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승화 :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위하여 ㅣ 배철현 인문에세이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배철현 저의 『승화』 를 읽고
‘사람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솔직히 철학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문학가도 아니고 그저 평범한 보통사람으로서 딱히 표현할 방법이 없다.
그저 일상적인 표현으로만 나타낼 수 있을 뿐이다.
그저 아내가 마련해 준 세 끼 식사 맛있게 먹고, 주어진 일 또는 생기는 일 성실하게 임하며, 사회생활 및 대인관계에 예의 갖춰 임하고 잠자리에 규칙적으로 든다.
자율적으로 임하는 일에는 책을 가까이 하도록 하며 일주일에 두 권 정도 읽고 서평을 작성하며, 새벽시간에 한 시간 정도 규칙적으로 걷기 등 운동하는 일이다.
대외 활동은 월 2회 계 모임 활동과 주 1회 동아리 친선활동에 참석한다.
이런 시간을 통해 나 자신이 얼마나 새롭게 변화하고 태어나는 지는 진지하게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저자는 그 동안 『심연』(2016), 『수련』(2018), 『정적』(2019)을 거쳐 완성한 인문 에세이 4부작의 마지막 책으로 이 책 『승화』를 올해(2020)내놓고 있다.
자신의 ‘심연’에서 내면의 소리를 듣고, 삶의 군더더기와 같은 불필요한 생각을 버리는‘수련’을 한 후, 평정심을 위한 마음의 ‘정적’을 지니고 나면 비로소 만나는 단계가 ‘승화’다. ‘승화’는 지금의 삶보다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추구하려는 마음을 뜻한다.
‘승화’는 아무런 유혹도 시련도 없는 완성된 상태가 아니다.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더 높은 정상을 발견한 후 생기는 겸허한 마음이다.
마치 동네 야산의 정상에 오른 사람이 그 산보다 높은 산의 존재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겸손한 마음을 지니게 되는 것과 같다.
매일 천천히 태어나는 과정이다.
이대로 살 것인가, 내가 바라는 삶을 살 것인가의 문제다.
하지만 가끔씩 스스로에 닥치는 내 자신에 대한 실망감을 느낄 때가 있다.
이럴 때는 한 마디로 어떻게 주체할 수가 없을 정도로 막막하다.
나이 육십 중반이 넘어선 시점에서 어떤 돌파구가 보이지 않을 때면 더더욱 그러하다.
이런 내 자신을 맞닥뜨릴 때면 한마디로 살아간다는 것이 다른 사람과의 관계보다도 나 자신과의 관계를 가장 우선으로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변화 노력은 삶의 가치와 방향도 외부가 아닌 자기 내부에 두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어제와 달라질 오늘의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 지속적으로 자신을 혁신하려는 용기 있는 도전이 일상의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 말이다.
이것이 바로 ‘승화’의 정신과 자세가 아닌가 생각한다.
책에는 자기성찰을 돕는
내가 보는 나는 누구인가(응시)의 공허, 고통, 유언, 양심, 전정, 내면, 의미.
품위 있는 나를 만드는 법(엄격)의 걸음, 기억, 도야, 일념, 취미, 검역, 신중.
말과 행동이 일치되는 순간(명료)의 간절, 영원, 희생, 내재, 안내, 자기문화, 구별.
위대한 변화의 시작(승화)의 각성, 모험, 변모, 지고, 변화, 미지, 광휘의
28개의 단어 사유의 정수가 응축된 인생의 아포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어는 자기 자신을 돌이켜보고, 현재를 점검하여 변화시키는데 길잡이로 삼을 수 있어 매우 유용하였다.
나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은 결국 나 자신이 만들어 갈 수밖에 없고, 모든 문제들도 결국 나 자신이 해결해 나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면 되는 일이다.
그렇다면 당당하게 나 자신이 내 인생의 주인공이다라는 신념으로 오늘이 인생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임한다면 모든 일이 잘 풀리고 감동적인 인간으로 승화되리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