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얗지 않은데 왜 백인인가? - 인종차별, 헛소리에 지지 않고 말대답하기
박중현 지음 / 드루 / 2025년 4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인종차별은 왜 사라지지 않는 걸까요.
직접 겪어본 적은 없지만 수많은 사례들을 보면서 인간적인 분노가 치미네요. 그들이 하는 언행은 인간답지 못한, 미개한 수준의 폭력이라고 생각해요. 감정적으로는 인종차별의 문제점을 느끼면서도 정작 근본적인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보질 못했는데, 이 책을 통해 조목조목 살펴볼 수 있었네요.
《하얗지 않은데 왜 백인인가?》는 '인종차별, 헛소리에 지지 않고 말대답하기'라는 부제가 달린 책이에요.
저자는 호주에 살며 글을 쓰는 교민 작가라고 하네요. 15년 이상의 세월을 해외에서 보내면서 인종차별과 문화차이로 인한 여러 상황들을 겪었는데, 동양인을 향한 무시와 조롱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데에는 자기들이 함부로 대해도 동양인은 아무 대응도 못할 거라는 집단적 무의식이 깔려 있어서, '아시아인은 사회의 샌드백'이라는 영어 표현까지 있다는 거예요. 이러한 괴상한 집단적 무의식을 깨뜨리고, 역대급 헛소리인 인종차별 발언을 묵사발로 만들려면 그들의 잘못된 심리적 기저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에요. 지피지기 백전백승, 인종차별 헛소리에 맞서려면 인종차별이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를 알아야 해요. 인종차별을 주제로 한 책이라고 해서 딱딱하고 어려울 거라고 짐작했다면 그건 편견이에요.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백인'이라는 단어가 사실과 맞지 않아요. 백인을 대표하는 유럽인들의 피부는 하얗지 않고 붉거나 거무스름한 편이에요. 백인의 기준이 하얀 피부라면 그들은 탈락인 거죠. 그런데도 백인이라고 하나로 묶어서 인종주의적 편견을 만든 것은 명백한 인지 왜곡인 거예요. 단순히 개인의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개인이 노력해야 할 문제일 텐데, 인종적 편견은 오랜 시간 동안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 속에서 형성되어 온 결과라는 점에서 문제 뒤에 숨은 구조적 불평등을 인식하고 이를 바로잡는 노력이 필요한 거예요. 저자는 자신의 경험과 사례를 기반으로 하여 인종차별과 편견의 근원, 미묘한 차별, 식민주의의 유산, 유해한 남성성과 인종적 증오, 저항과 역인종차별, 인종적 트라우마의 개념들을 알기 쉽게 풀어내고 있어요. 그 가운데 주목한 내용은, 아무나 교육자가 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 부분이에요. 일부 교육자들의 사려 깊지 못한 언행이 얼마나 유해한 것인지를 지적하고 있는데, 매우 공감하네요. 인종차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올바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해요. 자기 이해와 타인에 대한 깊은 공감은 가정에서, 그리고 학교와 사회 시스템 안에서 자연스럽게 터득하는 것이니까요. 모든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존엄성을 인식하는 것, 여기서부터 출발해야 차별과 편견이라는 폭력을 예방할 수 있어요. 헛소리에 맞서는 옳은 말, 제대로 알아야 당당하게 싸울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