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방 과학자의 인문학 필사 노트 - 인문학을 시작하는 모든 이를 위한 80 작품 속 최고의 문장들
이명현 지음 / 땡스B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요근래 필사할 수 있는 책들이 많이 나와서 좋아요.
사실 필사가 목적이라면 어떤 책이든 본인이 원하는 것을 골라 쓰면 될 일이지만 굳이 필사책을 찾는 건 그만큼 장점이 많기 때문일 거예요.
이 책은 인문학을 사랑하는 천문학자이자 과학책방 갈다 대표인 이명현님이 정성껏 고른 인용문으로 이루어진 필사노트예요. 단순히 좋은 문장만을 모아 엮은 것이 아니라 각각의 문장마다 책방 과학자의 생각을 덧붙였다는 점이 특별해요. 세상에 좋은 책은 수두룩한데 읽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잖아요. 어떤 책은 좋은지, 그 기준은 저마다 다르겠지만 이 책에서는 책방 과학자가 선택한 인문서, 과학서, 문학서, 에세이가 골고루 포함되어 있어서 짧은 문장을 통해 아직 읽지 않은 세상을 만날 수 있어요. 그동안 인문과 문학 분야의 책으로 구성된 필사책은 접해봤지만 과학책이 포함된 것은 처음이라 색달랐어요. 다양한 과학 지식에 대한 궁금증 때문에 교양 과학책을 찾아 읽긴 해도 주로 읽는 장르가 아니라서 한계가 있었는데, 흥미로운 과학서들을 문장으로 소개받는 느낌이라 유익하고 도움이 됐어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비상식적인 상황들이 지속되면 상식적인 사람들은 혼란에 빠지게 되고, 갈등과 위기에 직면하게 되는 것 같아요. 올바른 선택, 현명한 해결책은 무엇일까라는 고민을 하던 중이라 이 책을 보면서도 현실 문제와 연결지어 생각했더니 미토콘드리아의 진화 방식이 힌트를 주네요. 유전적인 진화의 과정은 지속되고 있고, 우리의 일상도 그 안에서 흘러가고 있다고 생각하니 조금 마음이 가벼워지네요. 나만의 철학을 갖기 위한 인문서, 알고보면 재미있는 과학서,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문학서,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에세이까지 마음의 양식을 골고루 다양하게 섭취할 수 있는 《책방 과학자의 인문학 필사 노트》는 맛있는 문장 맛집이네요. 짧은 문장이라도 읽고, 필사하다 보면 더 넓은 지식의 바다로 나아갈 수 있네요.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처럼 지극히 공격적인 박테리아가 자신의 숙주세포를 사멸시키면 결국 자신도 죽게 된다. 따라서 공격을 자제함으로써 (숙주세포에 치명적이 아니거나 만성적으로 죽음으로 유발하는 정도의 공격) 진화 역사에 더 자주 나타날 수 있었다. 침략 근성을 가진 미토콘드리아의 선조들은 그들의 숙주세포를 유린했지만 일부 숙주 박테리아는 살아남았다. 미토콘드리아의 선조들은 숙주 박테리아의 전체를 탐하지 않고 숙주에게서 취해도 좋은 부분(부산물)만을 얻도록 적응하면서 숙주세포를 죽이지 않고도 자신을 증식시킬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그 둘 사이의 적대적 관계는 오랜 기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청산되었다. 증오는 연민이 되었다."
_ 「마이크로 코스모스」,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지음, 홍욱희 옮김, 김영사, 2011년, 175~176쪽
◎ 책방 과학자의 생각
미토콘드리아는 먹이가 포식자의 일부가 된 극단적인 공생 상황에 있다. 비록 이 정도는 아니라 해도, 공생관계에는 늘 어떤 형태로든 갈등과 긴장이 존재한다. 공생이라고 하면 모든 것을 함께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 각자가 자신의 고유한 영역을 유지한 채 다른 것과 공감하는 것. 그것이 공생이 아닐까. 각자 공감의 반경을 넓혀가다 보면 다른 것과 만나게 되는 시공간이 있을 것이다. 그 공감의 교집합 영역이 넓어지면 공생관계가 생긴다. 고립과 격리에 따른 '증오'는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반경이 넓어지면서 '연민'이 된다. 공생의 발명이다.
(158-160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