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만물관 - 역사를 바꾼 77가지 혁명적 사물들
피에르 싱가라벨루.실뱅 브네르 지음, 김아애 옮김 / 윌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는 물건들의 시작을 알려주는 호기심을 채워줄수 있는 이야기가 가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 만물관 - 역사를 바꾼 77가지 혁명적 사물들
피에르 싱가라벨루.실뱅 브네르 지음, 김아애 옮김 / 윌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바꾼 77가지 혁명적 사물들이라는 부제가 붙은 세계사 만물관을 읽었다.

물건들에는 각기 다양한 이야기가 있었다. 궁금하게 여기지 않은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물건들에도 모두 처음이 있었다. 그 처음은 무엇이었을까? 언제 우리에게 다가오기 시작한 것일까? 어떻게 변화하면서 ... 이러한 이야기가 들아가 있는 책이다.

일상의 샴푸, 부채, 비데, 쇼핑카트, 마스크, 콘돔...부억에 있는 것들 그리고 취향을 반영한 것들, 혁명이 된 것들, 일터에서 접하는 것들, 여행지에서 만나는 것들, 이야기를 전하는 것들로 카테고리가 나누어져 있다.

흥미로웠던 부분이 많았지만 줄을 친 부분을 중심으로 간단히 언급해 보겠다.

비데를 사용하면 정말 편리하다. 그 비데의 시작은 어디고 언제였을까? 1905년 이탈리아인들이 화장실에 비데를 설치했단다. 옮길 수 있었던 가구로 평가받는 방탕과 호사를 상징하는 상류 계층의 상징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재산목록에 포함되었고 결혼 선물로 비데라는 가구를 받았다.

놀랍게도 초기에는 매춘과 연결되었는데 19세기 말에 위생용품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개운함을 순간을 성과 연결시켜 금기시했다고 하니 당시에 사용하고 싶어도 못했을 것 같다.

또 던롭과 타이어의 상관관계를 알았다. 길을 가면서 타이어 가게에 붙어있었던 던롭은 무엇을 의미하는 줄 몰랐는데. 여권은 또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다양한 소주제로 어디를 펼쳐도 읽기 쉽게 흥미롭게 구성된 책이다. 정말 알쓸신잡 같은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양도성 따라 걷는 서울기행
최철호 지음 / 아임스토리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양도성을 깊이 읽고 쉽게 배울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양도성 따라 걷는 서울기행
최철호 지음 / 아임스토리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양도성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한양도성 따라 걷는 서울기행"을 읽었다.

정말 오래간만에 조선시대와 관련된 책을 읽었다. 흥미로운 이야기가 읽기 쉽게 짧게 구성되어 있는데 몰랐던 것고 알고 있는 것이 적절히 섞여서 호기심을 자극했다. 특히 관심을 두고 읽었던 부분은 목멱산과 중랑천이다.

어제 청와대를 방문하면서 남산을 이야기 나누었던 것이 생각나서이고 중랑천은 인접해 살고 있는데 잘 모르기 때문이었다.

서울 남산은 조선시대 목멱산으로 불렸다.

목멱산이라는 호칭의 어색함과 발음의 힘듦에도 불구하고 원래 자신의 이름을 찾아주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저자의 말처럼 남산은 "목멱산"으로 남산공원은 "한양공원"으로 남산타워는 "목멱산 타워"로 남산도서관은 "목멱산도서관'으로 말이다. 우리나라의 영산이며 호국의 신 목멱 대왕을 모셨던 곳인 이곳은 기우제와 기청제 그리고 기곡제를 지낸 곳이라고 한다. 기우제와 기청제까지는 알겠는데 기곡제는 처음 들어본 말이다.

곡식인가 하면서 검색을 하니 "임금이 친히 농사가 잘 되길 빌면서 지내던 제사"라고 네이버 사전에 나온다.

국가의 중요 행사가 목멱산 정상에서 이루어졌다고 하니 감회가 새롭다.

