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와 쥐는 권터그라스가 1961년에 출간한 소설이다. 그 전에 양철북을 출간하고 문단의 질타와 찬사를 한 몸에 받고 쓴 두번째 소설... 혹자는 이 소설에서 그의 죄의식과 부끄러움에 대해 말을 하는데 나는 그냥 가볍게 소설을 읽었다. 그냥 말케와 필렌츠의 이야기라고 말이다.
말케에게는 비정상적이라고 볼법한 커다란 울대가 있다. 그 울대는 꼭 쥐같이 움직여서 필렌츠에게 호기심의 대상이 된다. 말케는 아마 이 울대를 처음에는 대수롭지않게 생각했을 법도 했다. 하지만 그 울대에 모든 이의 이목이 집중되고 고양이의 공격 아닌 공격을 받은 순간 그는 모종의 결심을 한 듯하다. 처음에는 드라이버를 걸고, 성모 마리아상을 걸고, 나중에는 훈장을 목에 건 말케...... . 그것으로 그의 울대뼈는 완전히 감추어진 듯했다. 하지만 필렌츠의 눈에는 아니었다. 그는 집요한 고양이처럼 말대를 따라다녔다. 아니, 말케의 울대뼈를 따라다녔다.
말케는 잠수하는 것을 좋아했고 그 속에서 이것저것 물건을 가져왔다. 필렌츠와 친구들은 그것을 대단하게도, 한편으로는 대수롭지 않게도 여겼다. 말케의 잠수실력은 어느 덧 모든 친구들을 앞질렀다. 그는 침몰한 소해정 밑에 자신의 아지트를 꾸며놓기도 했다.
말케는 군대에 자원입대해 모종의 훈장, 즉 봉봉을 목에 차게 됐지만 그의 어린시절 꿈은 광대였다. 그는 자신의 울대뼈를 이용해서 사람들을 웃길 생각은 전혀 없어 보였지만 나는 왠지 그 소년의 꿈을 앗아간 전쟁이, 그 시기가 야속하기만 하다. 아이들은 천진하다. 그들은 배우는 대로 흡수한다. 그 시절 독일이 침공해 유대인을 색출하고 전쟁의 사기를 북돋우는 그 시점에서 아이들이 하는 일은 무엇이었을까?
아이들이 전쟁의 잔혹성을 알리가 없다. 또 모른다고 그냥 넘길 일도 아니었다. 무고한 희생자들이 존재했으니 말이다.
필렌츠는 말케의 울대로 무엇인가를 잊으려 했을까? 그 시기 그를 조여오던 시대의 분위기라든가, 우울한 감정을 말이다. 그는 오로지 말케에게 집중함으로서 버틴 듯하다. 고양이같은 필렌츠는 말케의 쥐를 포기할 수 없었다.
필렌츠는 말케를 부른다. 말케가 없을때도 그는 말케를 찾는다. 서커스단에 가서도 말케에 대해 물어본다. 말케가 포기한 애초의 꿈에 다가가서 말이다. 그리고 말케가 받은 기사십자철십자상을 수여한 생존자들의 모임에도 갔다온다. 필렌츠는 말케를 불러달라고 한다. 그는 왜.... 말케에 대해 집착하는가...
부끄러움은 내가 찾는 것이다. 내가 마무리해야 그 부끄러움이 끝이 난다. 필렌츠는 계속 말케를 부를 수 밖에 없을 듯하다. 그 시절은 걸으면 걸을 수록 엉겨붙는 도깨비풀같이 그를 계속 따라다닐 테니까...... .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