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사회 - 진정성에서 프로필성으로
한스 게오르크 묄러.폴 J. 담브로시오 지음, 김한슬기 옮김 / 생각이음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고민하게 해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필 사회 - 진정성에서 프로필성으로
한스 게오르크 묄러.폴 J. 담브로시오 지음, 김한슬기 옮김 / 생각이음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진정성보다는 어

떻게 하면 원래의 모습보다 더 좋은 보습을 보여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더욱 중요하게 여기는 시대이다. 이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의 현주소이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대해서 이야기를 담은 한 권의 책이 출간되었다. 그 책은 생각이음 출판사에서 출판된 <프로필 사회>이다. 이 책은 오늘날 진정성과 성실성이 프로필으로 변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적 흐름에 대해서 철학과 사회학 이론을 통해서 분석해 놓은 책이다.


처음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때 한 개인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기대감으로 책을 펼쳐보았다. 그런데 저자는 사회적인 문제로 글을 담아놓았다.




이 책의 저자 한스 게오르크 묄러는 앞서 잠시 언급한 시대적 흐름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이들의 모순을 지적하고 있다. 근대사회로 바뀌면서 성실성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진정서도 이제는 힘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오히려 현대사회는 과거와 달리 프로필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그 자신만이 아니라 자신과 자신이 속한 크고 작은 공동체 속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프로필 사회는 내면보다 겉으로 보여지는 말과 행동이 더 중요하게 여긴다. 이것이 그의 진짜 모습인 시대이다. 이런 측면에서 한 개인의 도덕성은 진정성과 성실성을 보여줄 수 있다. 결국 자신의 본래 모습처럼 꾸며진 프로필성이 그 사람의 윤리이다.


프로필이 좋은 점도 있지만 요즘 사회를 보면 프로필로 인해서 많은 문제가 유발되는 것을 보게 된다. 끊임없이 본래의 모습이 아닌 모습으로 살아가는 삶은자신을 노출시키는 분들은 한계에 다다른 모습들이나 이야기들을 듣게 된다. 이런 점은 한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을 따르는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과 타인의 부족한 모습에 대해서 비판적이기보다는 유연하게 받아들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하다. 지금의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 자신에 대해서 관찰자의 시각과 스스로 관찰대상이 되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대해서 바르게 이해하기를 원하는 분에게 이 책을 추천해 드리고 싶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은 인간입니까 - 인지과학으로 읽는 뇌와 마음의 작동 원리
엘리에저 J. 스턴버그 지음, 이한나 옮김 / 심심 / 2022년 7월
평점 :
절판


앞으롱 우리가 맞이할 시대는 인간의 가치와 존엄서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책은 좋은 가이드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은 인간입니까 - 인지과학으로 읽는 뇌와 마음의 작동 원리
엘리에저 J. 스턴버그 지음, 이한나 옮김 / 심심 / 2022년 7월
평점 :
절판


요즘 과학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으로 AI로 향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인 흐름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들을 담은 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어떤 이들은 AI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을 요청하는 책들도 있지만 오히려 걱정스러운 생각을 반영한 책들도 있다. 개인적으로 몇 권의 책을 읽어보았다. 어떤 책은 윤리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가 하면 또 다른 책은 우리와 다가올 시대에 대해서 어떤 대비해야 될 지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는 책도 읽어보았다. 


오늘 여러분과 나눌 책은 인간의 존재적 가치와 둘러싼 여러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았다. 심심 출판사에서 출판된 얼리에저 J. 스턴버그의 의 <이것은 인간입니까>이다. 이 책은 뇌과학에 대해서 가이드북과 같은 역할을 해 준다.


현재 우리는 지금 인간과 기계를 잘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과학의 발달하면서 기계가 인간이 갖추어야 할 부분을 갖추거나 더 발달함으로 둘 사이에 있었던 경계선을 모호하게 바라보는 견해들이 있다. 그러다보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여러 가지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된다. 예를 든다면


만약 지금보다 기술이 더 발전하게 되어 실제 인간과 동일한 기계를 만들게 된다면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또한 우리와 동일하게 스스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기계가 만들었다면 그 존재를 인간이라고 볼 수 있을까?


오늘 저자는 우리가 기계인가?라는 물음을 시작으로 기계와 인간의 차이에 대해서 여러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의 견해들을 담아놓았다. 


실제로 이 책의 목차를 보면 총 15개로 이루어져 있고 한 챕터에 한 개의 논증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많은 과학자와 철학자들이 이론들을 담겨 있지만 미로 속에서 정답이 없다는 점이다. 즉 앞으로도 우리는 이 부분에 대해서 탐구해야 된다는 점이다. 물론 개인적으로 공감이 가는 견해가 있다. 이 책에 담긴 내용을 토대로 개인의 생각을 정리하면 좋을 것 같다. 저자는 책의 제일 마지막 부분에 우리가 더 읽으면 유익할 책들을 담아놓았다. 이 책을 통해서 인간의 가치와 다가오는 시대에 우리가 고민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분에게 이 책을 추천해 드리고 싶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후재난과의 전쟁 - 미래산업을 바꿀 친환경기술 100
박영숙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가장 핫한 주제는 누가 뭐라고 해도 기후재난과 전쟁이 아닐 수 없다. 기후변화와 재난은 현재도 진행되고 있다. 우리 사회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나라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 집중하고 있다. 그래서 국일 미디어에서 출판된 <기후재난과의 전쟁>에 대해서 나눠보려고 합니다. 이 책은 탄소중립과 대체에너지 또는 재생에너지의 중요성과 기술로 인해서 얻게 되는 부가치 등에 대해서 아주 구체적으로 언급해 주고 있다. 세계경제와 시장을 중심으로 현황 등에 대해서 아주 자세하게 소개해 주고 있다.


10년 전만해도 기후변화와 재난에 대해서 관심이 많지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서 전세계 곳곳에서 계속해서 기후변화와 재난과 관련된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졌다. 뿐만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세계가 이 부분에 대해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오늘 여러분과 나눌 책 <기후재난과의 전쟁>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t.1 에서는 미래를 바꿀 기후재난에 대한 미래 예측 보고서를 중심으로 기후재난이 가져올 경제의 변화와우리가 기후재난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를 다양한 정보와 도표로 보여주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온실가스배출이라는 문제 이면에 있는 인간의 욕심과 욕망에 대한 억제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만 된다는 사실이다. 이어서 Part. 2에서는 기후재난을 극복할 수 있는 신기술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저자는 다양한 기술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기후재난은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마치 브레이크가 고장난 차가 달리는 것과 같다. <기후재난과의 전쟁>은 기후재난의 심각성과 각 나라의 대처와 노력들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다가올 기후재난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런 측면에 대해서 이 책은 독자들로 하여금 큰 관심과 다양한 부분들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장점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단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기후변화와 재난에 대해서 너무 다양한 내용을 다루다보니까 제한된 깊이로 다룰 수밖에 없는 안타까움이 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처음 접하는 분과 어려워하던 분들에게 앞서 말씀드린 대로 가볍고 넓게 기후변화와 고난이라는 주제를 접하기에 상당히 용의한 점을 원하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 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