남산 신사도 빼놓을 수 없는 이야기이다. 올해 초에 벚꽃이 피기 전에 남산 둘레길을 걸었었다. 조선신궁 터가 정비되어 있어서 잠깐 둘러볼 수 있었다.

중랑천은 정말 인접해 있어서 출퇴근 길에 버스를 타고 혹은 퇴근 시 걸어서 가로질러 오는 곳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가까워 흥미조차 끌지 못했으니 나는 중랑천을 너무 몰랐다. 교통의 요충지가 두모포가 중랑천에 있었다. 둘을 연결하지 못했다. 북한강과 남한강을 통해 들어오는 물자가 중랑천을 따로 두모포로 모였다고 한다. 중랑천이 있어서 그 혜택을 톡톡히 보면서도 잘 몰랐던 곳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되어서 좋았던 부분이다. 중랑천 그리고 한천이라는 두 개의 이름밖에 몰랐는데 이름이 꽤 많았다. 서원천, 서원내, 샛강, 샛개, 한내, 중랑개, 중랑포가 그 예이다.

한양도성을 따라 걷기 좋은 날이다. 걷기를 통해 기분전환을 하며 역사적인 상상에 젖어들 수 있는 한양도성을 둘러보면서 파란 하늘과 마주하고 싶은 날이었다. 책이 알찼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 책 쓰기 - 인생이 바뀌는
양병무 지음 / 행복에너지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이 바뀌는 행복한 책 쓰기는 글쓰기와 책 쓰기에 도전할 용기를 주는 안내서이다.

개인의 출판물과 다채로운 일상의 이야기가 출판물로 많이 나오는 시점에서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글쓰기는 저자 양병무 님의 말씀대로 누구나 할 수 있다. 저마다 인생에서 자신이 주인공인 특별한 삶을 살아내고 있기에 각자의 이야기가 글이 될 수 있다. 핸드폰을 통해 sns로, 블로글 글을 올리면서 소통하는 당신에게 글은 나랑 상관없는 것이 아니다. 저자는 신문 칼럼을 통해 글쓰기의 기초를 배웠다고 한다. 기초가 튼튼하면 글을 쓰는 것에 전혀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저자가 말한 글쓰기를 고통스러워하는 이유를 한 번 알아보자.

상당히 잘 쓴 글임에도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이 없고, 잘 쓰겠다는 의욕이 앞서는 점, 글쓰기를 연습한 적이 없다는 것, 좋은 글은 일필휘지에서 나온다고 생각하는 것, 책 읽기는 글쓰기와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것, 자신의 경험을 과소평가하는 것, 글쓰기를 가르쳐줄 멘토가 없다는 것, 글쓰기 재능은 타고난다고 생각하며 살아가기에 글쓰기가 고통스러워진다는 것이다.

자신의 경우는 어떠한 것 같은가? 대작가는 정말 일필휘지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원고를 고치고 고치고 거듭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이 쓴 책이 세상에 나왔다는 것은 놀라웠다. 20회 이상의 퇴고를 통해 글을 낼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흥미로웠고 글쓰기가 연습에 의해 다져질 수 있다는 것을 몰랐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서평을 작성하면서 하나씩 내가 단정했던 사고가 깨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코로나 앞에서 내가 살아온 삶을 정리하며 내 삶을 돌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아직도 그 길은 막막하다. 그런 나에게 용기를 준 책이 바로 이 책이다. 편지글부터 시작해서 점점 발전시켜 글쓰기가 즐거운 취미가 될 수 있도록 저자는 말한다.

미국의 작가 나탈리 골드버그는 “글쓰기는 글쓰기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바깥에서는 어떤 배움의 길도 없다.” 글쓰기를 위해서는 연습만에 답이다. 어떤 연습을 할까?

책에는 출판을 위한 기획서를 작성하는 방법과 칼럼을 통해 글쓰기의 구조를 연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에게 적용해서 글쓰기의 기본기를 익히는 기회로 삼고 싶었다.

밑줄이 가득한 책이다. 꼼꼼하게 읽으면서 자신의 글을 출판하는 계기를 가져보기를 바란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