 친환경 에너지를 살펴보다 보면, 만나게 되는 것이 또한 수소경제입니다.
그럼 현재 수소경제는 어디까지 와 있으며,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까요?
이에 대한 해답이 바로 이 책 <수소경제>에 실려 있습니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부. 수소: 미래 에너지 사회의 필수 매개체
2부. 수소는 어디에 쓰이나
3부. 수소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유통하나
4부. 수소사회는 어떻게 오나
우선 1부에서 저자들은 기후변화에 의해,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더 이상 뜨거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탄소세와 탄소 국경세가 도입되고, RE100 이라는 새로운 조건이 산업계에 등장했다고 알려줍니다.
그런 다음에, 풍력과 태양광을 통한 전기의 생산과 에너지 저장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해 줍니다. 막연하게 친환경 에너지에 대해서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해 명쾌하게 무언가 풀리는 느낌이듭니다.
수소에너지가 왜 미리의 에너지가 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흥미롭습니다.
수소 연료전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입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수소 전기차와 전기차의 비교 설명은 두 차량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수소는 보관용 탱크가 아주 중요하다는 예기를 듣곤 합니다. 이 책에서도 '보관용 탱크가 필요한 수소'라는 꼭지를 통해서 수소의 다양한 저장방법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책의 마지막 장에서 보여주는 '2050년 수소사회 스냅샷'은 수소사회를 상상해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수소사회, 이를 위해서 그린수소, 블루수소를 어떻게 생산하는지에 대해서도 일러줍니다. 그리고, 여러 국가들의 수소 산업과 이 산업 분야의 플레이어들을 살펴보는 부분은 매우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수소경제에 대해서 살펴보고, 수소 사회를 상상해 볼 수 있어 무척이나 좋았습니다. 또한 이 분야에서 어떤 회사들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지도 알 수 있어 매우 좋았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상상해 보고, 투자의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는 분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