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든 날 모든 장소
채민기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모든 날 모든 장소》는 건축 기자 아빠의 미국 소도시 생활기를 담은 책이에요.
저자는 언론인 해외연수 프로그램 일환으로 2021년 미국에 가게 되었는데, 회사 사정으로 같이 갈 수 없는 아내는 한국에 남고, 딸과 둘이서 미국 일 년 살이를 했다고 하네요. 미국에 갈 당시에는 미국의 건축에 대한 책을 쓰고 싶었는데 미국 생활 중에는 딸을 돌보느라 책을 쓴다면 육아서가 될 거라고 여겼다가 이 책이 완성된 거래요. 건축도 육아도 아닌 장소에 대한 이야기라고 소개했는데 제가 느끼기엔 낯선 미국 생활에서 아빠이자 기자로서 경험한 모든 이야기였네요.
이 책에서는 공항이라는 공간에서 출발하여 미국 아파트 집, 학교, 다이너, 슈퍼마켓, 놀이터, 도서관, 놀이공원, 자연, 별하늘, 길, 박물관, 미술관, 우주 관련한 공간들까지 미국 생활에서 겪었던 이야기들이 담겨 있어요. 건축 기자이자 아빠의 눈으로 바라본 낯설고도 익숙한 공간에 관한 생각들이 흥미로웠어요. 인상적인 공간은 놀이터와 도서관이었어요. 세계 어딜가나 흔한 공간일 수 있는데 미국의 특징은 어디에나 있고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것이 부러운 지점이네요. 낮은 출산율을 걱정하면서도 다른 한편에선 아이들이 많이 이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놀이터와 도서관 수가 줄어들고 있어요. 공간, 환경이 바뀌지 않으면 사람들도 달라지지 않아요.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어떻게 바꿔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 한 번쯤 생각해볼 만한 문제인 것 같아요.
"탑승구 유리창 밖에 대한항공 KE093편이 서 있었다.
그걸 타고 13시간 반을 비행한 뒤에는 그때까지와 전혀 다른 차원의 삶이 펼쳐질 예정이었다.
언젠가 우주여행 시대가 열리면 다른 은하로 가는 포털에서 비슷한 기분을 느끼게 될까.
숱하게 공항을 이용하는 동안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익숙한 장소가 주는 낯선 느낌이었다.
생각해보면 그날 이후 미국에서 보낸 한 해도 결국은 이방인이자 어린아이의 유일한 보호자로서 장소를 새롭게 느끼는 과정이었다.
슈퍼마켓, 도서관, 학교, 놀이터처럼 익숙한 일상의 장소들이 다른 느낌, 다른 모습으로 다가왔다.
... 장소를 느낀다는 것은 삶을 보다 예민하게 감각하는 일이기도 하다는 걸 깨달았다." (8p)
살다보니 사는 지역이 크게 바뀌지 않아서 늘 익숙한 공간에 둘러싸여 있었네요. 익숙해서 지나치는 것들, 어쩌면 우리 삶에서 정말 소중한 것들을 다시금 돌아보게 만드는 이야기였네요. 새로운 공간의 경험이 저자에게 특별한 순간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정말 대단히 멋진 공간이라서라기 보다는 사랑하는 딸 에스더와 함께 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어린 딸을 돌보는 역할에 충실했던 아빠가 어느덧 사랑의 충만함을 느끼게 되는 과정을 보면서 '모든 날, 모든 순간'의 노래 가사를 흥얼거리게 되네요. 공간의 완성은 결국, 사람이었더라.
"에스더와 센트럴 파크를 같이 걸었다. 무심코 발밑을 내려다보니 낙엽 쌓인 길에 에스더와 나의 그림자가 보였다. 내가 에스더를 데리고 다닌다고만 생각했는데 그림자를 보니 손잡고 나란히 걷고 있었다. 우리는 아빠와 딸이면서 길 위의 동행이었다. 그날의 그림자를 오래 기억하겠다고 다짐했다." (210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